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왜 220V 전압을 사용하는 걸까?

2024 ж. 13 Мам.
195 546 Рет қаралды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가 220V의 전압이라는 사실은 다 알고 있을 겁니다. 그런데 해외의 제품을 구매하거나 해외에 가보면 110V의 전압을 사용하는 나라들이 꽤 있습니다. 사실 우리나라도 원래는 110V의 전압을 사용했는데, 220V로 승압한 겁니다. 여기서 주제의 의문이 생깁니다. 왜 승압한 것이고, 다른 나라는 승압하지 않았을까요?
[오류] 01:46 테슬라의 국기 표시에 오류가 있습니다. (*흰-파-빨이 아니라 파-흰-빨입니다)
- 사물궁이 유튜브 채널 구독 : / @smgi
- 사물궁이 시리즈 정주행 : • [사물궁이] 전체 영상
- 궁금증 제보 : forms.gle/xT6HQEpVTYbfe9EY8
- E-Mail : facebookspeedwg@gmail.com
※ 참고자료·논문자료·자문 등 도움
- '김기사의 e-쉬운 전기'의 저자 소망 김기사
: blog.naver.com/somang8991
- 국가발전지표
: www.index.go.kr/unify/idx-inf...
- Han, Man-Chun. "배전전압승압의 경제성." The Science & Technology 1.2 (1968): 15-23.
: www.dbpia.co.kr/Journal/artic...
- 이태정. "배전승압사업의 경제성 평가”." 한국경제학보(구 연세경제연구) 14.1 (2007): 215-258.
: 165.132.79.212/kje/archive/vol14/no1/kje_14_1_7.pdf
- Wikimedia
: commons.wikimedia.org/wiki/Fi...
▪ 배경음악
: Burlesque Heartache - RKVC
: After the Soft Rains - South London HiFi
: Digital Memories - Unicorn Heads
: Eyes of Glory - Aakash Gandhi
: Cartoon Bank Heist (Sting) - Doug Maxwell/Media Right Productions
: Gunpowder Tea - Mini Vandals
▪ 애니메이션 감독 : Studio S
▪ 음향효과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공정자료 이용 및 자체제작
▪ 기타 사진·영상 :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진과 영상 이용
00:00 원고 투고자 소개
00:12 주제 소개
01:23 우리나라가 110V에서 220V를 사용하는 이유는?
02:40 110V에서 220V 변경하는 승압 사업의 장점은?
04:34 왜 100V대의 전압을 사용하는 나라들이 많을까?
05:40 상황이 더 안 좋은 일본..
06:02 정리
#사물궁이 #궁금증 #호기심 #잡학 #승압사업 #전기 #220V #110V #전압 #승압 #국뽕
Copyright. 사물궁이 잡학지식. All rights reserved

Пікірлер
  • [오류] 01:46 테슬라의 국기 표시에 오류가 있습니다. (*흰-파-빨이 아니라 파-흰-빨입니다)

    @SMGI@SMGI15 күн бұрын
    • 이런거 보면 외국인이 태극기 거꾸로 뒤집어서 사용해도 그들은 잘 모르는 거 처럼 이해해 줘야함

      @user-kv7jy2fc1k@user-kv7jy2fc1k15 күн бұрын
    • 졸지에 니콜라 테슬라가 러시아 사람이 되어버렸군요

      @shj6633@shj663315 күн бұрын
    • ㅋㅋㅋ 피식했네요

      @piribuisaman2673@piribuisaman267315 күн бұрын
    • 파흰빨도 아닌데

      @user-ny6wt2xs7z@user-ny6wt2xs7z15 күн бұрын
    • 크로아티아 태생 아닌가요?

      @user-fz7ed6be1d@user-fz7ed6be1d15 күн бұрын
  • ㅋㅋㅋㅋㅋㅋ 썸네일 최신 이슈반영 속도 짱이네요 알고있던 내용이어도 누를수밖에 없었습니다 ㅋㅋ

    @puding0112@puding011216 күн бұрын
    • 22222

      @user-jb1ix1oi5z@user-jb1ix1oi5z15 күн бұрын
    • ㅋㅋㅋㅋㅋ순간 대른내용인줄

      @BoPplle@BoPplle15 күн бұрын
    • ㅋㅋㅋㅋㅋㅋㅋㅋㅋ

      @pk._.07@pk._.0713 күн бұрын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JustGAMEJust@JustGAMEJust12 күн бұрын
    • ㄹㅇ ㅋㅋ

      @1000yang@1000yang11 күн бұрын
  • 220v 단일화 진짜 신의 한수임. 일본 10년차 살고 있는데 이 나라는 100v라서 소비전력 높은 제품 여러개 틀면 두꺼비집 내려감 ㅋㅋ 한국에선 이제 두꺼비집 내려가는거 경험할 일도 거의 없을텐데... 진짜 구라안치고 여름/겨울에 냉난방 하는 상태에서 컴퓨터 켜놓고 물끓이면서 전자렌지 돌리면 두꺼비집 내려가는거 일상다반사...

    @Yangpa2@Yangpa216 күн бұрын
    • ​@@epi1974s 전기로 난방을 할수 있음 전기는 만능임

      @koreawp@koreawp16 күн бұрын
    • 전기차 충전도 2배로 오래 걸려요??

      @jeffkang3146@jeffkang314616 күн бұрын
    • @@epi1974s 오래전 부터~ 가능했습니다! 버튼하나 눌러서~(or 스윗치 반대로 돌려서) 냉방모드/난방모드 변경가능 한 제품 이 흔합니다!

      @user-ze4nv9rt6m@user-ze4nv9rt6m16 күн бұрын
    • @@epi1974s벽걸이 에어컨으로 냉방과 난방을 둘다 사용합니다

      @defender_1303@defender_130316 күн бұрын
    • 냉온풍기라고 하죠,, 냉온풍기는 우리나라에도 있음

      @luv9678@luv967816 күн бұрын
  • 내가 듣던 수업의 물리학교수님이 220V가 무조건 다 좋다고 보면 된다 그랬음 이 영상에서 봐도 알 수 있듯이 장점밖에 없을 정도로 220V로 사용하는 게 좋지만 다른 나라들은 이미 110V로 인프라가 다 구축되어 있어서 어쩔 수 없이 그냥 쓰는 거임.. 우리나라는 진작에 바꿔서 정말 잘된일임

    @gksosla@gksosla16 күн бұрын
    • 그쪽동네는 L N 에 -110/+110을 넣고 접지에 중성선을 잇는 방식으로 220V를 쓸 수 있습니다.

      @__flynrailer3904@__flynrailer390416 күн бұрын
    • 아무레도 그렇죠. 일반인이 전기배선 까고 할일은 없을 테니까요

      @MsTuring@MsTuring16 күн бұрын
    • @@__flynrailer3904 반면 우리도 그렇게 해서 400V 쓸 수 있음

      @thebravegallade731@thebravegallade73116 күн бұрын
    • @@thebravegallade731 그럼 반반가챠가 아니라 확정적으로 피카츄가 되겠죠. 110볼트는 전압이 낮아 몸에 흐를 수 있는 전류가 적지만 220은 더 높은 전류가 흐를테니까요

      @__flynrailer3904@__flynrailer390416 күн бұрын
    • 몇년전 태국인가? 동남아 국가 여행가보니 110v 에서 220v로 교체 사업 중이라 하더군요

      @moontee3516@moontee351616 күн бұрын
  • 시기적절하게 교체를 추진한거 같아서 정말 다행이고 놀랍네요

    @minsukim6185@minsukim618516 күн бұрын
    • 시기적이네

      @user-gt1rt4no7h@user-gt1rt4no7h16 күн бұрын
    • 늦게 할수록 사회적비용이 더 들었을거에요

      @39bam@39bam15 күн бұрын
    • 요즘은 뭐 하나 바꾸기 힘들지

      @user-mh2xo2cn8q@user-mh2xo2cn8q8 күн бұрын
    • 독재의 좋은 예. 지금이였으면 반대여론때문에 못바꿨음

      @cruze1.8@cruze1.87 күн бұрын
  • 이 조그만 땅에서 그나마 초기에 바꿔도 30년이 넘게 걸렸는데 솔직히 다른 나라는 엄두도 안나겠죠 ㅋㅋㅋㅋ

    @jshwang9052@jshwang905216 күн бұрын
    • 사실 이게 핵심이죠 심지어 우리도 좀더 늦게 시작했으면 답이 없었을 텐데 그나마 70년대부터 시작해서..

      @slavecoder9928@slavecoder992816 күн бұрын
    • 일본은 기술이 없어서 220v를 안했을까요? 엄두가 안난데 ㅋㅋ어이없어 웃기네요

      @INFP8573@INFP857316 күн бұрын
    • 이게 맞음. 220v단일화 시작할때 전기자체가 지금처럼 존나 써대는게 아니였기때문에 쉽게 받아들여진거임

      @user-qc6mc5px1t@user-qc6mc5px1t14 күн бұрын
    • 공장이나 수도권부자들이나 전기좀쓰는수준이었지 일반서민들은 라디오나 전구만 썼기에 사용량이 낮아 그나마빨리교체할수있던게 신의한수

      @puckyoun@puckyoun13 күн бұрын
    • 먼 미래를 내다보고 승압사업 밀어부친 박정희 각하 ㄷㄷ

      @user-yc1zz8kw9h@user-yc1zz8kw9h13 күн бұрын
  • 아 즐거우시냐고요ㅎㅎ

    @OFFTHEDDODDO@OFFTHEDDODDO16 күн бұрын
    • 110V 밟으실 수 있죠??

      @user-jg5kq2ir8z@user-jg5kq2ir8z16 күн бұрын
    • 진짜 그 카톡은 뭔생각으로 보낸걸까?ㅋㅋㅋㅋㅋ

      @User-qdk3whx5pa@User-qdk3whx5pa16 күн бұрын
    • 즐거우세요?

      @user-rs6vd7ok4o@user-rs6vd7ok4o16 күн бұрын
    • 빽! 쉽볼트가 너무 많아서! 해외여행을 가면 욕을 안할수가 없어!!

      @user-kd9xf8hc1y@user-kd9xf8hc1y16 күн бұрын
    • 이건 어디서 나온 말인가요?

      @asrayi@asrayi16 күн бұрын
  • 우리나라가 가능한 이유가 땅덩어리가 작고 70년대는 아직 많은 집들에 전자기기가 보급이 되지않던 시기였고 제일 핵심은 군부 독재시기였죠 까라면 까는게 가능한 시대였습니다

    @user-ru7vq1eq8c@user-ru7vq1eq8c16 күн бұрын
    • 아다리 딱딱 맞던 시기 ㅋㅋ

      @eskad@eskad16 күн бұрын
    • 도로공사 현장에 드러눕던 자도 있었던..그 사람이 도요타다이쥬... 7쪽 인간 아닌 자들이 숭상하는 ...도요타다이쥬...다 쉽지 않은 것이였죠... 다 못하는 이유가 18억개이고 실행한 것은 단 하나, 밀어 붙인 것이죠,, 선지자적 예지력...박정희 이승만 만세...도요타 다이쥬 안만세....

      @dkffkanjgopung9724@dkffkanjgopung972416 күн бұрын
    • 개도국에 전자기기도 많이 없던 시절이니 가능 지금 모든 기기 다 바꾸라면 110 쓰자 할듯

      @chihuahua70@chihuahua7016 күн бұрын
    • 왠지 우리나라 사람들은 애국심있는 독재자같은 스타일이 정서에 맞는 거 같아..

      @user-rf5sz7ti7u@user-rf5sz7ti7u16 күн бұрын
    • ​@@user-rf5sz7ti7u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윤석렬이 애국심이 있다고? 웃기는 소리.

      @samofei@samofei16 күн бұрын
  • 그 당시에 주장해주셔서 감사하고, 설득듣고 추진해주셔서 감사하고, 그에 반발하지 않고 대부분 잘 따라주셔서 감사하고

    @dallo_come@dallo_come16 күн бұрын
    • 반발할수가없지 대부분은 전자기기도없었고 혹시나 반발하면 종북이라 총살당하는데

      @puckyoun@puckyoun13 күн бұрын
  • 110V가 220V보다 더 화재위험이 높다는걸 알려줘도 못믿는 사람이 있더라.. 사람들이 전압이 화재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진짜 위험한건 전류값인데.. 110V가 220V와 같은 일을 내려고 더 많은 전류가 흐를 수 밖에 없는 구조라서 110V가 화재위험이 배로 높은데.

    @user-ly3nq6qg5q@user-ly3nq6qg5q15 күн бұрын
    • 고압보단 전류가 높아야 사람이 죽는다고도 들었던 거 같아요

      @user-pk1vo3zi3i@user-pk1vo3zi3i13 күн бұрын
    • 고압 사용이 정상적인 가전 제품을 동작하기에는 더 적은 전류를 사용하긴 하나(P = IV) 누전등 이상환경에서 더 많은 전류를 흘릴 것 같은데. I = V/R (동일 저항에서 전류는 전압에 비례) 조금더 풀어서 설명 해주시겠어요?

      @Auroraciel1@Auroraciel113 күн бұрын
    • 전류가 높아지면 발열이 높아진다고 듣긴 들었던것같음. 근대 그러면 일본은 전기차 800V급 급속충전 환경은 아예 꿈도 못꾸겠네 … 그런 인프라 현실도 일본이 하이브리드를 밀어붙이려는 배경중에 하나인가

      @davidpark3602@davidpark360213 күн бұрын
    • @Auroraciel1 P = VI , V=IR 이기 때문에 P = I^2R 즉 I의 제곱에 비례하죠, 일반적으로 누전 등의 문제가 생겼을 때 공급되는 전력 소스의 P는 상한선이 있으니 P = VI에서 Pmax = V Imax 라는 얘기가 되는데 Imax는 V(정격전압)과 반비례관계를 가져 I의 값이 낮아지고 I가 낮을수록 누전시 전력 P누전의 값도 낮아지는 거죠. 그리고 일반적으로 누전시 문제가 되는 전기전자 제품이라면 접지가 되어있을 텐데 접지가 대지 접지로 되어있으면 가정에서는 대부분의 누설전류를 상쇄할수 있겠지만, 여러이유로 다른 방식의 접지(수도관 등)가 되어있다면 흐르는 전류량을 최종적으로 적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관여하는 것이 전기용량이라는 부분인데 전기용량은 결구 얼마나 많은 전류가 흘러 전자가 쌓이는 가에 대한 값이라 어떻게든 전류를 줄이려고 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전류의 정의가 dI = dQ/dt 이기 때문에 요렇게 된다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user-rb2yt6rb5q@user-rb2yt6rb5q13 күн бұрын
    • @@user-rb2yt6rb5q I max를 더 적게 관리 한다면 맞는 말 같네요.

      @Auroraciel1@Auroraciel112 күн бұрын
  • 그렇네 우리도 예전에는 110볼트를 사용했었지 어릴때 할머니집 가면 콘센트가 110볼트여서 미국에 살던 고모가 가전제품 사온거 그냥 꼽아서 쓰던 기억이 있네요

    @user-of9el8vd3o@user-of9el8vd3o16 күн бұрын
  • 애매하게 알고있었는데 좋은 설명 감사합니다

    @user-wj4kf1wo6o@user-wj4kf1wo6o10 күн бұрын
  •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도움되는 영상 많이 감사합니다 ㅋㅋㅋㅋ

    @hayeonkim7838@hayeonkim783816 күн бұрын
  • 땅덩어리가 좁은게 이점이 된 경우 ㅋㅋ

    @lIlllIIllII@lIlllIIllII16 күн бұрын
    • 아이러니하게도 타이밍을 잘 탄게 운이 좋았지요 …

      @davidpark3602@davidpark360213 күн бұрын
  • 그래서 80년대 가전제품은 기본 플러그는 일자형 110볼트 에다가 플러그 앞에 220볼트 콘센트에 끼울수 있어 부품 하나가 더 달려 있었음... 이름하여 110볼트 220볼트 겸용..

    @user-bi7rh8nf6l@user-bi7rh8nf6l16 күн бұрын
  • 오우 생각해본적도 없었는데 흥미로운 내용이네요ㅎㅎ 잘보구 갑니다

    @moonnightend7845@moonnightend784514 күн бұрын
  • 재밌고 유익해요😊

    @nsdocqh1075@nsdocqh107516 күн бұрын
  • 그러고 보니 제가 학교 다닐때는 정전이 가끔 있었네요. 심지어 어느 동은 몇시부터 몇시까지 정전 한다고 알려주기도 했었는데. 어느순간부터 그런게 없어져서 정전이라는걸 모르고 살았네요 ㅎ

    @user-rd8np6uq2c@user-rd8np6uq2c16 күн бұрын
    • 그거는 변압기 교체할때 정전나는거였고 지금은 무정전 공사법으로 공사하기때문에 정전이 없는겁니다!

      @user-bl9ek6zu5i@user-bl9ek6zu5i16 күн бұрын
  • 전기관련 종사자분들 덕분에 이렇게 편하게 살고있네요 ㅎㅎ 감사드리고 사고나지 않길 바랍니다

    @gorani0_0@gorani0_014 күн бұрын
  • 첫단추가 중요하네요

    @dfdfsdfa@dfdfsdfa16 күн бұрын
  • 테슬라>>>>>>에디슨 인성부터 차이남

    @asakkkkk2@asakkkkk216 күн бұрын
    • 테슬라는 너무 낭만가라 무선 전봇대도 만들려고 했죠 그 전봇대 이름이 테슬라 코일..

      @RedBookTeacher@RedBookTeacher16 күн бұрын
    • 에디슨은 그냥 사업가 기질이 다분했죠..

      @user-sc1uo9xc5w@user-sc1uo9xc5w14 күн бұрын
    • @@RedBookTeacher순간 레드얼럿2 테슬라코일 떠올렸다가 온몸이 저릿저릿해짐을 느낌 … ㅎㅎ

      @davidpark3602@davidpark360213 күн бұрын
  • 전산기 공부한다고 이 영상이 뜨네 오늘도 열공

    @Werewolf_Swordsman.Nickel@Werewolf_Swordsman.Nickel16 күн бұрын
  • 90년대까지 도란스 썼었죠 ㅋㅋㅋ 그런데 우리나라는 기존 인프라가 별로 안 깔려있어서 선진국 대비 사업 진행하기가 수월했죠.

    @oasisu2@oasisu215 күн бұрын
  • 오 그렇군요.

    @user-lf1wk6vb9k@user-lf1wk6vb9k16 күн бұрын
  • 1:51 니콜라 테슬라는 오스트리아 제국 출신인데 여기선 러시아 출신으로 표기되있네요.

    @user-sw9ee6hn5r@user-sw9ee6hn5r16 күн бұрын
  • 미국 교외 지역 살고 있는데 생각보다 정전 잦음. 110V 사용해서 좀만 많이 써도 전기 내려가는 것 외에도 나무가 너무 많은데다 비바람이 세차게 몰아치거나 눈이 많이 오면 나무가 부러지면서 목재 전봇대를 넘어뜨리거나 전봇대에 있는 전선들을 끊어버려서 (이 동네는 인건비도 비싸고 너무 국토가 광대해서 땅에 전선 지중화가 엄청 비싸서 인지 교외 쪽은 그런 거 없음.) 여름철 & 겨울철 정전이 잦은 편임. 근데 더 답답한 건 해결에 며칠 씩이나 걸림.

    @inwookchoe1288@inwookchoe128816 күн бұрын
    • 어휴 후진국이네

      @narak_abyss@narak_abyss10 күн бұрын
  • 고마워요 스피드웨건!

    @user-ok4my7ve6o@user-ok4my7ve6o15 күн бұрын
  • 2005년도에 마무리 되었다니 그게 더 놀랍네요!

    @jsp4882@jsp488213 күн бұрын
  • 한만춘 교수님 감사합니다☺️

    @Ian0402@Ian040216 күн бұрын
  • 사실 썸네일때문에 들어왔을뿐인데......... 유익한 정보 얻고가네요

    @SangjoonLeeeee@SangjoonLeeeee15 күн бұрын
  • 고마워요! 스피드웨건!

    @tngul@tngul12 күн бұрын
  •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user-bu9ft5kh2q@user-bu9ft5kh2q16 күн бұрын
  • 우리나라가 진짜 타이밍이 좋았던 거구나...

    @qlife1146@qlife114616 күн бұрын
  • 90년대 중반까지도 강남에 한달에 두어번 정전이 있었답니다. 특히 여름에 자주 터졌죠... 이후 도란스 라는 겁나 무거운 220을 110으로 낮춰주는 장비가 집집마다 1개는 꼭 있었다지요.....지금은 어뎁터 크기만 하더이다...ㅋ 옛날 생각 나네요.

    @13cats@13cats16 күн бұрын
    • 하긴 그때까지는 110볼트랑 병행하여 썼으니까요 제가 살았던 동네도 한 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 정전이 간간히 일어났었네요

      @user-vd4gt7kd8r@user-vd4gt7kd8r16 күн бұрын
    • 지금도 고용량은 전자레인지만합니다. 님이 보신건 100W 정도의 제품입니다

      @__flynrailer3904@__flynrailer390416 күн бұрын
  •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sergioygkeke@sergioygkeke12 күн бұрын
  • ㅎ.ㅎ 송전 효율을 높일 수 있었던 좋은 혜안이었지요.

    @wersing123@wersing12316 күн бұрын
  • 진짜 어릴때는 110볼트 제품 많았었는데, 220볼트 제품 쓸려면 도란스갖다 꽂아서 쓰곤 했었는데. 와 진짜 이건 정말 성공한 사업이고, 추진력에 너무 감사하다. 땅떵어리가 작아서 가능한 일이기도 하고.. 참 정말 복받은 나라여

    @jasonoz2025@jasonoz202516 күн бұрын
  • 우리나라는 220볼트에 60헤르츠를 사용하고 중국은 220에 50헤르츠 일본은 지역에 따라 110볼트에 50헤르츠 혹은 60헤르츠로 갈림 또한 승압만 한다고 되는 게 아님 당시 우리 나라는 110볼트 사용하면서 연선을 많이 사용했는 데 이것도 교체해야 했습니다 만약 110볼트에 사용하던 전선을 벽 내부에 그대로 두고 사용하면 높아진 전압으로 인해 화재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220볼트 승압 사업은 70년대에 시작해서 2000년대에 마무리하였습니다 그걸 기억하는 게 그 당시 숙소에 있었는 데 승압한다고 변압기를 주면서 110용 전기 제품에 꽂아서 쓰면 된다고 하였습니다 거기에 벽 내부의 전선을 일부 교체하더군요 또한 그 당시 우리 나라는 110/220겸용 전자제품이 많아서 110을 쓰다가 220으로 사용하는 세 가능했습니다 예전 컴 파워서플라이를 사용한 뷴들은 잘 알 겁니다 변환스위치가 있었다는 걸 말입니다 선풍기나 전열기도 상당수 많았습니다 그런 여러 제반 요건으로 인해 우린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것이고 일본이나 미국은 그런 부분이 안되어서 승압을 못하고 여전히 110을 사용하는 겁니다 가끔 미친 콩깨이가 우리나라 전기 규격은 프리볼트라고 주장하는 데 이건 틀린 겁니다 우리 나라는 220볼트에 60헤르츠가 표준입니다 만약 그 미친 인간이 주장하는대로라면 여전히 100볼트짜리 가전 제품도 있어야 하는 데 그런 제품들은 없습니다 또한 110볼의 소켓 규격으로 인해 헐거워진 상태로 쓰다가 화재 발생이 많아서 승압을 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user-qm8es6bi7g@user-qm8es6bi7g16 күн бұрын
    • 테클은 아니구요.. 기성품 아닌 맞춤제작한 전동공구나.. 물건 버리는거 극도로 싫어 하는 사람들이 110V도란스랑 같이 가지고 다니는거 본적 있습니다. 한 4명정도 본거 같네요..

      @user-kd9xf8hc1y@user-kd9xf8hc1y16 күн бұрын
    • 일본은 110V가 아니고 100V입니다

      @user-nn1kh6ym8i@user-nn1kh6ym8i15 күн бұрын
    • @@user-nn1kh6ym8i 아 네 맞습니다 100볼트입니다 100볼투 규격에 110볼트 사용 가능입니다

      @user-qm8es6bi7g@user-qm8es6bi7g15 күн бұрын
    • @@user-kd9xf8hc1y 기성품중에서도 트랜스 들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분들 저도 보긴했습니다 그래서 공사하는 분들 트럭에 변압기를 몇 개씩 들고 다니더군요 지금도 그렇게 다니는 지 모르겠습니다

      @user-qm8es6bi7g@user-qm8es6bi7g15 күн бұрын
    • 일본의 호쿠리쿠 지방을 달리는 열차들 보면 교직류 양용에다 주파수 변환장치까지 달려있어 비싸다죠.... 제일 비싼게 지난번에 나가노 차량기지 침수로 피해를 본 신칸센 E7/W7계 차량이라는....

      @user-yb4nl3pg6e@user-yb4nl3pg6e13 күн бұрын
  • 250만볼트 가즈아🎉

    @user-cc3fm6vl3d@user-cc3fm6vl3d16 күн бұрын
  • 진짜 과학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써 사물궁이님 덕에 많은걸 알아갑니다

    @korean_air8716@korean_air87164 күн бұрын
  • 사실 이것보다. 왜 같은 220V인데도 EU의 플러그와 우리나라의 플러그두께가 달라 서로 호환이 어렵게 한것인가 하는것이죠 물론 EU에서도 접지가 되는것은 두께가 4.8t로 우리나라와 같으나 범용적인 코드는 모두 두께가 4.0t로 우리나라와 안맞아 참 불편합니다.

    @RealTalker16@RealTalker1616 күн бұрын
    • 유럽은 정말 나라마다 천차만별이라... 프랑스와는 호환이 잘 됨. 약간 헐렁한 감이 있긴 한데, 그냥 사용해도 문제 없음.

      @macdori@macdori16 күн бұрын
    • @@macdori 유럽도 표준이 여러개 있지만 대체적으로는 EU표준 1개로 어느정도 커버 가능하고 그리고 4.0과 4.8t는 아래 블로그 내용 참조하시고 전기는 함부로 이야기 하면 안됩니다. blog.naver.com/kunmool/221605182861

      @RealTalker16@RealTalker1616 күн бұрын
    • 우리나라 플러그, 소켓 규격은 독일과 동일합니다. 다만 상당수 멀티탭들이 고정력이 부실해서 유로플러그가 잘 고정되지 않는것입니다. 고정력 좋은 제품들은 유로플러그도 잘 고정됩니다.

      @shinhs6291@shinhs629113 күн бұрын
    • EU플러그 충전기 쓰는데 그냥 쓰기에는 헐렁거려서 돼지코 분해 후 쇠막대 입혀서 쓰는 중입니다.

      @geometrydashpianomen1441@geometrydashpianomen144110 күн бұрын
  • 220V는 신이야

    @user-cd5tt6xz1w@user-cd5tt6xz1w16 күн бұрын
  • 할아버지가 쓰던 가전들이 거의다 110볼트여서 도란스(소형변압기) 따로 연결해서 쓰곤 했는데 벌써 40여년전 일…

    @namemy5314@namemy531413 күн бұрын
  • 1980년에서 1994년까지 생산된 가전 제품은 대부분 입력 전압을 110V/220V로 전환하는 스위치/커넥터가 내장되어있습니다 비디오 플레이어나 전축은 바닥이나 뒷면에 입력 전압 조절 스위치가 있어서 그걸로 조절하고 선풍기나 전자레인지는 덮개를 열면 입력 전압 설정 컨넥터가 있어서 컨넥터의 위치 또는 종류를 바꿔줘야 됩니다

    @user-nn1kh6ym8i@user-nn1kh6ym8i15 күн бұрын
  • 한국의 전기차 충전규격은 미국의 CCS1 기준으로 따르고 있는데, 이것도 전압과 관련 있나요? 한국도 유럽처럼 CCS2를 사용하면 좋을까요?

    @dohyun_kim98@dohyun_kim9815 күн бұрын
  • 해외의 전기세가 비싼 이유 중에서는 전압 차이로 인한 것도 있군요

    @YdAllul@YdAllul16 күн бұрын
    • ㄴㄴ 그건 전압이랑은 전혀 상관없고 그냥 한전공사가 어마어마한 적자를 기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세금으로 메꿔서 그런겁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20V든 110V든 전력손실에 의한 전기세 차이는 5% 내외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lq6lm8fh6m@user-lq6lm8fh6m14 күн бұрын
    • @@user-lq6lm8fh6m 전기세 차이가 5%라는 게 최종적으로 고지서에 찍히는 금액이 5%차이라는 건가요 아니면 생산이나 송전 등으로 생기는 손실이 5%라는 건가요? 만약 손실이 5%면 생각보다 꽤 큰 비중인 것 같은데...

      @YdAllul@YdAllul14 күн бұрын
    • @@YdAllul 220V와 110V의 생산이나 송전 등으로 생기는 손실의 차이가 5%라는거죠 ㅋㅋ 전기세 차이도 10% 미만입니다 ㅋㅋㅋ 220V로 10만원 낼거 110V 쓰면 11만원 내는거죠 ㅋㅋㅋ 저 같으면 그냥 만원 더 내고 안전하고 가성비 좋은 전자제품 사용 가능한 110V 쓸거같네요 ㅎㅎㅎ

      @user-lq6lm8fh6m@user-lq6lm8fh6m14 күн бұрын
    • @@user-lq6lm8fh6m 국내는 세금으로 보전하기 때문에 전압으로 인한 차이를 비교하는 건 의미가 없다는 부분은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혹시 전체 전력의 5% 가까운 차이라면 경우에 따라서 발전소를 1개 더 지어야하는 차이까지 날 수 있진 않나요? 그럼 관련 설비나 관리, 인프라, 인력도 생각하면 동일한 국가에서 110v와 220v를 사용할 때 개인에게 부과되는 비용 차이는 10%를 초과할 수도 있지 않을까 싶네요

      @YdAllul@YdAllul14 күн бұрын
    • @@YdAllul 전압 110V로 유지하려면 지금 대한민국에 쓰는 전선 단면적 4배로 써야합니다 그리고 송전쪽 전압변동율 전압강하율도 많이 떨어져서 한국 전체적으로 보면 어마어마한 전력손실도 줄일수 있고요 쟤는 지금 당장 왜 승압했는지도 모르고 220V하고 110V하고 비교하는데, 전압을 올리면서 발생하는 위험성은 한국전기설비규정을 보면 거기에 맞춰서 안전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starhillup7555@starhillup755514 күн бұрын
  • 아직 우리나라가 110에서 220으로 넘어가던 과도기시절, 곳곳에서 가전제품 터트려먹던 생각 납니다. 초기에는 조그만 전환 스위치로 겸용제품이 나오다가 free volt 제품으로 바뀌어서 나왔죠.(프리볼트 제품은 기술적 안정성이 좀 떨어졌었습니다.) 퍽! 소리나면 퓨즈만 갈아주는거로 해결되었지만, 뻥! 소리가 나면 내부 회로까지 망가져서 수리비가 좀 나왔었죠. 저도 아는 사장님 사무실 가서 도와드리다가 , 어렵게 구한 일제 프린터를 실수로 잘못 꼽아 망가뜨려서 아주 죄송했던 ㅠㅠ 기억이 납니다.

    @higuri1@higuri113 күн бұрын
  • 한전에서 주고간 110도나스 아직도 집에있다 드라이용 작은거 드라이아직도 고장안남 ㅜ ㅜ 대신 도나스만 2번교체하고 지금은 방치

    @user-ml3bz8zu5u@user-ml3bz8zu5u16 күн бұрын
  • 전압이 낮으면 전류가 높아야 소비 전력을 따라 가기 때문에 전선의 부하량이 더 커져 화제 사고가 더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그렇다고 전압이 낮은게 더 안전 한 것도 아니란게 밝혀져서 안전성이나 효율로 봐서는 전압이 더 높은게 유리하지요 우리나라가 미리 잘 한 일 중에 하나 입니다

    @user-lb8nx2zb7b@user-lb8nx2zb7b16 күн бұрын
  • 밟을 수 있죠를 벌써 써먹네 ㅋㅋㅋㅋㅋㅋㅋㅋ

    @user-dj9qy9qf4o@user-dj9qy9qf4o16 күн бұрын
  • 35년전에 저 승압기 우리집에 있었어요. 승압기가 한대 뿐인제 그거 냉장고 전용이었고 전등은 저렴해서인지 제기억속엔 220볼트였고 텔레비전은 공용이었던거 같아요 110볼트짜리가 있고 손가락 두마디만한 플러그 앞에 끼워서 사용한 기억이 있어요 선풍기도 마찬가지로 저런식으로 겸용이었어요. 세탁기, 에어콘, 전자레인지 그외 여러 가전은 없었죠. 다리미는 1주에 한번정도 제가 큰집가서 빌려왔던 기억이 있네요.

    @MsTuring@MsTuring16 күн бұрын
  • 탁월한 선택입니다.

    @user-qu6tp8ho9c@user-qu6tp8ho9c6 күн бұрын
  • 미국도 건조기같은 고용량 가전은 NEMA플러그라고 하는 250V짜리 플러그를 따로 설치해서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것도 지역마다 250V 라인이 안들어오는 지역도 있고 그래서 필요해서 깔긴 했지만 딱히 효율적으로 보이진 않더라고요. 그와중에 한국은 전국적으로 220V를 쓰게 됨으로써 이러한 인프라나 자원의 낭비를 막았다는건 상당히 잘한일인거 같습니다

    @J00967@J0096716 күн бұрын
    • 미국에서 안들어오는 집은 없어요 110~125v사용하는 미국은 차단기에서 위상만 바꿔주면 바로 220~250입니다.;; 미국집에 테슬라충전기 설치할때 그 위상만 바꿔서 설치합니다. 아마존에서 차단기 안건들고 콘센트 2개 연결해서 바로 사용가능한 제품도 판매하구요

      @-_-SEAN-_-@-_-SEAN-_-16 күн бұрын
    • 미국집은 전부 110(+) 110(+) 2상 220 로 공급됩니다. 롱아일랜드나 도시에서 좀 떨어진 곳은 220(+) 220(+) 440 볼트가 들어와서 집집마다 지하실에 변압기 달려 있어서 110(+) 110(+) 으로 변환해서 공급됩니다. 졸라 무식한 한국식 220이 효율있다는 것도 전부 개소리입니다. 발전소에서 오는 고압전기는 각 집으로 공급되기전 근처의 전봇대에 있는 변압기에서 110이나 220이로 변환해서 공급해주는 거라서 딱히 110 이라고 효율적이라고 할수가 없음. 한국도 미국식 110(+) 110(+)으로 빨리 변경해서 더 효율적이며 안전하게 변환해야함... 근대 비리의 끝판왕 한전이 할리가.....

      @fallout69sog9@fallout69sog916 күн бұрын
    • @@fallout69sog9 그런 개거지같은 구조를 뭐하러 따라합니까 미뽕도 적당히 해야지 220v 로 승압이 되면서 전선 굵기도 얇아지고 110v 랑 220v 같은 제품썻을때 110v 가 효율성은 커녕 전선두깨를 220v보다 더 굵게 만들어야해서 설계자체부터가 문제입니다 전압이 낮아질수록 전류의 흐름은 커지게되고 그 전류의 흐름만큼 전기선 굵기도 굵게해야하는데 장비 바꿀때마다 전기선을 굵게하실껀지? 글고 미국은 가정용 저압 고압이 따로들어오니 고압용은 전기 많이먹는애 저압은 전기덜먹는애 이렇게 쓴다는건데 한국에선 그냥 콘센트에 꽃기만해도 바로 작동되는걸 굳이 콘센트 구분지어가면서 써야하는 불편함을 왜느껴야하나요 승압되면서 실보다 득이 많은상황인데 송전전압도 220v승압되면서 송전전압도 높아지기때문에 전압이 높아진만큼 송전에서 효율이 더나오는겁니다 미국에서도 테슬라가 220v 교류를 써야한다했지만 미국의 에디슨 사업가색기가 지꺼 팔아먹을라고 테슬라의견 싸그리 무시해서 지금 미국이 전기로 저꼴난겁니다 아니면 진작에 220쓰고 효율도 더좋게쓰겠죠 우리나라 전기료가 오른상태에서도 전세계적으로 비교하면 제일쌉니다 전기가 싼만큼 인프라 구축도 쉬워지구요 미국특성상 각 가정집이 단독주택처럼 되어있어서 그럴수도있는데 도시권이 아니라고 집집마다 변압기가 있는것이 정상은 아니죠...; 한국은 전봇대에서 변압기하나만 거쳐도 220바로 뽑아서 나오니까요 아무리 시골동네라고 해도 선진국이라고 막따라할게 아니라 뭐가 득이되는지 보세요 110이 효율적이면 그대로쓰지 왜 120~에서순처적으로 올리는지 생각을 좀 해봐야하지 않을까요?

      @dhcjsdhqorro@dhcjsdhqorro13 күн бұрын
  • 썸네일 돌았나진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InqUksong-tk7bb@InqUksong-tk7bb15 күн бұрын
  • 알고리즘 ㄷㄷ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실기 시험치고 왔는데 ㄷㄷ

    @Cresent999@Cresent99916 күн бұрын
  • 그건그렇고 세로콘센트는 110v용인데 바꿨으면 유럽식 가로콘센트로 바꿔야죠 (플러그간섭)그리고 어떤콘센트는 들어가면 안빠짐 그리고 아직도 병원은 110볼트 콘센트를 병행사용함

    @user-go2cp7bc1q@user-go2cp7bc1q16 күн бұрын
  • 한국의 승압은 가정의 손실을 소형변압기 하나 던져주고 퉁치는걸로 해결했는데 타국은 이게 안되니 섯부르게 승압을 못하는중. 전압이 바뀌면 110v전용제품은 변압기를 쓰던지 버려야 했고 전구도 마찬가지... 중간에 스위치로 선택이 가는한 겸용 제품이 나오긴 했지만..... 결국은 일반 가정에 전기제품 교체 손실을 떠넘기면서 진행한 사업임.

    @user-pz3hm6ep8z@user-pz3hm6ep8z16 күн бұрын
    • 그래서 손해를 감수하더라도 빨리 진행할수록 좋은 거죠 늦을 수록 국민의 손실도 커질 테니 아예 진행을 안 한다고 해도 누적되는 손실이 분명히 있을 거고 물론 현재 선진국 반열에 들어간 국가들은 늦어도 너무 늦었죠

      @-AYeon-@-AYeon-16 күн бұрын
  • 테슬라 선생님 당신이 옳았습니다. 갓슬라

    @coled9566@coled956616 күн бұрын
    • DC또한 많은 분야에서 쓰기때문에 누가 옳았다기에는 좀...

      @sg3743@sg374316 күн бұрын
  • 한만춘 교수님이 진짜 엄청난 업적을 남기셨네 이정도면 5만원짜리에 자리하셔도 될거같다

    @gholbang@gholbang13 күн бұрын
  • 솔직히 이런 거대 사업은 맞는 사업이라면 반대에 부딪혀도 확실히 밀어붙여야 하는데, 하~

    @bobjwo2@bobjwo216 күн бұрын
  • ㅅㅂ 완전 밈이 돼버렸네 방시혁ㅋㅋㅋㅋㅋㅋ

    @Archanfel777@Archanfel77713 күн бұрын
  • 사실상 감전이나 화재 말고는 220V를 110V대신 안쓸이유가 하나도없음.

    @fuyfjuff666@fuyfjuff66616 күн бұрын
  • 어린시절 도란스(트랜스)를 이용했던 기억이 새록새록. ㅋ

    @seeryun@seeryun16 күн бұрын
  • 110v에서 220v 으로 막 승압된 상태에 콘센트까지 다 교체하지 않은집은,. 까딱 실수하면 전자제품 전원부가 터지는게 일상이였죠.. 요즘같은 프리볼트 제품도 흔치 않았고요.

    @user-ee7hg6ol7n@user-ee7hg6ol7n13 күн бұрын
  • 220v 즐거우세요?

    @user83sdevje-ve8ju@user83sdevje-ve8ju16 күн бұрын
    • ㅋㅋ

      @shinychoi8556@shinychoi855612 күн бұрын
    • 하하하

      @angelis109@angelis1097 күн бұрын
  • 펄~럭 🇰🇷

    @cho9307@cho930716 күн бұрын
  • 저런 투고도 하는 사람이 있는 것도 좋네.

    @SJluckyguy@SJluckyguy16 күн бұрын
  • 도시보다 시골이 늦게 승압공사 해서 90년대 말까지 외가집 가면 플스1 변압기 안쓰고 걍 꽂아서 쓴 기억이 있네요

    @potatopizza9386@potatopizza938611 күн бұрын
  • 2:16 변압기 졸귀네 ㅋㅋㅋㅋ

    @joong8TV@joong8TV16 күн бұрын
  • 40이 아니라 30년 전일걸.. 내가 서울출신 30대 후반인데... 내가 어릴 때 220v 없었다가 어릴적에 110v -> 220v 공사 초반엔 도란스 많이 쓰다가 중학생 때 돼야 대부분이 220v로 바뀜.

    @user-uq6oe4lr6z@user-uq6oe4lr6z16 күн бұрын
    • 저랑 같은 경험을 했네요. 90년대 갑자기 한전서 공사하더니 오늘부터 220이니 220쓰라함. 그리곤 도란스 서비스로 주고 110v만 되는 기기에 쓰라함

      @user-gq2yy2xj1b@user-gq2yy2xj1b3 күн бұрын
  • 딱 필요한 내용만 정리해서 보기편하네요ㅎㅎㅎ!! 대부분 아는 내용이였는데 정리가 되니 알아가는시간 이였던거같습니다~~

    @user-jb2zx4rb2h@user-jb2zx4rb2h15 күн бұрын
  • 👏👏👏👍

    @el..1818@el..181816 күн бұрын
  • 학부때 저분하고 같이일한 교수님의 수업을 들었던 기억이나네요 ㅋㅋㅋㅋㅋㅋ 당시기록들을보면 전압이 2배로오르면 사람을 죽일확률이 2배로올라간다는 낭설부터 위험성이 4배로뛴다는 기사들 까지 비전문가들과의 정치적 전쟁들이 난립했다고 합니다. 결국 시범사업에 성공하고 영상대로 시기가 잘맞아떨어진거죠, 첨언하자면 사실 실 송전시 전압강하율은 중간까지는 고전압 송전을 하기때문에 실제로 전력시스템 전체손실이 절반으로 줄어드는건 아니지만 실제로 수용가측 입장에서 압도적으로 안정성을 끌어올리고 전력손실률이 줄어드는건 사실이죠

    @specal_1849@specal_184916 күн бұрын
  • 방시혁 화법 썸넬,, 안들어올 수 없었다.. 😂

    @iiwin16@iiwin1616 күн бұрын
  • 영국에서 사용하는 세개짜리랑은 어떻게 다른가요?

    @user-cz3ew5mg9b@user-cz3ew5mg9b16 күн бұрын
  • 110v 시절 에어컨 때문에 납휴즈 자주 나가서 중학생 시절에 아버지 오시기 전에 항상 제가 교체한 기억이 있군요. 일본은 전기차 3상 공사까지 하면서 구입할려나??

    @yarn75@yarn7513 күн бұрын
  • 선견지명으로 밀어붙이는 소신있는 지도자가 그래서 중요하다 이때도 무조건 반대하고 보는 인간들 엄청 많았겠지 고속도로 공사한데도 드러누워 반대하는 넘도 있었듯이

    @user-sg7ko7dp2w@user-sg7ko7dp2w16 күн бұрын
    • 지금도 그분같은 지도자가 필요합니다..

      @user-jh2dy3yn4k@user-jh2dy3yn4k16 күн бұрын
  • 예전 30년전쯤에 승압한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던 때 과학(물리전공)선생님이 사람에게 특히 어린아이가 잘못 만졌을 경우에 110v에 비해 220v는 너무 위험하다고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래서 경제적 논리에 사람들의 안전이 희생되었다고 하시던 기억이 납니다.

    @Rollingbear82@Rollingbear8214 күн бұрын
    • 이게 맞죠. 경제성을 위해 안전은 내다버린게 맞습니다.

      @jubei0118@jubei011814 күн бұрын
    • 하지만 얻는 이점이 확실한 방법

      @anna-boooo@anna-boooo13 күн бұрын
    • 당연히 숫자만 보면 위험하지

      @yangmuk@yangmuk13 күн бұрын
    • 어릴적 콘센트에 철사 양손에쥐고 꽂아봄.. 110이었어서 살아있는듯

      @user-lo8so6bz6s@user-lo8so6bz6s12 күн бұрын
    • 인체 감전 측면에선 220V가 위험하나 반대로 화재안전에 있어서는 훨씬 안전합니다. 저항이 R인 전선에 전류 I가 흐른다고 할때 전선의 발열량은 I^2R[J] 입니다. 만약 부하에서 동일한 전력량 P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면 I=V/R 이므로 110V는 220V에 비해 2배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전선의 발열량은 (2I)^2R=4I^2R[J]로 총 4배가 됩니다. 인체 감전적인 부분에선 220V가 위험할지는 모르겠으나 오히려 화재안전에 있어서는 220V가 압도적으로 안전합니다. 접지시스템 시공기술이 발달하고 누전차단기 성능이 올라간 현 시점에선 220V가 훨씬 좋은 성능을 발휘하고 있다고 봅니다.

      @user-ji8hu2rp2f@user-ji8hu2rp2f11 күн бұрын
  • 초등학교때인가 언제인가 110V에서 220V로 바꿨는데.... 두꺼비집 다음에 도란스 놓고 쓴 기억이....아 오래되긴 했구나 ㅋㅋㅋ

    @user-lc4eo8ki1m@user-lc4eo8ki1m11 күн бұрын
  • 나 어릴때 220V로 바꾸는거 봤었는데 옛날이네. 도란스라고 그거 쓰고 그랬음 ㅋㅋ 추억 돋네.

    @user-hd7bp1rk6v@user-hd7bp1rk6v15 күн бұрын
  • 79년생입니다 어렸을때 허구헌날 정전되서 성냥과 촛불은 집집마다 필수였습니다

    @facpock@facpock16 күн бұрын
    • 역시 우리나라는 대단해..

      @user-jh2dy3yn4k@user-jh2dy3yn4k16 күн бұрын
    • 당시와 지금은 배전시스템 자체가 달라서 정전 범위가 더 넓을수밖에 없습니다. 당시엔 나뭇가지식 배전시스템이라 상부 어디섬가 사고가 나면 그아래는 몽땅 정전이 될수밖에 없으니 수시로 정전이 될수밖에 없고.... 현재는 그물방식이라 사고난 지점만 빼고 우회해서 전기를 공급하니 정전범위가 확 줄어들수밖에 없죠.

      @user-pz3hm6ep8z@user-pz3hm6ep8z16 күн бұрын
  • 이런걸 보면 정치가 얼마나 중요한 지 알 수 있음. 지금은 여론을 너무 심각하게 의식하기 때문에 여론과 반대되는 일은 거의 진행을 못한다고 보면 됨. 그 당시에도 승압사업은 여론을 거스르는 일이었기 때문에 승압 사업을 하기 위해서 여론 전을 먼저 펼친 것도 그 이유중 하나임. 지금은 뭐... 정치인들은 사업의 타당성을 위해 여론을 뒤집는 것보다 그냥 이슈는 다른 이슈로 덮기, 국민들 설득보다 상대당 에게 이기기 밖에 안하니 원... 거기에 표 얻을 수 있다면 국가적으로 전혀 이득이 아닌데도 막 승인 시켜주고. 대표적인게 총선 끝나기 전에 급하게 개통해버린 GTX

    @AlphaGo27@AlphaGo2716 күн бұрын
    • 18만원씩만 주면 형수 거시기 가로세로로 찢는 다는 자에게도 표주는 오염된 기생충득시글ㄹ..

      @dkffkanjgopung9724@dkffkanjgopung972416 күн бұрын
    • 중국을 제일 싫어하면서도 친미대통령 정책이 맘에 안든다고 안보에 위협적인 친중정치인 뽑는 국민들.. 이 문제는 너무 심각함.

      @user-rf5sz7ti7u@user-rf5sz7ti7u16 күн бұрын
    • @@dkffkanjgopung9724 그런 게 뭐 중요해. 중국, 러시아 시장 걷어차서 심각한 무역 적자에, 달러는 1500원을 돌파해서 IMF 수준을 만들어놓고, 일본이 라인 메신저 뺏어가는 데도 아무말도 못하고 있는 한심한 정부

      @user-tm1fm5jg4j@user-tm1fm5jg4j6 күн бұрын
  • 1980년대 까지 110v 썼던거 같아요 90년대부터 220 /110 v겸용이 나왔고 지금은 220이 기본이죠. 이유는 110v로 다운하기 위해 변전소를 한번더 거쳐야해서 경제적이유로 220v로 한듯. 전압이 낮은 110이 안전하긴 한데 갑자기 220이 된건 왜 그랬는지 궁금하긴 했어요.

    @jerrykw3839@jerrykw383916 күн бұрын
  • 어릴 때 집에 있던 도란스 생각나네 ㄷㄷ 전기제품중 110V 도 있고 220V도 있어서 110V선풍기에 220V 잘못 꽂았다가 선풍기 연기나던 ㄷㄷㄷ

    @rcbs7450@rcbs745013 күн бұрын
    • 저도 어릴 때 그렇게 드라이기 날려본적있네요 ㅋㅋㅋ

      @syuang@syuangКүн бұрын
  • 박정희 당신은 도대체!!!!!

    @kimmr4176@kimmr417613 күн бұрын
    • 독재자지 ㅋ 그시대때 독재하면서 그런거라도 안하면 그게 인간이냐?

      @BY-zl4rt@BY-zl4rt8 күн бұрын
  • 요즘 1000W 이상 사용하는 가전이 많아져서 110V로는 한계가 많긴하죠. ㅎ 1000W짜리 동시에 3개만 켜지단 하면 110V에서는 전류를 30A가까이 뽑아야 하니 ㅎㄷㄷ

    @Double-Jay@Double-Jay14 күн бұрын
  • 사물궁이님 말투는 언제 바뀌나요? 궁금합니다.

    @Chrome-bz9wy@Chrome-bz9wy16 күн бұрын
  • 박정희. 감사합니다

    @byunghoonnoh5141@byunghoonnoh514112 күн бұрын
    • 응 아니야. 박정희는 사진만 찍고 다니고 우리 국민이 밤낮없이 열심히 노력해서 이룩한 경제

      @user-tm1fm5jg4j@user-tm1fm5jg4j6 күн бұрын
  • 죄송해요. 그냥 제가 이게. 해외나가서 변압기 써야되잖아? 욕이 안나올수가 없어.

    @i-love-mintchoco@i-love-mintchoco15 күн бұрын
  • 한국전쟁때 리셋되서 220으로 하자고 했지 타국은 변경하기에는 비용때문에 100번때 사용

    @user-go6vc1ln9s@user-go6vc1ln9s16 күн бұрын
  • 승압하면 발열이 제곱으로 줍니다. 손실도 줍니다. 손실도 적고 발열도 적으니 필요한 전선굵기도 장비 크기도 작아집니다. 단 애자크기, 지락사고 대비 안전거리는 커집니다. 감전은 전압보다는 전류량이 더 위험합니다. (따끔 vs지지직, 번개생존자, 1V사망사건) 그리고 멀리 보낼 수 있으므로 한 발전소가 감당하는 거리가 멀어도 괜찮아집니다. 끝으로, 110이던 220이던 허용전력 생각 안하면 집에 불이 날수 있으니 안전에 유의해 주세용

    @ministratorful@ministratorful15 күн бұрын
  • 그런 사연이 있었군요(아직안봄)

    @user-lx1zk6pg2g@user-lx1zk6pg2g16 күн бұрын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mc8bz5oj3j@user-mc8bz5oj3j16 күн бұрын
  • 허허

    @YDSnim@YDSnim16 күн бұрын
  • 그러고보니 1990년대 어렸을 땐 동네 전체가 정전되는 경우 몇 번 있었던 것 같어 집마다 촛불이나 랜턴 구비하는 것도 필수였고

    @veryberry6592@veryberry659215 күн бұрын
  • 박정희 대통령의 혜안은 과연 몇 십년 앞을 내다 본 것인가?!

    @kimdavid8635@kimdavid863516 күн бұрын
  • 미친 5년전부터보던 사람인데 까먹고 부계정으로..? 왔네요..? ㅋㅋㅋㅋ 암튼 여기두 구독누르고가요 아직도 소재고갈이 없다니..? 대단하시네요..ㅋㅎㅋㅎㅋㅎ 캐릭터가 발전했네요!! 제 1학년때 호기심을 책임져주셔서 감사해요!

    @Machimpyo____________________9@Machimpyo____________________93 күн бұрын
  • 고마워요 스피드"웨"건!

    @user-hs5lt1tj1t@user-hs5lt1tj1t16 күн бұрын
  • 🎉

    @srinos6255@srinos625516 күн бұрын
  • 선진국이니까 인프라가 먼저 깔렸는데 그만큼 바꾸기가 힘든 아이러니함이...

    @wonsensei@wonsensei13 күн бұрын
  • 안그래도 지금도 전기세 장난 아닌데 과거에 저런 위인분들이 저런거라도 안해놨으면 정말 답도 없이 망했을듯 하.. 전기세 너무 빡셈.. 에어컨좀 켜면 10만원 20만원 우습게 나와버리니..

    @life15ff@life15ff16 күн бұрын
KZh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