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자가 말하는 인류가 별에 집착한 이유

2024 ж. 19 Мам.
250 720 Рет қаралды

오늘은 천문학자 우주먼지 님을 모시고 천문학의 역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봤습니다.
00:00 오프닝
00:26 천문학의 기원
01:09 별의 움직임을 눈으로 관측해버린 고대 천문학
04:40 우주의 원리를 고민하기 시작한 고대인들
06:13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었던 이유
12:08 천동설을 즉각 폐기시켜버린 사건
18:10 갈릴레이의 뒤를 이은 미친 과학자
21:39 뉴턴은 왜 이렇게 유명한 걸까?
22:57 만약 뉴턴이 태어나지 않았다면?
BODA 보다에 출연을 원하신다면 요기를 눌러주세요
forms.gle/1XKVXfBrALz1GHEH8
궁금하신 부분들을 댓글에 달아주세요!
저희가 확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연 및 제휴 문의 : boooda.kr@gmail.com
제작 : 어썸엔터테인먼트 (주)
awesomeentad.com/
BODA 인스타 : / boda_channel
#보다 #과학 #천문학 #우주

Пікірлер
  • 차분하고 높지않은 텐션임에도 불구하고 사람을 집중시키는 재능을 가지신분

    @user-pv2ny2fo2j@user-pv2ny2fo2j5 ай бұрын
  • 다른 분들도 그렇지만 우주먼지님은 정말 천문학을 사랑하시는 듯. ”우주먼지“라는 닉네임조차 너무 겸손하시다. 거대한 우주 앞에 자신은 먼지에 불과하다는 뜻일 지도 모르겠으나, 우주먼지님도 지웅배 라는 거대한 우주이십니다. 😊

    @user-qm6oi5fp4f@user-qm6oi5fp4f5 ай бұрын
    • ㄹㅇㅋㅋㅋㅋ

      @Collaintp@Collaintp5 ай бұрын
    • 우주먼지 채널 영상 보시면 마지막엔 저희도 우주먼지가 됩니다 ㅋㅋㅋ

      @cusazero1@cusazero15 ай бұрын
    • 팩트로 우리모두가 우주먼지에용

      @yuran0.0@yuran0.05 ай бұрын
    • 원래 stardust가 인류를 의미할때도 쓰이는 말이죠

      @rulrastar@rulrastar5 ай бұрын
    • 웅배먼지 지우주

      @HAPPYG4MER@HAPPYG4MER5 ай бұрын
  • 우주먼지가 제일좋음.. 자주 올려주세요!!

    @Viexxxxx@Viexxxxx5 ай бұрын
    • 니네집 먼지도 올려주세요

      @user-ct8xo9nn5z@user-ct8xo9nn5z5 ай бұрын
  • 평상시 이성적, 객관적으로 설명하려고 하는 모습과 내용도 귀에도 쏙쏙 들어오고 좋습니다.

    @yeongyeong2822@yeongyeong28225 ай бұрын
    • 이분 말하는거 배우고싶음 엄청 차분하고 감정기복이 크지도 않고 조곤조곤 또박또박

      @indiasonji5071@indiasonji50714 ай бұрын
  • 안녕하세요. 은하들의 충돌과 진화를 연구하는 우주웅배 지먼지입니다.

    @ClTY-HUNTER@ClTY-HUNTER5 ай бұрын
    • 지지먼주 배우웅입니다

      @METALGRANDMA-of4nm@METALGRANDMA-of4nm5 ай бұрын
    • 은하들의 충돌과 진화를 연구하는 웅배먼지 지우주입니다.

      @Korean_incheon@Korean_incheon5 ай бұрын
    • 노잼이다 진짜 쫌 이런건 집에서 혼자하길

      @pianoman3810@pianoman38105 ай бұрын
    • @@pianoman3810 저는 재밌는데용?

      @yunhahaerin@yunhahaerin5 ай бұрын
    • 나 지웅배인데 개추 눌렀다

      @_kukuri@_kukuri5 ай бұрын
  • 과학썰 ~~ 새로운걸 많이 알게되서 좋네요♡ 근데 안놓치고 다 기억하려면 다시 듣거나 아주약간 느리게 들어봐야될것같아요 내용을 반이나 1/3로 쪼개서 올리셔도 괜찮으실듯~ 여튼 과학썰이 비처럼 내리니 참 좋은 세상이네요 😊

    @user-np6sg7xx8r@user-np6sg7xx8r5 ай бұрын
  • 지웅배 교수님!! 천문학의 세계 교양 강의 정말 명강입니다!! 잘 듣고 있어요!!!

    @genius_kjaeyeong@genius_kjaeyeongАй бұрын
  • 웅배님 감사합니다..잠안올때 목소리듣고자면 그렇게 꿀잠을 잡니다...아이시떼룻!!

    @iporeews@iporeews5 ай бұрын
  • 은하들의 웅배와 먼지를 연구하는 우주진화 지충돌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nosook@nosook5 ай бұрын
  • 천동설을 매우 단순하게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었군요.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jaehonglee2017@jaehonglee20174 ай бұрын
  • 지주우먼 웅지배님 너무 재밌어요

    @user-br6ds6vo3e@user-br6ds6vo3e5 ай бұрын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hp5ps5yy2t@user-hp5ps5yy2t5 ай бұрын
  • 잘 보고있습니다

    @user-xr9nh2wn4x@user-xr9nh2wn4x5 ай бұрын
  • 우주에 제이스웹인나 허블같은경우 오랫동안빛을모아서 별을관측한다고 했던거같은데 아주빠르게 지나가는별들은그럼 혹시아직관측이안될정도로 빠르게움직이는별이있을가능성도 있는건가요? 5:29 5:29

    @user-og8ho4iv6x@user-og8ho4iv6x5 ай бұрын
  • 먼지들의 충돌과 진화를 연구하는 지웅배님

    @koeunine@koeunine5 ай бұрын
  • 영상 잘 보고 가요

    @luishan897@luishan8975 ай бұрын
  • 먼지님 목소리들으면 편안하게 잠들어서 너무 좋다...

    @user-wp2ke9fj2j@user-wp2ke9fj2j5 ай бұрын
  • 흠 너무 소중한 영상이네요 선댓후감상

    @user-sz4rq3vp5p@user-sz4rq3vp5p5 ай бұрын
  • 좋아 아주 좋아 명강의

    @user-ne3so5jw4i@user-ne3so5jw4i4 ай бұрын
  • 고대의 동글이 vs 현대의 평평이

    @Collaintp@Collaintp5 ай бұрын
  • 믿고 보는 우주먼지 지웅배

    @hn4939@hn49395 ай бұрын
  • 먼지형 기다렷다구!😊

    @sbecaus7463@sbecaus74635 ай бұрын
  • 요즘은 이채널먼봅니다 다른채널른 안봅니다 정말최고입니다

    @user-rw4kr2oz6q@user-rw4kr2oz6q5 ай бұрын
  • 와 좋1잼이다...... 보다에서 가끔 말하시는거랑 다르넹 ..ㄷㄷ

    @user-oc2uk4rh9u@user-oc2uk4rh9u4 ай бұрын
  • 웅배님 박사학위 축하드립니다

    @villainhwi8094@villainhwi80945 ай бұрын
  • 아주 좋은 질문인데요

    @seisomatsuri@seisomatsuri5 ай бұрын
  • 여윽시 지웅배 재밋어

    @user-jt4bp7yv1n@user-jt4bp7yv1n5 ай бұрын
  • 설명이 즈응말 깔꼼깔깜

    @user-sz8yn9dw3v@user-sz8yn9dw3v5 ай бұрын
  • 믿고보는 우주먼지 배지웅

    @user-dd2hq9xc6c@user-dd2hq9xc6c5 ай бұрын
  • 오랜만이다 웅배형님

    @user-br8rg4vn5d@user-br8rg4vn5d5 ай бұрын
  • 지웅배님 팬입니다!

    @njf164@njf1644 ай бұрын
  • 오늘 12시경에 우주먼지님 용산역에서 봤는데 인사못한게 후회됨

    @krt9878@krt98785 ай бұрын
  • 기계공학 배우는 대학생인데. 뉴턴 형님 존경합니다 ㅎㄷㄷ

    @user-mp4re1bx3g@user-mp4re1bx3g5 ай бұрын
  • 덕분에 보다 잘보고있습니다. 천문학 잘하게 생기셨어요

    @SDIFSIZXCLI@SDIFSIZXCLI5 ай бұрын
  • 감사합니다 좋은꿈꾸겠습니다

    @dodongtakk@dodongtakk5 ай бұрын
  • 딕션도 좋고 차분하셔서 늘 귀에 쏙쏙 박혀서 잘듣고 있어요 감사합니다!

    @trumantv@trumantv3 ай бұрын
  • 우주먼지님이 이해하기쉽게설명을하니깐 다른채널을 볼필요가없읍니다

    @user-rw4kr2oz6q@user-rw4kr2oz6q5 ай бұрын
  • 진화들의 충돌과 우주를 웅배하는 영구먼지 지은하입니다

    @user-uk5ne4iz2z@user-uk5ne4iz2z5 ай бұрын
  • 지웅배 발음 너무 좋아 "오오컴의 면돋날" ㅋㅋ

    @user-mp5om6pf3e@user-mp5om6pf3e5 ай бұрын
  • 보다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한가지 아쉬운게 영상 마지막에 나오는 bgm이 정말 깜짝감짝 놀라게 소리가 너무 큽니다;;;;;;;

    @user-dz4dy6kq3v@user-dz4dy6kq3v5 ай бұрын
  • 우주먼지님. 감사합니다. 두 책에 대한 대화 -> 두 우주체계에 관한 대화. 약간의 오류가 있는 듯 하네요.

    @bkkim9539@bkkim95394 ай бұрын
  • 우리 웅배님 보다애서 말할때는 디게 겸손하고 웅배님채널에서 말할때는 조금 공격적임 ㅎㅎ

    @user-ck8qf5to7g@user-ck8qf5to7g5 ай бұрын
  • 지금도 양자세계를 설명하기위한 양자역학과 거시세계를 설명하기 위한 상대성이론을 별개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언젠가 둘사이의 진리를 밝혀줄 일이 일어나면 좋겠네요

    @jycho-rr9td@jycho-rr9td5 ай бұрын
  • 5:05 월식을 말씀하실 때 나온 이미지는 일식이 아닌가요?

    @alchemistcc@alchemistcc4 ай бұрын
  • english subtitle please... jisung said he watch this video.. i got curious and want to understand this too

    @eve_il3392@eve_il3392Ай бұрын
  • 은하들의 충돌과 진화를 연구하는 무인도에는 안 데려갈 우주먼지 지웅배님

    @MINo0121@MINo01215 ай бұрын
  • 모든 항성, 행성은 공전과 자전을 하는지 궁금해요 ~~~~~!!!!

    @user-vb1un4xi9h@user-vb1un4xi9h5 ай бұрын
  • 속이다 시원하네

    @user-vivid_holy@user-vivid_holy4 ай бұрын
  • 우주갓지 갓웅배!

    @user-rs8ee6cv9h@user-rs8ee6cv9h5 ай бұрын
  • 너무 궁금한 게 있는데, 우주에 나가있는 위성들이 지구로 어떻게 어떤 형태로 사진이나 데이터를 보내는 지 궁금합니다!!!!

    @user-zx5fk3ve4d@user-zx5fk3ve4d5 ай бұрын
    • 님이 휴대폰으로 인터넷하는거랑 본질적으로 큰 차이가 없음

      @rlawnsrkq@rlawnsrkq5 ай бұрын
    • 전파요

      @user-oz7co2tk8h@user-oz7co2tk8h4 ай бұрын
  • 제목 호들갑 없이 영상 만드시니 얼마나 보기 좋습니까.. 앞으로 이대로 해주세요😊

    @hyeongjulee3714@hyeongjulee37145 ай бұрын
    • 100퍼 동의 합니다. 제목 호들갑떠는거 극혐

      @hn4939@hn49395 ай бұрын
    • 저한태도 2천원좀

      @user-xf5gk4mj9t@user-xf5gk4mj9t5 ай бұрын
    • @@duanecherenek 그렇죠.. 그런데 어그로 계속 끌어야 하나봐요 ㅋㅋ 고칠 생각이 있는지 의문이네요~

      @hyeongjulee3714@hyeongjulee37144 ай бұрын
  • 8:38 얘기 들으면서 떠오른 건데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는 개념은 '관측 가능한 우주'로 아직도 미약하게 남아있는 느낌. 이 틀을 깨버릴 수 있다면 인류가 진짜 성장할 듯?

    @flyingapple2599@flyingapple25994 ай бұрын
  • 정영진ㆍ김범준 ㆍ식물학자 4명때 아주재밌게 봤어요

    @user-qn8wj6vs8l@user-qn8wj6vs8l4 ай бұрын
  • 종교는 만악의 근원입니다.

    @user-lm9ll1ew5v@user-lm9ll1ew5v5 ай бұрын
  • 종교가 없었으면 인류는 이미 우주를 정복했지 않을까?

    @zoo2_dev@zoo2_dev5 ай бұрын
  • 오!!

    @World_wide_Lesy@World_wide_Lesy5 ай бұрын
  • 지금 코스모스 딱 이 챕터 읽고있는데 ㅎㄷ... 케플러, 튀코브라헤, 뉴턴.. 알고리즘 미츠따이

    @grassisyou100@grassisyou1005 ай бұрын
  • 다음영상도 지웅배님일 가능성이 크겠다 좋구나ㅎ

    @user-uj5rq2is3h@user-uj5rq2is3h5 ай бұрын
  • 5:15 그 중세 고대 이전에 저걸보고 둥굴다는걸 상상했는데 21세기에 평평이들은 대체 무엇인가...

    @james_Choi_starseeker@james_Choi_starseeker5 ай бұрын
    • 수학이나 물리를 못하는 이들이라 그랬을 가능성 100%

      @sunkim3999@sunkim39994 ай бұрын
  • 안녕하세요? 최근에 알게되었는데 너무 재미있게 보고 있어요. 혹시 아이들에게 천문학을 처음 어떻게 접하도록 해주면 좋을지 여쭤봐도 될까요? 우주와 세상에 대해 탐색할 좋은 도구가 되는 개념들을 소개하고 과학자의 탐구의 경험들을 공유하는 좋은 책이 있을까요? 아직 마땅한 것이 없다면 집필을 고려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K-bc5jr@HK-bc5jr4 ай бұрын
    • 플라네타리움 데려가세요 관심 보이면 지망생 되는거죠 여자 애들은 세일러문 보여주세요 캐릭터들이 태양계 별 이름이예요

      @perising@perising4 ай бұрын
    • ​@@perising 근데 세일러문 저런거 은근 중요한거 맞는 것 같아요 어릴땐 어떤 과목에 대한 관심자체가 본인이 잘하냐 못하냐에 따라 바뀌는 경우가 많아서 남들보다 그 분야의 명칭이라도 많이 알고 있다보면 자연스럽게 관심이 생기게 되거든요. 저도 초6때 애니메이션 보다가 천문학 관심생겨서 지금은 천문학과 지망하는 고2가 됐거든요

      @aha_ahahaha@aha_ahahaha4 ай бұрын
    • 과학동아 같은거 매달 사다주면 확률 높아집니다

      @chodam199@chodam1994 ай бұрын
  • 우주를 깨달았지만 헤어스타일은 깨닫지못한 지웅배님

    @user-pz9qb9yj5r@user-pz9qb9yj5r5 ай бұрын
  • 망원경이 천문학에 엄청난 영향을 준게 새삼 신기하네요

    @Kim_Geon_woo@Kim_Geon_woo5 ай бұрын
  • 저렇게 어렵게 수많은 박해를 견디고 지동설을 확립하고 마침내 오늘날엔 직접 지구를 벗어나서까지 (당연하겠지만) 직접 확인했는데도 수백년이 지난 지금도 자기들만의 맹신에 휩싸여 종교얘기만 떠들고 다니는 것들은 뭘까? 마치 어린아이들이 슈퍼맨 영화를 보곤 지붕에서 뛰어내리는 수준과 크게 다름이 없어 본인다.

    @turkiyeguclukal@turkiyeguclukal5 ай бұрын
  • 감사드리며 환절기 건강하시길.........

    @user-mm3gw2vd8l@user-mm3gw2vd8l4 ай бұрын
  • 5:09 이 사진은 개기월식의 사진이구먼요

    @user-gl8ml5dr2s@user-gl8ml5dr2s4 ай бұрын
  • 우주먼지. 먼지에 대한 인식이 겸손, 하찮음 등등의 의미를 할거란 생각이 다수라고 하더라도 먼지가 만들어지기까지의 시간을 생각해 본다면 겸손, 하찮음이란 의미 부여가 얼마나 터무니없는지 .... 그렇거나 말거나 사람 인식은 여전히 천동설과 지동설이 어디에 더 가까울까?.... 자기 중심으로 세상이 돌아가는 인식이나 지구 중심 하늘이 돌아가는 인식이나...... 과학이 발전해서 편리해지긴 하더라도 각자의 인식은 여전히 자기중심 세동설이 기본 아닐까요? 천문학 과학 인문학 등등의 공통점은 사람이 본것이란것...... 언.........젠가 인식의 기본도 천문학적 관점처럼 달라지겠죠?

    @user-jv3fr1qp9c@user-jv3fr1qp9c5 ай бұрын
  • 천문학이 없다면 우린 개미랑 같은 신세.....

    @user-tb9zx9dj6u@user-tb9zx9dj6u5 ай бұрын
  • 별자리가 생각나네요.

    @user-jl2xh6sf4c@user-jl2xh6sf4c5 ай бұрын
  • 뉴턴을 생각하니 문득 때리고 싶네요

    @user-hs3be2vd6d@user-hs3be2vd6d5 ай бұрын
  • 지웅배 화이팅🎉🎉

    @user-fdh4jh4j421@user-fdh4jh4j4215 ай бұрын
  • 인종이나 문화차별관점이 아닌 그냥 내가 이제까지 느낀 우리주위 동양권문화에서 느낀점을 토대로 과연 유럽이외에 다른 문화권에서 현재까지의 과학수준으로 올라올 가능성은 얼마일까 생각해본적있었는데 상당히 회의적인 결론이 나오더군요 이런주제는 분명 분쟁소지로 흐를 가능성이 있겠지만 한번은 생각해볼만한거 같아요

    @user-my6yy7jf4i@user-my6yy7jf4i4 ай бұрын
    • 서양인들의 특성때문에 과학이 발달한 게 맞죠.. 비교하는건 바람직하지 못하지만 한국인들은 음식문화 쪽으로는 발달하긴 함😂

      @user-gz2qc1fm5b@user-gz2qc1fm5b4 ай бұрын
    • 서양에서 수학,과학이 먼저 발전한 이유는 인종의 특성이라기 보다는 지정학적 이유라고 보는 게 훨씬 합리적임

      @kcotjd112@kcotjd1124 ай бұрын
  • 허블상수 계산은 관측을 기준으로 한 것인가요? 관측에 의한 것이면 은하관측은 빛에 의해 관측자에 도달한 과거의 정보이므로 관측한 순간 현재은하는 이미 그 은하는 더 멀리 팽창 되어 있다고 생각해보면 관측에 의한 허블상수 계산은 뭔가 보정이 되어야 하는 것 아닌지요?

    @jwpark825@jwpark8255 ай бұрын
    • 보정값을 일일히 다 적용해도 소숫점 한참 밑일 정도로 먼 곳이니, 소숫점 이하 버림...으로 해도 앞으로 10세기 정도는 지금 값으로 해도 큰 차이 없을 겁니다. 그건 실제로 우주로 나가서 장거리 항행하는 시대가 되어야 보정값이 의미가 있죠. 지금이나 고려시대 천체관측 자료나 별 차이가 없다는게, 농사 때가 그때나 지금이나 시기적으론 차이가 없습니다. 지구의 기상변화로 인한 차이만 있을 뿐이죠.

      @sunkim3999@sunkim39994 ай бұрын
  • 우주들의 먼지와 웅배를 연구하는 은하충돌 지진희입니다

    @user-sp6jj9ik8b@user-sp6jj9ik8b5 ай бұрын
  • 원자가 소멸되지 않는 것을 알고 싶고 빅뱅 시 생성된 원자 수를 알수있나요

    @user-mq6wm5zf2f@user-mq6wm5zf2f5 ай бұрын
  • 모레 부산 과학관에서 뵙겠습니다~!!!

    @greatheohs@greatheohs5 ай бұрын
  • 뉴턴과 아인슈타인은 0에서 1을 창조한 천재. 폰 노이만은 1을 100으로 만든 천재가 아닐까 하네요. 폰 노이만의 업적은 평범한(?) 수재 1000명이 그 한사람의 능력을 대신 할 수 있어도 뉴턴과 아인슈타인은 그만한 다른 천재가 나타나지 않았다면 좀 똑똑한 정도로는 아무리 많은 사람이 함께 머리를 맞대도 그분들의 업적을 절대 대신하지 못했을거란 생각도 듭니다. 물론 그들이 없었다면 그와 비슷한 다른 천재가 나타나긴 했겠죠.

    @milchholstein884@milchholstein8844 ай бұрын
  • 첨성대도 스톤헨지랑 비교할수 잇을가요.그리고 별들은 수평운동뿐 수직 운동은 없나요.사과는 낙하뿐...

    @soohocho36@soohocho365 ай бұрын
  • 육안관측을 얼마나 정확하게 했길래 계산해도 정확해 ㅋㅋㅋ

    @fakerLUV@fakerLUV5 ай бұрын
  • 동의한다 전화기도 벨이란사람이 발명했지만. 그다음 바로특허내려는사람이있었음 단지 조금 빨랐을뿐 뉴턴이라는사람이 있었다는것은 다른사람도 뉴턴만큼하거나 더잘할수도있는거지

    @user-ry2fv6cf4k@user-ry2fv6cf4k5 ай бұрын
    • 다윈 진화론은 심지어 다른 사람이 더 빨랐음 젊은 신참 연구자가 자기 논문 좀 읽어보고 평가해 달라고 다윈에게 보냄 그걸 다윈이 발표함 자기 연구성과를 빼앗기고서도 당시 유명학자인 다윈이 자기 논문에 관심가진 걸 평생 영광스러워했음

      @123carth@123carth5 ай бұрын
  • 케플러는 법칙을 만들기전에 별까지의 거리를 어떻게 알았나요?

    @BONOBONOSARANG@BONOBONOSARANG4 ай бұрын
  • 약 2,500년 이후 다른 행성에 터전을 마련하기 위해 지구를 떠나야 하는 미래의 인류(우리들)를 위해 천문학은 중요한 경로 위에 있다. 결코 가볍지 않은 행동실천이다. 인간이 최후에 살아남을 수 있는 마중물이다.

    @user-ul9xl2ys2s@user-ul9xl2ys2s4 ай бұрын
  • 갈릴레이는 빼박증거를 제출하지 못했습니다. 오히려 빼박증거라고 말한건 주전원이 가능하다는 반증이죠. 당시 교회 내에서도 갈릴레이는 일정 지지를 받았고 심지어 현직 교황이 친구였어요. 그래서 증명하기 전까지 자신의 주장만이 진리라고 주장하지 않는 대신 계속 연구를 허락받았죠. 당시 교회는 기존의 주장을 바꿨다가 틀 릴을 경우 치명적인 타격을 받기 때문에 쉽게 받아들일수 없었을 뿐입니다

    @user-qt8sh8df8z@user-qt8sh8df8z5 ай бұрын
  • 무인도까지가서 별만 집착할거 같은 웅배형..ㅎ

    @user-me8uu5ug3k@user-me8uu5ug3k5 ай бұрын
    • 별이 환상적으로 펼쳐질껄요ㅎ

      @user-ir7ku8qk7m@user-ir7ku8qk7m5 ай бұрын
  • 확실한 건 세상에 나같은 사람만 있었으면 ㄹㅇ 자전거도 못만들었을 듯

    @user-lv9bm5ml3l@user-lv9bm5ml3l5 ай бұрын
  • 먼지 형 우주는 무에서 유가 된 건가요? 원래 있었다면 원래 있기 전에는 뭐가 있었나요? 원래 아무것도 없었다면 없는 곳에서 빅뱅처럼 빵! 한 건가요? 그렇다면 아무것도 없었다고 하기엔 말이 안되는 것 같아요. 원자가 요동 했다고 하는데 그럼 그 원자는 원래 있는 건가요? 우주 공간 너머에 또 다른 공간이 있을까요? 그럼 그 공간은 또 먼가요? 공간이 없다면 우주가 팽창하고 있는데 팽창의 끝은 있긴 한 건가요? 공간이란 개념 자체가 있을 수 있나요? 아 그리고 미니어처처럼 작은 우주를 만들어 볼 순 없나요?

    @user-dh8md7po4u@user-dh8md7po4u4 ай бұрын
    • 뭐가 됐든 신이 만든 건 아닌걸로...^^

      @sunkim3999@sunkim39994 ай бұрын
    • 빅뱅이전엔 그 누구도 몰라요 인간이 만든 신이라 할지라도 절대 모릅니다 빅뱅 이전을 경험한게 아니라면요

      @OAO738@OAO738Ай бұрын
  • 와타시는 지웅배씨랑 그.. 물리학자 교수님.. 그 분 나올 때 꼭 챙겨봄

    @Kyary_Pamyu_Pamyu@Kyary_Pamyu_Pamyu5 ай бұрын
    • 두분다 개인채널도 있으시니 한번 가서 보세요 더 심오한것도있고 재밌는것도 있어요.

      @UnI-fishing@UnI-fishing5 ай бұрын
  • 전부터 궁금했는데요 우주는 점점 팽창하잖아요 그럼 예를 들어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만 멀어지는건가요(중력, 원심력 전제조건 제외) 아님 거리는 똑같고 태양과 지구 크기도 같이 커지는 건가요?

    @wgl5512@wgl55124 ай бұрын
    • 지구가 커진다는 의미는 지구의 부피가 늘어난다고 봐도 되나요? 그러면 지구는 지금 당장이라도 지진 해일 화산이 매일매일 터져서 인류는 진즉에 멸종했을거 같아요.

      @sunkim3999@sunkim39994 ай бұрын
    • 팽창하는거 님이 못느낌 ㅋㅋ 우주먼지들이 어딜 감히

      @user-gz2qc1fm5b@user-gz2qc1fm5b4 ай бұрын
    • 우주가 팽창하는데 지구와 태양은 상관이 없는거죠. 북극얼음이 전부 녹아서 바다가 넓어진다고 해도 서울과 도쿄 거리가 변하는게 아니잖아요

      @davidhan9979@davidhan99794 ай бұрын
    • @@davidhan9979 다만....물 밑으로 잠길 뿐? 😂

      @sunkim3999@sunkim39994 ай бұрын
    • 팽창의 힘보다 태양과 지구 사이 중력의 힘이 더 크다 알고있는데 그럼 거리는 그대로이지 않을까요. 은하와 은하 사이 공허같은 공간만 늘어날듯

      @user-oz7co2tk8h@user-oz7co2tk8h4 ай бұрын
  • 하늘을 본 그 순간 천문학이라.... 천문학을 좋아해서 저도 그렇게 믿습니다 ㅎㅎ 그런데 인간의 모든 학문들고 또 학문을 포함한 모든 인간의 문화들은 인간의 탄생과 한께 생겨났다고 생각하기에 가장 오래된 학문이 천문학뿐 아니라 생각합니다 고대에 생겨난 그 모든 과학들이 한 편으로 동시에 모든 학문이고 철학이고 인생관이었다고 생각합니다 ㅋ

    @gimgankoomg4168@gimgankoomg41685 ай бұрын
  • 16:15 지금의 나사를 불신하는 평평론자들 생각나네ㅋㅋㅋ

    @user-go9zb8sj3l@user-go9zb8sj3l5 ай бұрын
  • 17:14 “두 책에 대한 대화”가 아니라 “두 체계에 대한 대화”가 맞습니다..!

    @user-wz8te7qe3w@user-wz8te7qe3w4 ай бұрын
  • 뉴턴이 아니었다면 학생들은 이름을 더 많이 외워야 했을 거였다

    @user-ql4gw2nl8o@user-ql4gw2nl8o4 ай бұрын
  • 뉴턴은 너무 천재야

    @user-dp4go7xb1k@user-dp4go7xb1k5 ай бұрын
  • 웅배들의 먼지와 진화를 연구하는 우주은하 지충돌입니다.

    @user-st8wl9gx1i@user-st8wl9gx1i5 ай бұрын
  • 뉴턴 없었어도 고전물리가 발전했을거같긴 한데.. 아인슈타인 없었으면 과연 시공간의 해석자체를 바꿔버리는 과학자가 나타날수있었을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user-qc5qt9ch4g@user-qc5qt9ch4g5 ай бұрын
    • 충분히 가능함 아인슈타인은 빅뱅이론 논문 발표한 신부보고도 멍청하다고 했고 끝내 양자역학도 거부한 사람임 양자역학 구축한 물리학자들이 아인슈타인보다 먼저 태어났으면 아인슈타인만큼 못했을 이유도 없음

      @123carth@123carth5 ай бұрын
    • 아인슈타인의 시공간 해석도 온전히 스스로 생각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는게 아인슈타인이 젊은 시절에 칸트의 을 읽고 시공간의 선험성에 대해 사유한 것이 영향을 끼쳤다고 알고 있습니다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요

      @HelpMe-rg8uh@HelpMe-rg8uh5 ай бұрын
    • 과학은 수학을 기반으로 하죠. 수학은 유일하게 진리를 탐구하는 학문이고요. 즉 진리를 쫓기때문에 연구자가 달라지더라도 언젠가는 도출해내는 답이 일치하게 되므로 우리가 알고있는 모든 과학자들이 없었더라도 다른 과학자들이 그러한 업적을 이루게 되어있지요.

      @rulrastar@rulrastar5 ай бұрын
    • 아인슈타인과 동시대 과학자들 라인업이 미쳐버리긴 했음. 굳이 아인슈타인 아니었어도 그 중 누군가가 대신 상대성이론을 발표하지 않았을까

      @ES-hg4wh@ES-hg4wh5 ай бұрын
    • 뉴턴은 과학보다 사실 신학에 더 많은 논문을 썼죠. 누군가는 뉴턴을 대체할 법도 합니다.

      @pentatonic1533@pentatonic15335 ай бұрын
  • 뉴턴이 얼마나 위대한진 아직 와닿진 읺지만 적어도 뉴턴이 없었다면 그보다 수십년 혹은 수백년 뒤처진 과학의 수준에서 살고 있었을 것 같습니다

    @user-lh8gm7uu7f@user-lh8gm7uu7f5 ай бұрын
  • 먼지들의 충돌과 웅배를 우주하는 연구진화 지은하입니다.

    @dooilyoo2172@dooilyoo21725 ай бұрын
  • 해와 달과 별들의 정체를 몰랐을 때와 알게 되었을 때의 차이란... 추가로 천동설의 역사는 갈릴레이 이전까지의 2000년 동안이 아니라, 그보다 더 오래 전, 인류가 최초의 지성이란 능력을 획득(?)했을 때부터 시작하는 수만년의 시간 동안이라고 추정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지구평평설 또한 마찬가지일 거고요. 그리고 한 발 더 나아가서, 미세조정의 문제에 대한 힌트도 생각이 났는데요. 땅과 하늘의 물리법칙이 다른 것이 아니라면, (멀티버스 포함해서 차원이 다른 우주까지 아우르는 개념에서) 우리 우주와 다른 우주의 물리법칙은 다를 수도 있다는 가정은 오컴의 면도날이 필요한 부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미세조정의 문제는 별다른 것이 아니라, 일어날 일은 일어난다는 평범한(?) 우주론의 문제일 뿐인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요. (미세조정의 문제는, 숫자가 조금만 달랐어도 지금의 우주는 존재할 수 없다고 하는 신비(?)의 영역이 아니라, 애시당초 모든 우주에서의 물리법칙에 적용되는 숫자이기에 우리의 우주가 지금 이렇게 움직이고 있는 것이 하나도 이상할 것은 없다는 생각)

    @user-nh3rk9ot2m@user-nh3rk9ot2m5 ай бұрын
  • 원심력vs중력 궁금함니다

    @user-px3pq8ef3d@user-px3pq8ef3d4 ай бұрын
  • 뉴턴이 아니더라도 누군가는 중력을 발견했을겁니다

    @user-nx1cr5oq8m@user-nx1cr5oq8m5 ай бұрын
  • 뉴텬이 없었다면 웅배님이 있었겠죠

    @user-ip7rc5dh7x@user-ip7rc5dh7x4 ай бұрын
  • 월식 설명 중 나오는 화면이 일식 화먄이네요. 수정이 필요하네요.

    @photomoriah@photomoriah5 ай бұрын
KZh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