압축시키면 벽돌보다 강하다. 콘크리트와 벽돌없이 지푸라기로 벽과 지붕을 완성하는 단단한 고밀도 압축 볏짚 하우스의 비밀ㅣ화재, 지진에 강한 친환경 주택ㅣ

2024 ж. 16 Қаң.
586 909 Рет қаралды

콘크리트나 벽돌이 아닌 볏짚으로 집을 짓는 사람들이 있다. 예부터 생활 곳곳에 쓰이던 볏짚. 이 볏짚을 고밀도로 압축해 지붕이나 벽체 등 건축 재료로 활용하는 것이다. 볏짚으로 집을 짓는 것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 대부분의 공정이 수작업인 데다 볏짚 먼지를 견뎌야 하는 것은 물론, 압축한 볏짚의 무게가 상당해 엄청난 체력을 요구한다. 하지만 이런 수고로움을 감수하면서도 볏짚으로 집을 짓는 이유는 단 하나, 건강한 집을 짓는다는 자부심 때문이다. 전통적인 건축 기법과 현대적인 기술을 조화롭게 이용하면서, 재료는 자연의 재료를 고집하는 사람들. 이들의 험난한 작업 현장을 공개한다.
경기도 광주시의 한 주택 시공 현장. 뜨거운 태양 아래, 약 72㎡에 달하는 면적에 구들을 놓고 나무와 흙, 볏짚을 이용해 친환경 집을 짓는 작업이 한창이다. 작업자들은 온종일 압축한 볏짚을 규격에 맞게 자르고 나르면서, 지붕부터 벽까지 볏짚을 이용해 집을 짓는다. 이처럼 주택 건축 현장에서 사용하는 볏짚은 공장에서 미리 가공한 것이다. 볏짚 가공 공장에서는 탈곡한 벼를 일일이 기계에 넣어 고밀도로 압축하는 일이 계속된다. 바짝 말린 벼에서 나오는 날카로운 먼지를 견디며 하루 종일 볏짚을 옮기고 쌓는 일이 반복된다.
제주특별자치도의 또 다른 시공 현장. 강한 바람 때문에 작업 속도를 내기 어려운 상황이지만 공사 기일을 맞추기 위해 일을 강행한다. 이곳 역시 압축한 볏짚을 지붕에 올리고 벽체 만드는 일이 계속된다. 벽체로 사용하는 볏짚의 경우, 나무틀 안에 숯과 소금을 넣고 2중으로 볏짚을 댄 것이라 무게만 100kg 이상 나간다. 워낙 무거운 데다 크기도 만만치 않기 때문에 벽체 작업에는 모든 숙련공이 힘을 모은다. 한 달에 평균 20일 이상, 전국을 돌며 동고동락하는 이들. 고된 노동 현장 속에서도 좋은 집을 짓고 싶다는 욕심 하나만으로 땀 흘려 노력하는 이들을 소개한다.
#극한직업 #볏짚시공 #지푸라기집
#친환경집 #숙련공 #집짓기 #목수

Пікірлер
  • 와 60..70년대 우리아버지가 만드는 그런 흙집과 많이 고급화, 효율화 ,단열화가 되었네요. 저런 집에서 노년에 살고 싶네요.

    @user-yh9cf9pb5g@user-yh9cf9pb5g3 ай бұрын
    • 명품이따로없내요 이것이진정명품이네요

      @user-fm5bb4cp7p@user-fm5bb4cp7p2 ай бұрын
    • 6 .​@@user-fm5bb4cp7p

      @user-oe4ej7sf1e@user-oe4ej7sf1e2 ай бұрын
    • 맞아요...꿈 꿔 봅니다.!!

      @maimonides8506@maimonides8506Ай бұрын
  • 내 아버지는 집세기와 황토흑을 석어서 각구에 넣어서 볓집벽돌을 집을 지었는데 아무리 바람불고 시간이 지나도 흑이 떨어지지도 않고 따뜻하고 시원하고 참 좋은 집이었다

    @goltermanan5934@goltermanan59344 ай бұрын
    • 섞다. 짚세기는 짚신입니다.

      @punggay@punggay4 ай бұрын
    • 정말 훌륭하고 좋으신 아버지 덕 보셨네요 기초건강유지 절로 갖으셨어요 . 어진 아버지의 어진 자식 나올테니 효도하실줄ㅎㅎ

      @user-qo2tp8oy3b@user-qo2tp8oy3b4 ай бұрын
    • @@user-qo2tp8oy3b 22살에 두분친구을 사고에서 건지시고 아버지는 그자리서 숨을 거두셨지요 내나이 65세 33년전에 먼길을 혼자 가셨어요 저히 아버지는 온화하시고 가정에 성실하고 이웃에 자녀들 부모로부터 매맞으면 우리집에 숨겨놓고 없다고 하셨지요 자식들한태도 크게 말씀도 않하셨어요 사탕을 뒤로감추고 노래을 부르면 사탕을 내주시고 겨울밤은 길다고 군고구마와 물김치을 손수 가저와 자는저을 깨워서 먹고 자게하셨어요 농부에 장사을 하셨어도 앞집에 의사보다 더 하이클래스 셨어요 지금도 그런인성에 소유자가 없지요 추운 겨울에도 자전거예 씨앗을 가득실고 싱장로 비포장을 매일 세벽4시면 차가운 겨울바람을 가르고 자전거 패달을 밣셨던 아버지 저녁에 들어 오실때는 가족들 주려고 항상 여러가지을 사다 펼쳐놓고 행복해하시고 저한태 창가을 부르면 주시겠다고 뒤에감추고 싱그벙글하셨지요 내 아버지을 누군가한태 말할수 있군요

      @goltermanan5934@goltermanan59344 ай бұрын
    • 진흙 벽돌집 건강에 최고입니다

      @sopyki@sopyki3 ай бұрын
    • 서까레를 보니 운조루같은 우리 전통한옥의 버선코 처마선의 유려한 알흠다움은 못 만드시는 조금 아쉬운 한옥입니다

      @user-pv5ct4qm2i@user-pv5ct4qm2i3 ай бұрын
  • 수고가 많으십니다 자부심을 가지고 일하는 보람이 있네요!

    @user-jo9gd8ug1p@user-jo9gd8ug1p3 ай бұрын
  • 다른걸 떠나 집 저렇게 지으면 냄새가 달라요 집에 들어섰을때 집에 있을때 집에서 느껴지는 냄새가 참 친근한 냄새가 나고 영원히 잊혀지지 않는 냄새가 납니다. 아마 저 집주인도 그 냄새가 그리워 저리 짓는 이유도 한구석 있지 않을까 싶네요. 어렸을적 할아버지집이 저런 황토와 나무로 된 집이었는데 방학때 가서 있으면 집냄새가 참 좋았어요. 중학교때쯤 싹다 밀고 뒷마당에 엄청난 감나무도 베어버리고 양옥으로 지은뒤론 그 친근한 냄새 전혀 안남. 걍 도시집이나 시골집이나 차이가 없어짐. 평생 살텐데 저리 지어놓으면 평생 행복한냄새를 맡으며 살겠네요 그부분이 젤 부럽네요 행복하시겠네요.

    @user-qc2bh6tx3c@user-qc2bh6tx3c3 ай бұрын
    • 농약이 뭍어있는데 괜찮을까요?

      @1004solomon@1004solomonАй бұрын
    • 짚 썩는 냄새임.

      @user-mz3kk6fz9u@user-mz3kk6fz9u17 күн бұрын
  • 너무 고생이 많으신데 보람도 크시겠네요 저도 저런집 갖고싶네요

    @user-rr1mx3xj8o@user-rr1mx3xj8o4 ай бұрын
    • 하루에 30-40만원 받는데 저정도가 뭐 ..??

      @user-vw7rn8zy4i@user-vw7rn8zy4i3 ай бұрын
  • 볒짚이 제 역할을 할려면 황토와 결합 되어야만 우수한 성능을 발휘 합니다 압축 볒짚을 황토 반죽물에 담궈 흠뻑 적시고 바닥에 3센치 정도의 황토 반죽을 펴고 적신 볒짚을 깔고 다시 위에 3센치 정도의 황토 반죽을 덮거나 발라야 합니다(지붕. 벽체) 잘 건조된 볒짚은 황토와 결합 되면 썩지도 않고 불에 타지도 않으며 해충도 서식하지 않습니다. 또한 우수한 통기성과 습도조절 단열 효과는 현대 과학으로 증명 되었습니다... .주택으로 서는 가장 친환경적인 건축 자재인건 틀림 없는데 아쉬운건 아직까지 벽체에 효과적으로 황토를 바르는 과정이 힘들고 느려서 시공과정이 어려운게 흠입니다. 단 위 영상의 압축볒짚 만 사용 하는 경우는 전통적인 스트로베일 하우스 건축 효과를 볼수 있을런지 의문 입니다.

    @dca489@dca4894 ай бұрын
    • 인정~~~!!

      @greenfield229@greenfield2293 ай бұрын
    • 친환경이래자나요

      @domfree9235@domfree92352 ай бұрын
    • 다른분 댓글보니 님말씀대로 볒짚에 황토를 섞어 반죽해서 볒집황토벽돌?처럼 만들면 오랜 시간이 지나도 볒짚에 곰팡이나 벌레가 생기지 않겠네요, 다른분 댓글에 '일본 다다미도 볏짚이 곰팡이 피고 벌레생긴다하니..

      @conan6711@conan67112 ай бұрын
  • 전통한옥 지붕에 산자대신 널판, 흙 대신 짚보드, 그 위에 골 메움용 황토와 기와가 가능할까요? 처마곡선 나오게 시공도 가능할까요? 기존 대비 시공비는 어찌 될까요?

    @user-yl1qs7qg7x@user-yl1qs7qg7x4 ай бұрын
  • 일정 비울의 붕산과 진흙을 섞어서 만들면 무거울지 몰라도 집착성이 늘고요 황토 의 적외선 효과도 있을것 같습니다.

    @hyung-yulcho841@hyung-yulcho8414 ай бұрын
  • 이걸로 집 지으면 건축 전 후 습도 관리가 엄청 중요하겠네요

    @polishpusan1741@polishpusan17413 ай бұрын
  • 볏집하우스. 배우고 갑니다.^^

    @TV-wm2pb@TV-wm2pb3 ай бұрын
  • 작업하실때 눈보호 안경이나 마스크도 안 쓰고 하시네요. 대단하십니다.

    @icofcrpc@icofcrpcАй бұрын
  • 오~~볏짚도 저렇게 압축해서 나오는군요..신기하다.,.

    @hyangsulee8269@hyangsulee82693 ай бұрын
  • 일본 다다미도 볏짚이 곰팡이 피고 벌레생기고 하던데 저 무거운걸 지붕에 .....썩으면 어케요? 예전 초가집도 볏짚 몇년에 한번씩 갈아 주던디요

    @angel_su@angel_su4 ай бұрын
    • 초가지붕처럼 볏짚이 바 로 노출되는거랑 그 위에 방수포를 덮고 또 지붕자 재를 덮는거랑 다르지요

      @user-lq1vu4ic5b@user-lq1vu4ic5b3 ай бұрын
    • 흙으로 지은 가옥은 지속적으로 보수해줘야 함.

      @kkw2401@kkw24012 ай бұрын
    • 콘크리트로 지은집도 세월이흐르면 누수가 오지요 나무와 흙과 집수라기로 지은집이니 오죽할까요 허나 친환경이래자나요 이거면 댓지요

      @domfree9235@domfree92352 ай бұрын
    • 저렇게되면 내부에 습이차서 썩죠. 매년 새로 깔아야할겁니다.

      @user-mz3kk6fz9u@user-mz3kk6fz9u2 ай бұрын
    • 동영상에 시공하는 방식대로 하면 열반사 단열재 때문에 결로가 생겨서 다다미보다 훨씬 빨리 곰팡이 필 겁니다.

      @yong_park@yong_park24 күн бұрын
  • 와~ 정말 이런분들이 인간문화재👍🇰🇷💙존경스럽습니다.

    @JadeCome@JadeCome2 ай бұрын
  • 볏짚보드도 좋지먼 서양 유럽서는 대마보드를 만든데요, 대마보드도 생산을 생각해봤음 좋겠고 지푸라기 옮기고 하는 과정과 몇가지는 약간 기계하 하면 좋겠네요,

    @user-bo8qz2ed8t@user-bo8qz2ed8t4 ай бұрын
  • 완공된 집이 궁금합니다 보고싶네요 수고하시는모든분들 모두 건 행하세요

    @user-ym8pj9yn2j@user-ym8pj9yn2j3 ай бұрын
  • 훌륭하심니다 노벨상감리네요

    @user-kn7uq3eg8b@user-kn7uq3eg8b3 ай бұрын
  • 저분들 역시 육체 노동을 하시니까 힘은 들겠지만 몸은 핏트가 아주 잘 되있으시고 건강해 보입니다. 힘내세요 화이팅!

    @jameskim1186@jameskim11863 ай бұрын
  • 대단히좋은 친환경 주택이라할수 있는데 여러 비판의견수용해서 (아이디어를 수용해서) 발전시키면 좋겠습니다

    @user-mx3ir9le2u@user-mx3ir9le2u2 ай бұрын
  • Muito lindo lugar parabéns pra você tudo de bom pra você que Deus te abençoe sempre vocês todos 👍

    @clovisedanilo2073@clovisedanilo20734 ай бұрын
  • 흠... 친환경에서는 성공이지만 가격과 대중성에서는 실패로 보여지네. 위 동영상 보면서 스치로폴이 엄청 대단하다고 느껴진다. 단열도 좋고 시공도 간편하고 가격도 저렴하니 ㅎ

    @user-cu2pm3wu8e@user-cu2pm3wu8e4 ай бұрын
  • 저렇게 볏집으로 하면 물이 고여서 썩을거 같은데.. 제가 모르는 보완법이 있나 보군요 ㅎㄷㄷ

    @WVIP@WVIP12 күн бұрын
  • 벌레가 생기려면 물이 들어가야 생기는거라고. 지붕에 물새면 끝장이라 지붕을 진짜 관리 잘해야겠구만

    @punggay@punggay4 ай бұрын
    • 콘크리트로 지은집도 세월이흐르면 누수가 오지요 나무와 흙과 집수라기로 지은집이니 오죽할까요

      @domfree9235@domfree92352 ай бұрын
    • 박공지붕 형태는 콘크리트 평지붕보다 방수가 더 쉽고 하자위험도 적고 관리가 편하죠. 방수를 위한다면 박공지붕이 최고입니다. 평지붕은 방수에 한계가 있습니다.

      @happylife3770@happylife377022 күн бұрын
  • 한옥 짓는 모습이. 아름채 또는 채세움 인 듯 보이네요. 지붕 단열은 왕겨훈탄 또는 압축볏짚을 사용하는 것 같고 벽체는 치수에 맞게 공장에서 만들어서 현장조립 형태. 곡선이 있는 전통한옥은 아니지만 전통한옥은 단열에 취약해서 단열강화를 위해서는 전통한옥형태와 어느정도 타협할 수 밖에 없을 듯.

    @happylife3770@happylife377022 күн бұрын
  • 어려서 초가집에 살았는데 지푸라기를 잘게 썰어 황토흙이랑 개서 벽을 만들고 했는데.지금은 기계도 좋고 더 탄탄하니 좋네요

    @JOHN-vx4eq@JOHN-vx4eq2 ай бұрын
  • 경기광주 😮😮 황토벽돌 구들장 보일러 😮😮 현대적인 볏짚 구들장🎄 고밀도 압축해서 공기차단🎄

    @user-wg3ul8tl4q@user-wg3ul8tl4q4 ай бұрын
  • 마스크 보안경 헬멧등 안전장구없이 작업하는게 잘못된거아닌가? 얼굴에티고 눈에틔는작업을 대단한거인양 비춰지는게 ...;;;

    @user-mk4ju4jj6g@user-mk4ju4jj6g4 ай бұрын
    • 단독주택에서 그렇게 하고 일하라고하면 작업자들 일안함

      @user-ec6gb1fb3o@user-ec6gb1fb3o3 ай бұрын
    • @@user-ec6gb1fb3o 2024년도에 중국스러운 마인드라니 ㅋㅋㅋㅋ

      @hi-wp4sy@hi-wp4sy2 ай бұрын
  • 저런 친환경집에 살고 싶어요^^

    @user-zt7er9qt3k@user-zt7er9qt3k3 ай бұрын
  • 화려한 집은 너무 많지만 온전 한 집은 거의 없다 겉만 번드레 한 식품첨가재 처럼 ..덕보다 실만 더큰 가똑똑이 우리 삶

    @cfhcxfcd756@cfhcxfcd7563 ай бұрын
  • 좋아요

    @333movie@333movie4 ай бұрын
  • 바람으로 크레인에 올린 자재가 휘청휘청 하는 날씨에도 공기 단축을 위해, 아무 안전 장치 없이 애쓰시는 모습이 멋지십니다!

    @syk4902@syk49023 ай бұрын
  • 구들에벽돌쌓을때 매지흙을 반드시 넣어야 합니다 황토매지가 열에 굽히면 강하게되어 벽돌 움직임을 방지함. 온돌구들은 오래쓰면 유격이발생합니다

    @user-mx3ir9le2u@user-mx3ir9le2u2 ай бұрын
  • 창문도 아쉽네요 저리힘들게하고 샤시창 이라니...😢 좀더 완벽한 한옥이 되기를...

    @user-zp6gq6vo1e@user-zp6gq6vo1e4 ай бұрын
    • 창문은 샷시가최고 정통한옥아니면 다 샷시합니다

      @365rental@365rental4 ай бұрын
    • ​@@365rental두가지를 다 만족시킬수는 없어요 하나는 포기해야합니다 옛 멋이냐? 실용성이냐? 그것이 문제로다 지붕과 벽체는 이처럼 가 능하지만 창호는 아직 두 가지 다 충족시킬 방법이 없어요 현재 제 4세대 한옥창호 (실제 사용중임)라고 두 가지를 어느 정도 충족시 키는 창호가 개발되어 많 이 설치되고 있지만 이중 창이 아니라 단열면에서 아직은 100프로 만족을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 어요

      @user-lq1vu4ic5b@user-lq1vu4ic5b3 ай бұрын
  • 만들어진 벽체 넣은 후 틈 사이로 구멍이 송송송.....단열이 잘 될리가 또한 오래되면 부재와 진흙 사이엔 필연적으로 갈라지고 틈이 생긴다

    @user-gw3cg8ws4y@user-gw3cg8ws4y4 ай бұрын
  • 정말 좋습니다. 평당 얼마정도 소요되는 지요?

    @user-zq9qq3bj4b@user-zq9qq3bj4b3 ай бұрын
    • 요즘 인건비랑 자재가격 생각하면 못해도 평당 900은 나올 것 같습니다...

      @andyn8574@andyn85747 күн бұрын
    • 사실 1000이상 부를 것 같다는

      @andyn8574@andyn85747 күн бұрын
  • 바람불때에 크레인 에 매달린 목재가 바람에 의해 많이 흔들리죠 그러므로 이때에 목재를 들어 올릴때 사용한 멜빵 말고 보조 밧줄을 하나 더 묶어주고 지상에서 사람이 흔들리지 않게 잡아주면 됩니다. 간판시공 할때 그렇게 합니다

    @user-hs2mq3zs5g@user-hs2mq3zs5gАй бұрын
  • 너무 좋네요.~

    @user-nc1ft4sh9k@user-nc1ft4sh9k3 ай бұрын
  • 사전조립한것 끼운후에 유격이 상당히 있는데요. 내진설계 적용도 안되어 있는데 어떻게 지진에 견딘다고 생각하는거죠?

    @SODENTSOD@SODENTSOD4 ай бұрын
    • 하중은 둘째치고 동감 단열도 문제일듯

      @user-gw3cg8ws4y@user-gw3cg8ws4y4 ай бұрын
    • 유격이 있는 빈 공간에 황토로 채운다고 말하는거 못들었습니까

      @Dpsenzk33@Dpsenzk332 ай бұрын
    • @@Dpsenzk33 유격 있는 부분 황토로 채운다고 단열이 질됩니까? 그렇다면 황토로만 하면 될것을. 그차이나는 부분에 결로 생길 가능성은요? 목제 기초 만들때나 단열제 만들때 내진구조 하나도 안보이는데 지진에 견딘다고요? 그런것이 다 과대 광고입니다.

      @SODENTSOD@SODENTSOD2 ай бұрын
    • 유격이 있어야 안 무너지는가봐요? ㅋㅋㅋㅋㅋ

      @user-gh7dj1qs3o@user-gh7dj1qs3o2 ай бұрын
    • 벽체 유격에는 일반적으로 폼을 쏘죠. 단열과 접착력도 기대할 수 있고 유격이 없다면 끼우다가 1mm 크게 만들어져 안들어가면 완전 낭패죠. 5mm, 1cm 작아서 틈이 생기는 것이 현실적으로는 좋다고 할 수 있죠. 물론 오차가 너무 나서 2cm 이상 벌어진다면 문제가 있는 것이구요.

      @happylife3770@happylife377022 күн бұрын
  • 폐에 먼지가 쌓이면 기폐가 옵니다 돈도 중요하지만 건강챙기세요 그리고 장비투자좀 해서 먼지없는 작업장 만드세요 저러니 요새 젊은이들이 일을 안할려구 하죠 낡아빠진 구시대 일은 접으시고 현장을 좀 기계화 해서 일하는사람들의 친환경에서 일할수있게 장비투자좀 하세요 살인 로동이네요

    @kumsong3258@kumsong32584 ай бұрын
    • 님도 못 하는 일을 남에게 하라고 하면 당신은 무슨 마음입니까?

      @user-vwx2666@user-vwx26662 ай бұрын
  • 우와~~^^훌륭하십니다 저런집에서살고싶네요

    @user-sw5rr2ox2d@user-sw5rr2ox2d3 ай бұрын
  • 1. 만들고 계신 짚보드는 친환경이 맞으니 계속 생산하시고 2. 댓글러가 우려하는 단열 방충 방오 방진 방염을 설명하는 예를 대응할 것 3. 또다른 제품도 만들어 원하는 분들에게 제공할 것 (예를 들어 방충에 좋은 소금물 + 탈취와 습기조절에 좋은 겨 숯 + 방염에 좋은 암모니아수 + 방오에 좋은 황토회 + 모든 것을 커버하는 희석 옻 + 단열에 좋은 짚을 압축하여 만든 약간은 무겁고 단단하고 검회색이겠지만 모든 사항을 충족하는 짚 보드 판넬) 승승장구 하셔서 천년의 한옥을 살리는 기업이 되시기를 바람! ^^

    @kimshanha@kimshanha3 ай бұрын
    • 참고로 옛날에는 석회와 황토와 자른 짚을 희석 옻물과 섞고 바르고 겉을 짚을 태운 연기와 훈증기로 목재를 처리하여 벌레먹음을 방지했다는 옛 어른들의 지혜도 응용하시면 도움이 될 듯 싶습니다. 화이팅 하세요 ^^

      @kimshanha@kimshanha3 ай бұрын
  •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 올리면 되지 않나요?

    @user-sm3fo8ib5h@user-sm3fo8ib5h2 ай бұрын
  • 와! 강한 압축의 볏짚, 실용적이고 자료로 볼때 비용도 저렴할수도 일본의 다다미 비슷해

    @chonglee9921@chonglee99213 ай бұрын
  • 안녕하세요 혹시 볏짚벽돌공장 견학 좀 할수 있을까요

    @teacherjin6753@teacherjin675321 күн бұрын
  • 돈없음 저런집 짓지도 못하겟네 인건비 보니 엄청나겟네....손이 많이 가는걸 보니.. 저런집 지을려면 헉소리나게 비싸겟네

    @pokjunam2163@pokjunam21633 ай бұрын
  • 밑에 구들조성을 위해 벽돌을 쌓는데 세로줄눈ㅡ얼본말로 다데메지ㅡ에 몰탈을 아예 빼먹는데 누기 때문에 구들 성능 안 나올 듯!!

    @yyb7887@yyb78874 ай бұрын
  • 7:30 네? 26살이요?

    @hunterJJ@hunterJJ4 ай бұрын
  • 위 영상 제작 시기가 언제 입니까?

    @user-bm5ng8yn6m@user-bm5ng8yn6m3 ай бұрын
  • 한옥의 아름다움 은 용마루 끝과 처마 끝이 곡선으로 비상하는 것인데.. 다 1자로 빼버렷네요. 아쉬운 부분임.

    @user-sn1mb4np8o@user-sn1mb4np8o4 ай бұрын
    • 그 방식은 완전한 전통한옥인데, 두가지 단점이 있어서 타협을 하는 거죠. 단열취약, 가격비쌈. 이 두가지를 잡으려고 연구를 하다보면 저런 형태의 한옥이 나올 수 밖에 없는듯. 그래서 전통한옥은 부자들만 가질 수 있는 한옥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평당 2천만원. 그러면서도 단열은 별로. 단열 안되어도 겨울철에 수십만원 수백만원씩 보일러 빵빵 때면 되니까 부자들에게는 문제가 안되죠. 그렇더라도 요즘 짓는 전통한옥은 옛날보다는 단열을 더 잘하죠 신경쓰고 있으니까요. 장혀와 인방재 두께 때문에 벽체 두께를 두껍게 하기 어렵지만 그래도 8~10cm 정도 단열은 하니까요. 옛날집은 단열재를 아예 사용하지 않고 흙미장이 대부분 이었으니 8cm 단열재만 시공해도 옛날집보다는 훨씬 덜 춥습니다.

      @happylife3770@happylife377022 күн бұрын
  • 틈새가 많아보이는데 기밀성은 나올려나?

    @111go@111go2 ай бұрын
  • 대단합니다 ❤❤

    @user-buildinghouseinkoreajeju@user-buildinghouseinkoreajeju4 ай бұрын
  • 볏집과황토흙이만나야 단열성이 제일입니다 볏집만가지고는단열이 떨어집니다

    @user-vf5ji7ll9p@user-vf5ji7ll9p4 ай бұрын
  • 원래는 쇠못이 아닌 나무못으로해야하는데.

    @user-bo8qz2ed8t@user-bo8qz2ed8t4 ай бұрын
  • 벽돌 사이에도 몰탈을 충분히 충진해야 하는데, 벽돌 바닥만 몰탈로 대충 쌓는 부실공사. 지붕에 2중으로 깔때, 가로와 세로를 번갈아 깔아야 단연효과 상승.

    @koutsider8266@koutsider82663 ай бұрын
    • 친환경입니다 어느정도 불편함은 감수해야지요

      @domfree9235@domfree92352 ай бұрын
  • 집이좋고 가치는 있어보이지만 주택 자재비 인건비가 만만해보이지는 않네 요. 저런재질로 3가지평수로 15평 25평 35평 으로 완전 조립식으로 개발하면 인건비 쏘~~~옥 빠지고 집짓는 시간 도 많이 빨리지는데 그렇게는 왜못하 시는거죠~?

    @user-xi1pc8ee7l@user-xi1pc8ee7l3 ай бұрын
  • 나중에.자연생태로.참좋아요이대로.저도짖고힢네요

    @user-je5jr4in2d@user-je5jr4in2dАй бұрын
  • 황토 황토 하다가 볏짚이라 옛날에는 벼짚과황토를섞어서모든벽을만들었는데그것이예날의사찰이나고궁들

    @kennyyun6360@kennyyun63604 ай бұрын
  • 지붕은 무조껀 1순위가 방수 아닌가? 저 볏짚 장마철에 습기 다빨아먹을것 같은데...

    @dongyounglee4232@dongyounglee42324 ай бұрын
  • ㅌ 좋아요

    @jsahn3951@jsahn39513 ай бұрын
  • 스티로폼으로 벽체 만들고 황토 흙으로 양면을 덮어서 태양광으로 냉난방

    @user-gp5pz2fb6i@user-gp5pz2fb6i2 ай бұрын
  • 화재에도 안전할까?

    @user-kv1xy4wn3d@user-kv1xy4wn3d3 ай бұрын
  • 압축시킨볕집이라 썩지않을까요 ? 나 어릴적 우리아버지는 볕집과 흙을 섞어서 담을 쌓았고 황토집도 짓었는데 황토가 않들었갔는데 100년이 간다는것이 좀 의문스럽네요

    @user-tr8uq8st9h@user-tr8uq8st9h2 ай бұрын
  • 세월이 흐르면 벌레는 엄청 나오겠네요~

    @user-by3tz5dj9d@user-by3tz5dj9d4 ай бұрын
    • 벌래와 함께 하는 삶은 좋은겁니다. 벌레 없는 곳에는 사람도 못살아요. 서울 한복판에도 , 현대의 첨단 건물에도 바퀴벌레 있잖아요.

      @user-sn1mb4np8o@user-sn1mb4np8o4 ай бұрын
    • ​@@user-sn1mb4np8o가까운정신병원 방문해보세요 정신병은 자신이 인지하기어렵습니다

      @user-cm4gl9dx3i@user-cm4gl9dx3i3 ай бұрын
    • 그런 수준이 아닙니다@@user-sn1mb4np8o

      @user-ot3zs3my4o@user-ot3zs3my4o3 ай бұрын
    • 친환경입니다. 친환경으로 재배한 채소도 벌레가 나오고 벌레먹은 자욱이 잇지만 오히려 유해한 농약을 안쳣다는 반증으로 작은벌레도먹고살만큼 인체에도 해가 없다는 뜻이지요. 이와 마찬가지로 친환경하우스공법이니 벌레가 생긴다하여도 감수하여야하지않을까요? 초가집 기와집은 한국의 전통하우스여서 꾸준한 관리와 보수가 당연시 한다는걸 다들아시고 하시는것일테니요

      @domfree9235@domfree92352 ай бұрын
    • 풋.. 친환경 팔이도 정도껏. 옛날 사람이 빨리 죽었습니다. 그리고 친 자연에 독성도 있다는 거. 인공이 무조건 나쁘다는 안일한 생각은 버려야 함. 벌레와 같이 살며 물리면서 사십시요.

      @user-cm8dd5vy7u@user-cm8dd5vy7u2 ай бұрын
  • 목조건물(볏집건물 포함) 이 화재에 취약하다 생각하지만 의외로 안전합니다. 불이 낫을때 전소되는 시간이 길어 충분히 탈출 시간을 얻을 수 있습니다. 경량철골(샌드위치 판넬) 은 열 전도율이 높아 바로 붕괴로 이어지는데 목조는 완전히 탈때까지 붕괴되지 않고 순차적으로 무너집니다. 콘크리트는 단열재들(스티로폼) 때문에 화재에 취약해지죠. 열기보다는 유독가스에 목숨을 잃습니다. 어떤 종류의 건축물이든 불이나면 철거해야 되므로 재산을 모두 잃는건 마찬가지고요. 지진이나 충격에 의한 붕괴도 생존률이 매우 높습니다. 산사태나 매몰에는 콘크리트보다 취약하지만 온대지방,한대지방에는 콘크리트보다 우월하다 봅니다.

    @user-sn1mb4np8o@user-sn1mb4np8o4 ай бұрын
  • 마스크라도쓰고하시지...저분들이있어 좋은집이탄생하네요~!안전조심하세요~!

    @user-oo4hj2pi1n@user-oo4hj2pi1n3 ай бұрын
    • 당신이 저 일해도 당신이 안 쓴다고 할것 입니다. 😭

      @user-vwx2666@user-vwx26662 ай бұрын
  • 코끼리 아저씨는 코가 손이래, 과자를 주면은 코로 받지요, 코끼리 아저씨는 소방서래요, 불나면 빨리와 데려가세요. 공연한 우려 일지 모르겠지만 내화성(耐火性)은 어떨까요? 붕산을 섞으면 내화성과 내충성이 늘어날까요? 초가집이 시원하고 따뜻한데 스레이드 지붕에서 개량된 초가집이 건설 되네요.

    @hyung-yulcho841@hyung-yulcho8414 ай бұрын
    • 미국에서 단열 재료로 잘게 자른 신문지 조각에 붕산을 침적 시켜 내화성을 가지게 해서 천정에 insulator로사용 합니다.

      @hyung-yulcho841@hyung-yulcho8412 ай бұрын
  • 여러분 계셔서 건강한 주택의 삶으로 이어져 국민 건강 지키면서 밝은 사회 환경을 완성 하시는 수고 덕분 입니다. 여러분 위하여!!!

    @user-zk9ou3ow3h@user-zk9ou3ow3h4 ай бұрын
  • 습기는 방수가 잘돼도 내외부의 온도차로 습기를 막을 수가 없는데 몇년 지나면 썩어서 허당일텐데....

    @user-ot3zs3my4o@user-ot3zs3my4o3 ай бұрын
    • 제습기가잇지요 허허 용량 빵빵한걸로 시스템옵션으로 거실과 방과 주방 화징실 까지 하면 장마철 여름 습도 80정도에서도 버틸수잇지않을까요?

      @domfree9235@domfree92352 ай бұрын
  • 볏짚으로 벽체하고 내부에 알루미늄으로 막으면 스티로폼으로 벽체하고 내부에 알루미늄으로 막은것 하고 뭔차이가 있나요? 말만 친환경 아닌가요?

    @aebiaebi8015@aebiaebi80154 ай бұрын
    • 소재를 친환경으로 썼다 이거죠. 공기통해야지만 친환경이 아니라 단열은 밀패가 중요합니다.

      @user-ec6gb1fb3o@user-ec6gb1fb3o3 ай бұрын
  • 어디서 주문 받나요

    @user-nb3gq6st1s@user-nb3gq6st1s2 ай бұрын
  • 대지진 겪어 보지도 못해놓고 말로만..안전고리는 그렇다쳐도 안전모도 개나주고... 이런사람들이 지업 스스로 천하게 만드는 인간들임

    @user-qx6dx6tt6y@user-qx6dx6tt6y4 ай бұрын
  • 좋아보이지만 나중에 벌레 서십지 생기기 쉽다

    @user-df9hq1fh4r@user-df9hq1fh4r4 ай бұрын
    • 벌레가 서식하려면 짚이 썩어야 하죠. 그래도 굼뱅이 정도고요. 그외 벌레는 월동 만 하고 갑니다. 목조 특성상 처마밑 벌집은 흔한거구요.

      @user-sn1mb4np8o@user-sn1mb4np8o4 ай бұрын
    • 빈대 서식처 됨

      @fullfanfick2314@fullfanfick23144 ай бұрын
    • @@fullfanfick2314 빈대 서식처= 침대

      @user-sn1mb4np8o@user-sn1mb4np8o4 ай бұрын
  • 건강하게 살려고 만들었는데 유지보수하느라 골병들어서 나중에 외벽을 벽돌이나 징크로 마감하지..

    @user-wq9ij5ew7w@user-wq9ij5ew7w4 ай бұрын
  • 여러가지로 어설픈 황토집ㆍㆍ벽체시공할때 열반사붙이면 통기성은? 그리고 저렇게 넓은 면적을 하나로 구들시공하면 차후에 균열문제가 나눠서 시공 할때보다 심할것같음..마감제시공하고나면 어디 균열있는지 찾기어려ㅂ죠..자다가 어디로 세어나올지 모를 미연소가스..감지기 곳곳에 여러개설치하고 침실은 각별히..수시로 연통 관리잘해야될듯.. 암튼 영상초반시공집은비추 ..영상후반 시공이 단열이 어떨지 모르겠지만 더 괜찮아보임

    @user-sq5hr4qh2r@user-sq5hr4qh2r4 ай бұрын
  • 일반벼..세끼꼬고 가마니 만드는 재료를 사용하면 저런 먼지가 없어요.

    @user-rr3mh3tv8m@user-rr3mh3tv8m3 ай бұрын
  • 자연은 쓸모있고 인체에 무해한 과학이다

    @user-qo2tp8oy3b@user-qo2tp8oy3b4 ай бұрын
  • 흙이든 나무든 풀이든 그 특유의 냄새는 못 없앤다 그리고 나무판지로 막으면 숨은 어떻게 쉬겠나 ㆍ

    @user-sd6hs9cm8c@user-sd6hs9cm8c3 ай бұрын
  • 일단 단열재보단 볏집 단열재.. 이게 좋아 보인다. 일반 단열재는 오래되면 변형이 종종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건 안 그럴 듯...

    @CoolBoricha@CoolBoricha4 ай бұрын
  • 좋은데 물에 닿거나 물에 접촉하고 난 후에 곰팡이가 볏짚에 생기면 금방 번져서 온 집에 곰팡이 냄새가 진동 합니다

    @user-gv1oi1he5d@user-gv1oi1he5d4 күн бұрын
  • 확실히 콘크리트가 아니어서 건물기초에서 라돈이 올라오는거 외엔 라돈방출이 거의 없을거고 냄새도 좋겠지만, 시공과정을 보니 스터드사이 중단열형식으로 볏집넣고 열반사단열재넣고 구조상 어쩔 수 없이 내단열식으로 내부에 볏집을 붙이는거 보니 환기가 안되면 내부습기로 인해 벽에 무조건 곰팡이 생깁니다. 열반사단열재 때문에... 열단사단열재는 그냥 비닐이라 생각하는게 맞습니다. 싸게 짓는 전원주택들 열반사단열재 많이 쓰는데 단열 잘되면 냉난방비 적게 나와야지요 근데 전원주택들 난방비 폭탄이지 않습니까.. 패시브하우스급주택들 제외하구요.. / 지붕역시도 볏집위에 비닐덮고 타카치는 방식이라 물은 조금씩 스며들거고 썩을 겁니다. 기와가 잘 버텨주길 빌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andyn8574@andyn85747 күн бұрын
  • 다 좋은데 물 들어갔다가 완전 잘못되는 리스크가 있다는 것

    @no-turn-left.@no-turn-left.3 ай бұрын
  • 저것이 같은두께 스테로폼 보다 단열이 잘될까 어차피 목조라 화재나면 다타는거고 작업자 눈과 폐는 다절단 나고 지붕 아무리 잘해도 세월에는 장사가 없어서 누수가 조금씩 생기기 마련 소금숫 비용 만만치 않을테고 그래봐야 시각적 효과 일뿐 오래되면 두꺼워 각종 벌래의 온상이 될테고 비용은 인건비 포함 대략 4배는 될것같고 전체온돌은 좋은 아이디어 같은데 불을 뭘로 때는지? 설마 장작은 아니겠지.

    @jaynam6840@jaynam68403 ай бұрын
  • 25키로면 합판지붕에 쓰기엔 너무무거운데..혹씨 윗단 물세면 엄청무거워지고 볏단과 밑합판 다썩고.. 눈오면 더 무거워서...노후집 어찌될까??? 볏집만 120*25kg=3톤 10년이상 노후집 태스트는 해봣나 몰러.. 옆 벽판으로는 쓸만하고,, 지붕은 현행대로 내열 발포 우래탄종류가 정답

    @user-lt1yx8ln6n@user-lt1yx8ln6n3 ай бұрын
  • 에어컨이 따틋해요 히히히

    @user-st5ld2nh7d@user-st5ld2nh7d4 ай бұрын
  • 볏짚은 썩는데 내장재로 가능할까! 물론 물과 접촉만 안 하면 된다지만 습기라는게 어디로든 침투하기 마련인데!

    @user-zv8iz2mk5o@user-zv8iz2mk5o3 ай бұрын
  • 장마철 볒짚 발효된 냄새가 집안에 가득할듯...차라리 황토흙이 좋지않을까?

    @user-qp4dk2lw2n@user-qp4dk2lw2n3 ай бұрын
  • 집푸라기가 문제가 아니나 뼈대 나무가 뮨제가 아니던가.😢😢

    @user-ud1ns5jw4x@user-ud1ns5jw4x3 ай бұрын
  • 볏짚을 압축을 강하게 해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아 불이 안붙는다고 하는데 어떻게 통기성이 좋고 숨쉬는 집이 된다는 건지 참 신기하네요

    @gandhi3337@gandhi33373 ай бұрын
    •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공기가 흐를수잇는 구멍이 잇겟지요 살아숨쉬는나무 이런 비유적인 표현도잇지요 아니 당체 나무가 공기를 들이 마시고 숨을 쉬어서 오염된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만들어준다니? 눈으로보면 나무에 공기가 원활하게 들어갈곳이 없어보이지만 잎으로 이산화 탄소와 산소를 마시고 배출하지요 흙과 지푸라기도 그러하다는 머 그런것이겟지요

      @domfree9235@domfree92352 ай бұрын
  • 위험해 보여요 ㅠㅠ 안전 장치를 좀하고 하셔야할듯

    @user-tj4ql5qk4y@user-tj4ql5qk4y3 ай бұрын
  • 일본 다다미에서 잠안자본 사람들은 모르지., 눈에 안보이는 벌레에 물리고 몽간지러워 디진다ㅋㅋㅋ

    @user-xr9oo5zj4n@user-xr9oo5zj4n4 ай бұрын
  • 짚 뭉친게 불이 붙어도 않탄다는건 과장 아니냐? 불연재도 아닌데!

    @jp-li2bo@jp-li2bo10 күн бұрын
  • 황토마무리는 모든걸 해결하주지 않을까

    @user-su3tt6dh6c@user-su3tt6dh6cАй бұрын
  • 볏집을 압축하면 단열 성능이 떨어지는게 아닐까요? 한옥도 아니고 목조주택도 아니고 어떤 집인가요?

    @user-vp5te5rb4e@user-vp5te5rb4e4 ай бұрын
    • 같은 두께라면 밀도가 높아야 단열 성능이 좋아진다고 해요.

      @han002k@han002k4 ай бұрын
    • @@han002k 네~~

      @user-vp5te5rb4e@user-vp5te5rb4e4 ай бұрын
    • 초가집입지요 흙과 나무와 지푸라기로 지은집이 바로 초가집입니다 다만 지푸라기가 외부로 노출이 없다는게 특이합니다

      @domfree9235@domfree92352 ай бұрын
  • 먼지먹다가 사람이 먼저갈듯 어렵다

    @user-tz1eb7ho8f@user-tz1eb7ho8f3 ай бұрын
  • 화재나면

    @musichunter@musichunter3 ай бұрын
  • 불나면 엄청 잘 타지 않을까요???

    @user-nc1ft4sh9k@user-nc1ft4sh9k3 ай бұрын
    • 지푸라긴데 안탄다네요. 영상서 압축해서 그렇다나 . 궁금한게 압축하면 더오래 타지않나??!!

      @domfree9235@domfree92352 ай бұрын
  • 볏짚보드 😮😮😮😮 시공하라 😊😊 극한 직업 👉 🔥 숨쉬는 단열재材볏짚 먼지😊😊 못으로 고정 😮😮 25Kg 볏짚보드 😊😊

    @user-wg3ul8tl4q@user-wg3ul8tl4q4 ай бұрын
  • 현장설치하는 지붕 공사는 아무리 속에 들어가는 단열공사라지만 뭔가 마감이 상당히 어설퍼 보이네요~

    @stmaster9791@stmaster9791Ай бұрын
    • 저도 그렇게 보입니다만 방송에만 안나올뿐 추가적인 마감작업이 있을거라보구요 핵심적인 기술 부분을 비공개하는 이유도 있을수도 있겠지요

      @user-uz2ur8pj2r@user-uz2ur8pj2r24 күн бұрын
  • 새로운 공법이 아니잖아요 일본 호가이ㅣ도에서는 오래전 부터 사용했던 공법입니다

    @user-kq5kk1nf3y@user-kq5kk1nf3y2 ай бұрын
  • 인건비 상당히 비싸보임😅😅 볏집보드 테두리만큼은 알루미늄 보강필요? 황토대신 다른 부자재 사용 타당성 필요? 시공시간단축 인건비 조정필요,,인구절벽시대 일일히 수작업,,개선필요😂😢😅

    @user-ce8bd4yl8u@user-ce8bd4yl8u4 күн бұрын
KZh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