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그렇게 무지막지하게 공부한 한국 아이들이 아무 생각이 없는 거예요. 우리나라 경쟁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 김누리교수 인문 특강(4)

2024 ж. 19 Нау.
46 193 Рет қаралды

#김누리교수 #경쟁교육은야만이다 #불평등 #의사집단행동 #엘리트 #경쟁교육 #주입식교육 #소아우울증 #이데올로기 #구원 #해방 #마르쿠제
2024년 3월 첫 주말, 중앙대 김누리 교수가 여우숲 인문학 특강에서 강연한 기록의 세 번째 영상입니다.
김누리 교수는 중앙대 독어독문학과와 동 대학원 독일유럽학과 교수입니다. 독일 브레멘 대학에서 독일 현대소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한국독어독문학회 회장을 지냈습니다.
2013년 중앙대 독일연구소가 도쿄대, 베이징대에 이어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독일 정부의 지원을 받는 ‘독일유럽연구센터’로 선정되었는데, 현재 이 연구소의 소장을 맡고 있습니다.
김누리 교수는 강연에서 한국의 교육 사회를 독일의 교육과 사회와 비교하면서 우리 교육의 문제점과 그 사회적 여파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가합니다. 그리고 우리 교육을 근본적으로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첫 영상에서는 한국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병리적 현상을 중점적으로 언급하였고,
두 번째 영상은 경쟁교육의 사회적 파장에 대해 진단했습니다.
세 번째 영상부터는 '이 병리적 현상을 왜 극복하지 못하는지, 극복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흐름으로 연결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네 번째 영상에서는 한국 교육의 문제점을 집중 비판하고, 우리 사회를 병들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는 세 가지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진단하면서, 독일의 이데올로기 비판 교육 사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전체 강연이 총 3시간을 넘는 분량입니. 긴 강연을 소주제별로 대략 15~ 30여 분 단위로 편집하여 시리즈로 올리고 있습니다.이번 영상은 그 네 번째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
이 강연의 연결 영상 보기 → 아래 링크 클릭
첫 번째 영상 • "전교 1등을 했던 의사, 판사, 검사들...
두 번째 영상 • "한국은 어쩌다가 세계에서 가장 심하게 ...
세 번째 영상 • "한국인은 도대체 왜 이 불행 속에서 벗...
다섯 번째 영상 • 이제 자기 학대를 멈춰요. 당신에게 문제...
여섯 번째 영상 • 사람은 안바뀐다고? 천만에 그 끔찍했던 ...

Пікірлер
  • "자기 생각을 단 한 줄도 안쓰고 대학에 갈 수 있는 나라는 한국밖에 없는.."...다시 말하면, 자기 생각이 있으면, 대학에 못가는 나라라는 뜻도 됩니다..ㅠㅜ

    @JiniGuitar@JiniGuitar2 ай бұрын
    • 자기 생각을 말하면 정맞는 사회죠. 심지어 인생도 망칠수 있죠. 그래서 모두가 공포에 떨며 튀지 않기 위해 노력하는 사회죠. 윗사람이, 선생님이, 교수가, 부모님이 원하는 답을 하는 사람을 최고로 치는 사회가 되었어요.

      @kiwonpark731@kiwonpark731Ай бұрын
    • 차라리 그런대학안가는게 인생에 더도움되죠. 적어도 주입식암기식교육은 안받을테니.

      @leejason7946@leejason7946Ай бұрын
    • 그건 니 생각이고 ~ 이말 나오면 찌그러지라는 소리죠

      @yuntorisisatsu@yuntorisisatsuАй бұрын
  • 나는 진심으로 대학가면 시험이 다를 줄 알았다. 근데 대부분의 대학 시험이 암기식이였고, 내 생각을 적으면 C+ 나왔다.

    @DURememberMe@DURememberMe2 ай бұрын
    • ㅠ😢

      @schubitz5769@schubitz5769Ай бұрын
    • 주관식도 면접도 답이정해져 있는나라

      @user-wn7ww8bi5v@user-wn7ww8bi5v26 күн бұрын
    • ㄹㅇ ㅋㅋㅋ 수학도 아니고 학생의 주장과 논리가 타당한지를 보는 교수들 거의없음

      @DoNotSubscribe_Unsubscribe@DoNotSubscribe_Unsubscribe19 күн бұрын
  • 집앞에 초중고가 다있는데 하교길의 학생 얼굴을보면 마움이 아파요 얼굴에 웃음이 없어요 무한경쟁의 압박과 불안이 터질듯 합니다 애들이 불쌍해요 정말 빨아쓸수없는 걸래가 되어버린 교육문제 어찌해야 됄가요 내아이들을 위한 교육 혁명이 알어나야 합니다

    @user-xw2yc5uf1n@user-xw2yc5uf1nАй бұрын
  • 기득권이 다수의 국민들을 지배하는 방법이 현재의 대한민국 교육입니다 이것을 혁파하는 것이 기득권의 이익을 뺏는 것이기에 절대 바뀌지 않습니다.

    @user-qc9vz6uh4b@user-qc9vz6uh4b2 ай бұрын
  • 일제가 심어놓은 식민지 교육시스템의 틀을 조금도 벗어나지 못한 21세기 대한민국 ㅜㅜ 교육혁명이 필요합니다

    @AI-IDOL@AI-IDOLАй бұрын
  • 저 호주에 20녁 가까이 살고 있습니다. 정기적으로ㅜ만나는 호주 친구들이 저에게 너는 어떻게 생각해라고 항상 물어요. 처음엔 너무 힘들었어요. 너무 다릅니다. 정말 많이 배웠어요.

    @inbetweenck@inbetweenckАй бұрын
  • 정확한 지적! 입니다. 한국 교육 반드시 개혁! 절실!

    @gundonglee6810@gundonglee6810Ай бұрын
  • 미국 대학교에서 강의후 교수에게 거의 질문을 안하는 것이 한국에서 온 유학생들이죠. 미국 학생들은 질문하고 싶어 난리고, 교수들은 좋은 질문 하는 학생을 똑똑한 학생으로 칩니다. 질문도 못하고 시험문제의 답은 교수가 머리에 넣어준 답을 적어내고 점수를 받는 것이 한국 유학생들입니다. 그들이 제일 힘들어하는 것이 리포트 제출이죠. 자기 생각을 글로 적는 훈련을 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kiwonpark731@kiwonpark731Ай бұрын
    • 질문 많이 하는 학생을 잘난척한다고 미워하는 나라 대한민국

      @user-wq8xl8jm7m@user-wq8xl8jm7mАй бұрын
    • ​@@user-wq8xl8jm7m 그렇지 않아요. 교수님들이 강의 시간 대부분 설명으로 소비하고 마치기 직전에 질문있으신 분이라고 하니 예의상 질문 안 하는 경우가 훨씬 많습니다.

      @kwonsonhong@kwonsonhong11 күн бұрын
    • 잘나고 똑똑한 한국사람들을 식민화 시키려고 일본이 억누르고 되물림됐죠. 바뀌어야 됩니다.

      @user-on5yh7zq9q@user-on5yh7zq9q10 күн бұрын
  • 저도 그랬어요. 콤마까지 달달달달 외웠다가..시험때 내 뱉음. 아직도 이렇다니.. A맞음..그러더니,97년에 대기업 감. (근데 곧 대기업 나왔어요. 아닌거 같아서) 그래서 그런지 옛날 교육경험자라서, 지금 교수님 강의에 절대 공감합니다~!! 국가가 3만불 이상 되면 교육도 바뀌어야죠~~

    @itmasspeaker684@itmasspeaker6842 ай бұрын
  • 교육혁명이 정말 일어났으면 좋겠습니다. 애들이 대학졸업하고 뭘할 지 방황하고… 교육뿐만아니라 여러모로 쇠퇴해가는 한국이 넘 걱정스럽네요.

    @sunsukyuk3485@sunsukyuk348527 күн бұрын
    • 교육혁명…한국의 현실 속에서 과연 가능할까…?

      @JiniGuitar@JiniGuitar18 күн бұрын
  • 대학입시가 바뀌어야 김누리교수님이 말씀하신 교육이 가능합니다 일정수준의 학력이 되고 공부할 의사가 있는 학생은 모두 공부할 기회를 주어야합니다

    @user-fv8gx8ix4f@user-fv8gx8ix4f2 ай бұрын
  • 그래서 예전에는 10대 20대들이 시위도 하고 그랬는데 지금은 찾아볼수가 없죠. 얼마나 아이들을 순응적이게 길들였는지 알수 있습니다.

    @min-sf6fc@min-sf6fc2 ай бұрын
    • 지금은 젊은 사람들이 시위하면 사람들이 빨갱이라고 욕하는데 누가 합니까?

      @twinklestar1376@twinklestar13762 ай бұрын
    • ​@@twinklestar1376 ?

      @user-fe1cz8pt8z@user-fe1cz8pt8z2 ай бұрын
    • 이딴 꼰대같은 생각을 갖고 있으니 mz들도 민주화 세대 싫어하는 거임

      @_jam6031@_jam6031Ай бұрын
    • 순응적이라기 보다는 생각이 없는 증세라고 해야 됩니다. 자기 주장ㆍ자기 손이익에 대한 셈법을 빠른 편입니다.

      @user-we6gh1qx7w@user-we6gh1qx7wАй бұрын
    • 그게 아니라 시위 가지고 으스대면서 선민의식 있는 니들 내로남불 4050 586들 보고 환멸나서 그런거임 😂

      @jwajomilppongcatmomdaddy@jwajomilppongcatmomdaddyАй бұрын
  • 학부모들은 돈을 버느라고 바쁘고 학생들은 학원에 3개 에서 8개까지 다니니까 깊이 생각할 시간이 없답니다. 학교에서 담임쌤이 방과후에 아이들의 교육도 할 시간이 없어서 담임쌤은 교육업무스케줄때문에 바쁘고 학생들은 학원에 다니느라 바쁘니까 학교에서의 작은 사회에서 인간관계교류에 대한 방법과 지켜야 할 규칙조차도 모르고 자란 아이들이랍니다

    @user-ks8dp8qo4h@user-ks8dp8qo4hАй бұрын
    • 이게 왠 국가적 낭비입니까? 교육이 바뀌지 않으면 한국의ㅡ미래는 없습니다. 3차혁명에서 4차혁명 시대로 성공적으로 가기 위해서는 정말 바꿔야 합니다.

      @inbetweenck@inbetweenckАй бұрын
  • 전 항상 비판적으로 생각하고 이야기했는데 그렇게 행동하니까 사람들이 싫어하는 분위기라 안하게 되더라구요..이상한 세상에 살고 있어요

    @user-ki4qb5bo2h@user-ki4qb5bo2h28 күн бұрын
    • 현실을 인지 못 한다고 무시당하죠. 제가 바보같은

      @myung-heekwon2954@myung-heekwon295414 күн бұрын
  • 필즈상 받은 허준이는 한국에 있을땐 평범한 학생이었는데 미국가서 스승을 잘만나서 자기 길을 찾았다죠

    @frack956@frack956Ай бұрын
  • 어떤 수학자한테 왜 수학을 하냐고 물어보니 그 엄밀함과 사고의 명료성에 빠지면 다시는 그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어서라고 했다더라구요. 이데올로기란것도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데올로기와 그를 떠받치는 전제들이 얼마나 엉성한지를 알게되면 다시 이데올로기를 '믿던' 과거로 돌아가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확보된 사유의 깊이나 넓어진 시야들은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생각합니다. 이러면 가치관의 대격변을 겪게 되는데 그 당시엔 정말 힘들 수 있지만 나중에는 다행으로 여기시게 될 것입니다.

    @bwom9733@bwom97332 ай бұрын
  • 자기 생각들 이없으니 기득권애들이 파놓은 부동산 금융노예에 빠져서 평생 빛갚아야함 의심이 맞지요, 파고들고, 그러면 근본이 보이게 될겁니다 . 바젤3라는 국제 협약도 그중 하나 입니다

    @hsm8717@hsm87172 ай бұрын
  • 글쓰기 강사입니다.교수님말씀에 백프로 공감입니다. 생각할 줄 모르는 아이들이 대부분입니다.정말 한숨만 나오는 교육현실입니다. 이런 교육을 받고자라난 세대의 세상이 지금 서서히 현실로 들어나고 있다는 것이.다가오는 미래가 정말 두렵네요

    @user-cr7ie5th6d@user-cr7ie5th6dАй бұрын
  • 김누리 교수님 강의는 항상 듣습니다.

    @larconJames@larconJames2 ай бұрын
  • 제 부전공이 정치학인데.... 정치학개론 첫수업 때 교수님 말씀이군요... 벌써 40년전 이야기인데... 유투브에서 보다니.... Politics of ideology.. 그 땨 예시를 든게 대학입시 끝나면 항상 나오늠 얘기.. '난 사교육 받지 않고 합격했어요!', 구두닦이의 형설지공으로 서울대 합격, 이런 미담이 매년 나오는게 언론이 권력에 순응해서 사회체제의 안전성을 무의식적으로 일반대중에게 주입하여 불만을 갖지못하게 하는.... 그래서 언론에 쓰여진 글을 아무 비판없이 받아들이면 곰바우 된다는 사실..

    @user-kw3st3ri6s@user-kw3st3ri6sАй бұрын
    • 40년전 부터 해오던 얘기가 지금 아무 변화도 없다는것이 한국을 혐오케 하네요

      @user-uu8qq8ih1o@user-uu8qq8ih1o4 күн бұрын
  • 교육 혁신이 가장 필요합니다.

    @user-ok9ze2qv2t@user-ok9ze2qv2t2 ай бұрын
    •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시면 더 좋지 않을까요?

      @user-if1te8ks3w@user-if1te8ks3wАй бұрын
  • 내가 한국 대학교 영상들에다 똥통학교 똥통학교 라고 지적을 해놨더니 도대체 당신은 어느 대학을 나왔냐 하면서 발끈하는 대답이 오는데, 정말 이런 우물안에 개구리 같은 한국사람들 한태 뭐가 통하 겠읍니까...단, 김선생님 이 좋은 강의를 많이 하시면 한국인들에 새로운 개념이 생길검니다....꼭.

    @fryslee9765@fryslee97652 ай бұрын
  • 아이들 정말 불쌍합니다. 무거운 가방 메고 다니고, 방과 후에도 학원으로 전전긍긍하고, 숙제에 짖눌리고... 그래도 매일 혼나고 ㅠ.ㅠ

    @soonjaryou7970@soonjaryou7970Ай бұрын
  • 와 멋있는 교육입니다. 감사합니다.~~

    @tv8877@tv88772 ай бұрын
    • 격려 감사합니다.

      @foxforest105@foxforest1052 ай бұрын
  • 오래전 부터 김누리 교수님 강의 와 책을 보면서 전적으로 공감했지만 기득권이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잘못된점을 인식 못하거나 알고 있어도 바꿀 생각이나 의지가 없다고 저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저도 포함될 수 있겠지만 이미 교육 제도가 관습? 또는 고착화 되어 계속 쓰레기 교육에 우민화 노예 교육에 세뇌 되어 버려서 수동적이고 순응적인 사람들이 되어버리는 거죠. 그리고 기득권은 국민들을 호구로 생각항는 심리가 있을 것으로 봅니다. 대안은 한국 공교육을 거부해야 합니다 교육에 쓸돈으로 외국에서 교육 받거나 댄대안 교육을 알아봐야 합니다

    @user-hd6yd9np1p@user-hd6yd9np1p2 ай бұрын
  • 함께 좋은 사회를 만드는것이 혼자 잘먹고 잘사는 것보다 좋다는것을 선진국을 보면 알 수 있는데요

    @tooth3648@tooth36482 ай бұрын
    • 한국은 천박한 자본주의 나라

      @Wyh52170@Wyh52170Ай бұрын
    • 누구보다 이성적인척하지만 누구보다 비이성적인 선택을 하죠ㅋㅋ 단기적으로만 이성적인 집단. 경제적사고를 부르짖으며 비전략적 선택을 하는 모습이 참 모순적입니다

      @user-dv2py7dy8f@user-dv2py7dy8f27 күн бұрын
  • 초중고 대학입시시험을 책을 보고 자유롭게 사용할수있는 오픈북시험을 외국선진국에서 채택하고있는데 우리도 그렇게해야됩니다 김누리교수님 존경합니다 교육부장관을 하셔서 교육제도를 혁명적으로 바꾸어주세요 경상도할배

    @user-dq8md2uc7i@user-dq8md2uc7i2 ай бұрын
    • 진보는 파랑공산주의 보수는 애국으로포장 갈라치는 이데올로기 파도에 밀려 틀린지도 모르고 그둘중 하나만이 정답인양 정답이없는데도 서로를 할키는 세태에서 어느한곳이라도 붙어야될거같은 분위기 를 만드는 정치권들은 이걸이용하고.... 이런사유를 제대로 할수있는 주체성있는 교육시스템 이바뀌어야 한다 보수는 애국

      @user-nh5ns9su9x@user-nh5ns9su9xАй бұрын
  • 정말 정말 바뀌었으면 좋겠어요..... 저는 지금 의사 사직 문제도 비슷한 맥락같아요. 성적 순으로 짤라서 의사가 되는 자체도 이상하지요. 미국은 윤리의식을 따로 보고 의사를 뽑는다고 하는데... 정말 이상한 현실입니다...

    @kongshouse7554@kongshouse755425 күн бұрын
  • 김누리 교수 님 교육부총리 강추합니다

    @mkpark7589@mkpark7589Ай бұрын
  • 자기 생각을 쓰고 그걸 점수화 할 수 있는 선생님이 준비 돼야 가능함 그렇지 않으면 비판을 반항이라고 취급해 버림

    @user-xc9kz8nh4o@user-xc9kz8nh4o14 күн бұрын
    • 당신도 그런 선생님일거임, 마치 내 댓글에 기분이 나쁘듯

      @user-if8cy3ly7k@user-if8cy3ly7k14 күн бұрын
  • 많은 생각을 하게되는 강의였으며 새로운 께달음을 느끼고 있읍니다 그래서 여지껏 제 인생이 뭔가가 빠진 느낌이었군요ㅡ 그래도 감사합니다ㅡ 알면 아픙로 실행하면 되겠죠!!

    @yaoungdaoung@yaoungdaoung2 ай бұрын
  • 교수님의 강의 속에 정말로 한국학생들이 반드시 추구해야할 교육방향이고 교육철학이라고 믿습니다.

    @byeongchoi2266@byeongchoi2266Ай бұрын
  • 절대적으로 동의하는데 그래도 아직 망하지 않는 건 왜인지 모르겠음…

    @user-mq4mb1ib3s@user-mq4mb1ib3sАй бұрын
  • 따뜻한 감성이 사라진것이 제일 슬픈거지요. .요즘은 누가 서울대 나왔다고 우러러보지 않아요. .그 또래 아이들도 관심없구요. 그저 영어잘하고 좋은집에 태어난 아이들이고 그들도 경쟁하고 또 살아가야하고 엄마의 아바타들이고 불행하지만 불행하다고 느끼지 못하는 아이들. .그들이 어떻게 살아가고 선택하고 살아갈지 불행한거죠. 실패와 좌절을 두려워하는 삶만큼 불쌍한 삶이 있을까요? 여기서 해답은 독일이 하나님과 멀어졌을때 이미 히틀러라는 괴물이 유대인 대학살을 했지요. .영혼의 사유가 없는 교육이야말로 죽은 교육입니다. 내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봐야 자신의 존재의 가치를 알고 그래야 판단을 하고 생각을 하고 사유할수 있는데. . 모든게 썩은거에요. 정치 법 경제에서 사기꾼이 얼마나 많고 부끄럽지만 법치국가 수준도 중국보다 못하고 국민을 개 돼지 취급하는 정치인은 우리나라가 최고입니다. 교육은 깡통이고. .북한과 아직 대립하고 있지만 안보의식도 사라지고. .나라를 위해 고뇌하던동주 시인 어린 유관순의 마음을 생각하면 어린 나이에 나라를 위해 걱정하고 온갖 고문을 받으며 죽은 소녀를 생각하면 나라가 해준것도 없는데 그렇게 뜨거웠을까. .요즘 TV에 보면 망측한 옷을 입고 흔드는 여자아이돌 그리고 어린아이들의 트롯열풍. .정말 끔찍합니다.

    @user-bh3yc7je2q@user-bh3yc7je2q2 ай бұрын
    • 부모들이 우러러보죠. 내 자식을 비교하면서.

      @itmasspeaker684@itmasspeaker6842 ай бұрын
    • 방송사 사회 풍토 청취율 로

      @user-qz3iz6ek5z@user-qz3iz6ek5z2 ай бұрын
  • 세번째 이데올로기 공정이 교단을 무너트리고 한국사회를 전체 하향평준화 시키고 있습니다.

    @sophiemom100@sophiemom1002 ай бұрын
  • 교수님진심으로존경합니다

    @user-fm9tj6bz6u@user-fm9tj6bz6u2 ай бұрын
  • 자막 추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belia.@belia.2 ай бұрын
  • 그나마의 이데올로기조차 대학에서 강화했지요. 어쩌면 각자의 전공분야에서의 주류 이데올로기를 전공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경영학을 전공한 저는 경영학도, 경쟁학도로 훈련받았으니까요. 그래서 평생학습, 인문교육, 여우숲이 간절하게 다가옵니다. 여우숲의 존재가 새롭습니다.

    @user-ju9jl2uc2f@user-ju9jl2uc2f2 ай бұрын
  • 저 이분 책 읽고 삶에 대한 관점이 바뀌어버렸습니다. 그동안의 삶에, 세상에 완전히 속은 기분이었습니다.

    @momo-gk3jz@momo-gk3jz25 күн бұрын
  • 답을 정해놓고 줄세우는 교육이 참으로 답답합니다. 잘 못되었고 숨막히도록 답답함을 느끼지만.. 느끼는것 조차 비판받는 사회 교육의 시스템을.. 사회의 시스템을 바꾸는 것에 앞장 서 주십시요..

    @JiY-hl3ei@JiY-hl3eiАй бұрын
  • 영국프랑스 대학 진학율 30% 독일 대학진학율 40% 한국인은 기술을 배워야산다

    @user-du1jj6tr8j@user-du1jj6tr8j2 ай бұрын
  • 정말 해외 교육을 받고 싶었다,,, 그나마 실존적인 대학원을 왔는데도 토론이나 사고력을 배울 수 없어서 등록금이 너무 아깝다,,,, 나는 학벌이 아닌 제대로된 교육을 경험하고 싶다.

    @user-sw5pj8ri4t@user-sw5pj8ri4tАй бұрын
  • 기계가 채점한다는건 답이 정해져있는것이고 곧 누가 승자와 패자가 될지도 정해져있다는 소리로 들리네요😢

    @peterhan4173@peterhan4173Күн бұрын
  • 그래도 성실한 아이들은 걸러내자나요... 그냥 한국은 그정도 나라에요. 성실한 애들을 걸러내서 그냥 소박한 꿈을 갈아 넣어 사는거... 그 정도면 충분한 나라에요. 더 많은 기대를 하는게 그게 더 이상한거

    @user-fm6zk2qk1z@user-fm6zk2qk1zАй бұрын
  • 한국도 독일 교육으로 교체하자😂😂😂😂😂😂😂😂😂😂😂😂🎉🎉🎉🎉🎉🎉🎉

    @user-vs1ld5lk8f@user-vs1ld5lk8fАй бұрын
  • 중학교 들어가기 전 문학 참고서 외우던 생각이 납니다 슬픕니다 사유를 배우지 못했는데 못배웠다고 깨닫지도 못하고 있었던 지난시절이 슬픕니다

    @naleelee5835@naleelee5835Ай бұрын
  •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다만 이미 조진 것 같습니다...

    @aberdevinec@aberdevinec2 ай бұрын
  • 교수님 말씀이 너무 깊이 와닿습니다. 요즘 교육이 답답해서 혼자 어찌해야할지 몰랐는데 가야할 길을 제시받은 느낌입니다.

    @user-vs1ts2jx4r@user-vs1ts2jx4rАй бұрын
  • 말 잘듣는 인간을 양산하는 권력도취 시스템 이군요

    @wemeweme7773@wemeweme7773Ай бұрын
  • 저거 정말 중요합니다....Kritik...

    @user-ov1do2fs2l@user-ov1do2fs2l24 күн бұрын
  • 존경합니다 교수님

    @tv-xg7ps@tv-xg7ps29 күн бұрын
  • 시험으로 일정수준 학력을 체크 한뒤 합격 하면 뽑기로 뽑아야 한다. 운전면허 시험처럼

    @user-hk8px4bt8r@user-hk8px4bt8rАй бұрын
  • -파워포인트로 가면 좋겠습니다.!!

    @user-qz3iz6ek5z@user-qz3iz6ek5z21 күн бұрын
  • 한국에서는 선생이나 강사의 말을 비판하면 매장 됩니다.

    @user-nu6ez6fh3n@user-nu6ez6fh3nАй бұрын
  • 교수님 방식을 하루빨리 국내 교육에 접하고 싶으나 민주주의 특성상 표권에 집착하는 위정자들 때문에 쉽지 않은거 같아요. 그래도 같은생각 하는 분들이 많아질 필요는 반드시 있는거 같습니다. 꾸준히응원합니다.

    @user-zg4pc9rq3f@user-zg4pc9rq3f19 күн бұрын
  • 한국이 야만국이 된이유 수많은 국민을 학사을하고도 대통령을 하고 처벌도 받지않은다 돈과 권력이 있으면 모든것을 살수 있다 모든 범죄에서 자유롭다 박사학위를 구입할수 있다 성인으로 대접받는다 돈있으면 좋은사람 돈없으면 나쁜사람 착하고 능력있는 사람으로 대접받는다 돈없으면 무능력 무시받아도 되눈 사람이 된다

    @architrip2672@architrip26722 ай бұрын
  • 학교에 명상시간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교수님 이야기를 듣다보니 불교교리가 생각나네요. 불교에서는 끊임없이 의심하라하고 남에게 의지하지 말고 자기자신에게 의지하여 찾으라 하지요. 선문답 같은것도 계속 생각하게 하는 것이고요. 개신교는 보통 목사님이 내말을 그대로 의심하지 말고 믿어라. 순종하라고 교육?세뇌하고요. 보통 사람들은 생각하기를 싫어하고 자신의 복을 빌기 원하고(기복신앙) 의존하기를 원하기 때문에 교회다니는 사람들이 유난히 자기 생각을 안한다는 생각도 듭니다. 물론 성당과 절에도 철학과 수행없이 기복신앙으로만 다니는 사람도 많습니다. 스스로 생각을 하기 싫어하고 싫은것은 버리고 좋은것만 취하고 싶은 심리 때문이겠죠. 메타인지(자아성찰)와 비판적사고를 할 수 있는 사람을 키울 수 있는 교육을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yineul9579@yineul957928 күн бұрын
  • 경쟁교육과 전인교육을 병행해야죠. 수능은 자격시험화하고 대학에서 서술형 시험으로 뽑되 암호화를 통해 누가 누군지 모르게 해야 합니다. 채점자를 여러명을 두게 하고 그 점수를 준 이유도 적게 해야 해요. 학교교육은 필수교양을 골고루 익히도록 다양한 학문에 접근기회를 주고 Pass OR Fail로 전체 과목 중 80퍼센트를 이수하면 졸업시키면 됩니다. 이수 못하면 유급시켜야죠. 이래야 소위 교양이란게 생깁니다. 사실 우리나라의 사회문제는 교양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도록 전문교육을 초중고 교육에 도입한데 있어요. 그래서 윤석열 같은 60 먹은 금쪽이가 생기는 거죠. 대학의 입학정원에 비해 졸업정원은 줄여야 하구요. 특히 사립대학에 대한 국가예산 지원을 줄이고 국공립대학에 적극 지원해야 합니다. 선진국은 이미 그렇게 하고 있어요.

    @SGNA-um7uw@SGNA-um7uwАй бұрын
  • 새벽 1시 2시에도 학생들 체육복 차림에 가방메고 걸어다니더라 강남 대치 도곡 쪽~ 대체 무엇을 얻으려고 잠도 안자고 공부하는것인가 ~~

    @user-zr6nq5xk8x@user-zr6nq5xk8x29 күн бұрын
  • 한국 스카이대 출신에게는 단순사무직외에 어떤 직책을 주어서도 않됩니다.

    @user-pj5gd4zu5d@user-pj5gd4zu5d2 ай бұрын
    • 다른 대학 출신들도 다르지 않아요. 그런 공부 거부했다고 다른 공부를 한게 아닌 경우 많음.

      @starlight9192@starlight9192Ай бұрын
  • 우리나라 대학은 취직수단이죠

    @user-nv1vi9uq8c@user-nv1vi9uq8cАй бұрын
  • 제가 이 나랑 안맞는다는 이유를 이제야 알았내요..

    @user-jz2nd2vi4x@user-jz2nd2vi4x29 күн бұрын
  • 이래서 나라가 사람들이 무서워지고 있습니다. 막무가내 인간들

    @user-zl2ns7yc7x@user-zl2ns7yc7x6 күн бұрын
  • 서울대 법대 출신 검사들이 시험 성적은 최고지만 양식도 양심도 없는 자들이 수두룩한 이유가 경쟁입시교육에 있군요

    @LeonLogBook@LeonLogBook26 күн бұрын
  • 17:58 자막 오류 "세개의"[세계의 가 아님]로 수정 필요하네요

    @nanlisakr@nanlisakr2 ай бұрын
  • 제가 대학들어간 약20년 전부터 했던 말인데 그대로 다 나오네요ㅎㅎㅎ 대학들어가면 달라질줄 알았더니 더하더군요. 달달 외우고 출제자의 의도를 파악하는데 특화된 애들만 추려놓았기 때문에 더 그런거 같더라고요ㅎㅎㅎ 인서울이 이정도니 스카이는 더 심하겠죠. 자기생각이 없어야 성공하는 나라라니. 자기생각을 거세하는게 교육인 나라라니. 놀랄노자였네요. 더 큰 문제는 이런 시스템에서 자란 사람들은 이 시스템이 문제인지 전혀 인식하지 못한다는겁니다. 뭐 이젠 저도 이에 대해 얘기하는것도 포기했습니다ㅎㅎㅎ

    @zitnbit@zitnbit16 күн бұрын
  • 미국에서 30년 살다 왔는데.. 대학교때 여름학기 과목을 junior college 에서 두과목 들었습니다. 물리학과 심리학. 두 교수님 다 첫날 "내가 가르칠 내용은 진리가 아니고 지금껏 밝혀진 학문에 기반한 것" 이라고 했습니다.. 인상적이였어요. 그런데 이 동영상을 보니 충격적이네요...

    @dflower2541@dflower254119 күн бұрын
  • 12:57 독일 고1 국어 첫장 "올바른 해석은 존재하는가?"

    @bushwickmoon@bushwickmoon18 сағат бұрын
  • 정말 부모가 어른이 변하지안으면 우리교육은 쓰레기 에 불과하다 불쌍한중생들 ~~

    @user-rm3nd1op6u@user-rm3nd1op6u29 күн бұрын
  • AI에 질질 끌려 갈 나라가 세계적 폭망가죠

    @user-vm1ws5tq9u@user-vm1ws5tq9u6 күн бұрын
  • 서울법대 출신들이 대통령 장관 국개의원 판검새 맡고나선 부정선거 알고도 애써 수사를 안하는 나라가 됬다.

    @user-gy3iu4gl8q@user-gy3iu4gl8q4 күн бұрын
  • 자막 : 마르크스 --> 마르쿠제

    @tv7022@tv7022Ай бұрын
  • 그런데 대학도 지식을 가르치고, 가르치는 지식을 내입으로 잘 말해야만 좋은 성적을 받습니다.

    @momo-gk3jz@momo-gk3jz25 күн бұрын
  • 부패 인식 투명성 국가 순위(독일 9위,한국 31위)를 높일 방안부터 특강해 주세요. 숲에게 길을 묻는 사람.

    @jinkim5012@jinkim501217 күн бұрын
  • 서울대법대, 판검사, 국회의원들이 개소리를 하는 이유가 있었구나...수준미달

    @user-wz2su6on8z@user-wz2su6on8z23 күн бұрын
  • 지나친 경쟁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적당한 경쟁은 인간의 본성이고 의욕을 북돋지 않을까요? 지식만 주입하는 죽은 교육 그런 교육을 받은 엘리트는 진정한 엘리트가 아니라는 말씀 공감합니다 진실로 작금의 교육은 교수님 말씀처럼 완전히 바꿔야 하고 대입시도 대학의 자율에 맡겨서 대학나름 자체적으로 학생을 선출하고 각자 가고 싶은 대학을 학생이 선택해서 갈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user-he8ii1lq1d@user-he8ii1lq1d2 ай бұрын
    • 남을 짓밟고 올라서는 경쟁은 제로 섬 게임(zero-sum game)입니다. 남을 눌러서 살아보려는 경쟁은 종종 "제로섬 게임(zero-sum game)"이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제로섬 게임에서는 한 사람의 이득이 반드시 다른 사람의 손실로 이어지는 상황이 연출됩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경쟁에서는 전체적인 이득이 늘어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이가 이기면 반드시 지는 사람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이런 사회는 야만의 사회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게 작금의 한국사회입니다 😢

      @Cody_Hiking_Kitty@Cody_Hiking_Kitty2 ай бұрын
    • @@Cody_Hiking_Kitty 세상에서 제로섬 경쟁이 없는 사회를 예로 들어봐라....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이 제로섬 경쟁으로 균형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데 뭔 구닥다리 유토피아 같은 소리하고 앉아있네. 좀 자연을 이해하는 눈이나 길러라.

      @kkkim8096@kkkim809626 күн бұрын
  • 광주에 철학 인문학 중고등학교인 지혜학교가 있습니다.

    @tv-vt9iu@tv-vt9iu7 күн бұрын
  • 유교의 부실한 사회😂😂😂

    @user-vi3qu9zq2j@user-vi3qu9zq2j27 күн бұрын
  • 암기만하니 인성이 좋지않은 자기만 아는 사람이 기득권이 되어있다!

    @user-sp9tq3ze4r@user-sp9tq3ze4r27 күн бұрын
  • 모두가 다알고있는것을 새삼스럽게 이제서야ᆢ망가질대로 망가진것을 ᆢ우리학자라고 하는사람들은 항상 뒷북만

    @user-re1tu7zs9m@user-re1tu7zs9mАй бұрын
  • 자기 생각 자기 표현 자기 인생을 살지 못하는 교육. 인간을 자원으로 바라본다는 게 뭔지도 모르고 동의하는 인간들. 그 결과가 사회현상으로 눈만 뜨면 뉴스로 나오고 있다.

    @gigicreater@gigicreater27 күн бұрын
  • 좋고 나쁘고 그런관점 보다 난 최대한 개인의 노력이 보상받는 시스템이길 바란다 결국 누구나 조은대학 학과 직업 가길원하는데 정확한 답이없는 생각이라는것을 채점하는것을 난 못받아드릴꺼같은데

    @user-ge5yr2hg7@user-ge5yr2hg729 күн бұрын
    • 당신도 공정한 보상이라는 이데올로기에 푹빠져버린 중생...

      @kkkim8096@kkkim809626 күн бұрын
    • @@kkkim8096 사람마다 환경 재능이 다르기에 갖춰지는 능력이 다르때문에 공정한 보상은 느낌이 이상함.하지만 개개인에게 있어서 내가 노력한만큼 일한만큼 보상이 주어지지않는다면 누가 노력하고 일하는지??대표적으로 한때 실업급여 뿌릴때 친구들보면 전부다 3달동안 나오는 실업급여로 먹고놀았지 그누구도 노력해서 취업하고자하는 놈이 없었음.개꿀 이지랄만 하고있었지.

      @user-ge5yr2hg7@user-ge5yr2hg726 күн бұрын
  • 대학 인기과를 서로 가려고 하는데 줄을 세워야하니 지금처럼됨. 줄을 세우기 위한 시험.... 비판하기는 쉽지만 대안을 제시하는건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대학진학률이 더 떨어지면 경쟁이 덜 심해질거라고 봅니다

    @user-co4de7fn5k@user-co4de7fn5k15 күн бұрын
  • 중국교육하고똑같다.

    @zhengyuanli8810@zhengyuanli88102 ай бұрын
  • 19:44 마르크스가 아니고 마르쿠제 아닌가요? 자막..

    @user-iu6co6rk2l@user-iu6co6rk2lАй бұрын
    • 맞습니다. 자동 자막을 교정하는 과정에서 잡아내지 못한 채 업로드 되었습니다. 꼼꼼히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리고, 오타에 양해를 구합니다.

      @foxforest105@foxforest105Ай бұрын
    • @@foxforest105 좋은 강의 너무나 잘 듣고 있습니다. 업로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iu6co6rk2l@user-iu6co6rk2lАй бұрын
  • 그런 독일이 나찌즘이라는 이데올로기에 전독일국민이 열광하던 20세기초..패망후 반성하고있나보네요..

    @bellow0430@bellow0430Ай бұрын
  • 교육이 바뀌어야 출산율 올라간다

    @dohyunkim6584@dohyunkim65848 күн бұрын
  • 독일도 그건 불가능 해 보이긴 합니다. 서방은 자본가가 잠식한 사회이므로 그게 불가능 합니다.

    @araby33@araby33Ай бұрын
  • 학원1타 강사가 스타가 되다보니 수능중독이 걸려 n수가 유행인데 남들이 알아봐주고 다시 쳐다봐준다 고 하네요 진리탐구와 이웃에게 내배움을 나누기 위한 의에대한 목마름으로 대학을 가고 학사모를 쓰는것이 아닌가요

    @user-ox7lw1pp8u@user-ox7lw1pp8uАй бұрын
  • 어떻게 이나라가 굴러온거지?

    @forbyforby7461@forbyforby7461Ай бұрын
  • 쓴 줄 모르던 색안경을 벗는 느낌...

    @citizenK-zs1fj@citizenK-zs1fj7 күн бұрын
  • 뭐든 의심하면 다들 지구평평이들처럼 되게요? 뉴라이트 한영훈 류석춘처럼 사학계에 반론 놓는게 열린 사고이고 교수님이 말하시는 학문을 하는건가요? 그건 자유가 아니라 혼돈, 카오스입니다 답이 아닌건 확실히 있잖아요 고등학교 과정까진 팩트가 학문이 된걸로 공부하는거고 아닌걸 구분하는게 역설적으로 정답을 고르는것도 맞는거죠 기본지식도 이해력도 안되는데 대학가서 새로운 발상이 나온다는것도 어불성설이고요 문학에서 올바른 해석이 없다고요? 그건 작가가 열린 결말을 원할땐 그러겠죠 작가가 의도가 있고 뚜렷하게 전달하고자 하는 뜻이 있으면 그 의도를 찾는거죠 시대적 배경, 문맥 유추, 어휘 이해력등 알 수 있는거고요 지식이 있어야 세상 바라보는 눈이 생기는건데 어느정도 암기가 바탕이 되야되는것도 맞죠 1등급과 2등급 지능차이 크지않은데 변별때문에 지엽적인 문제를 내는거에 대해선 저도 상당히 비판적이고 절대평가가 이뤄져야한다는 주의입니다만 다 의심하라 이것도 문제가 있습니다 분명 문제점도 엄청 많긴 하지만 한국교육이 다 틀렸으면 나라가 이렇게 발전을 하지도 못하고 정체되어있었겠죠 제가 생각하는 한국 교육의 가장 큰 문제는 "잘먹고 잘살기위한 공부“를 시키는거라고 봅니다 이건 한국사회의 복합적인 문제고 자원이 없다보니 개개인의 노력만으로 발전한 나라이기도 하고. 교육이념인 "홍익인간" 철학의 부재가 크다봅니다 내가 잘먹고 잘살기위한 공부가 아니라 모든이를 이롭게하기 위한 공부를 하는 나라가 됐으면 합니다 너무나 이상적인 얘기지만, 나라가 절대빈곤에서 벗어나서 부를 이뤘음에도 불행한 국가가 되어있으니까 생각해볼 문제입니다 + 앞에 다 의심하라는 부분때문에 댓글 길게 썼지만 뒷부분 경쟁,능력주의,공정 이데올로기는 제가 생각하는 문제점이랑 크게 다르지 않네요

    @eas495@eas49523 күн бұрын
    • 선생이 학생들한테 지구가 둥글다고 알려주고 학생들도 지구가 둥글다고 주장을 하는 상황에서 정작 선생이 학생들보고 설명해보라고 하니깐 설명할 수 있는 학생이 단 1명도 없으면 설명못하는 지식 = 믿는 지식임으로 지식에 대해서 선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타인의 경험을 믿는 공인성이 있는 것인데 도대체 이걸 왜 아무도 안 알려주냐는 거지요 독도가 우리땅이라고 주장하는 사람중에 왜 우리땅인지 설명할 수 있는 사람 별로 없어요 설명을 못하는데 왜 주장을 하냐 1. 우리땅이 아니라고 주장하면 이상한 사람으로 보일까봐 2. 우리땅이라고 믿고 있는데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으니깐 편승하자 이거는 인지부조화 문제로 동조현상 테스트랑 똑같죠 다수파가 1+1을 3이라고 답하면 오답을 말해 집단적 소속을 택하는 결과인 것인데 지구가 둥글다고 설명하지 못하더라도 둥글다고 배울수는 있는데 적어도 지식이라는 게 이해의 부분과 믿음의 부분으로 구분된다는 걸 전제로 배워야 한다는 거지요 그리고 지식을 전하는 과정에서 인지부조화가 발생해서 오염될 수 있다는 것도요 지구가 둥글다고 주장하면서 설명못하는 사람이 다수인 사회와 지구가 둥글다고 주장하면서 설명못하는 사람이 다수지만 그래도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지 인지하는 사회는 전혀 다른 거에요 9999명이 반대해도 내 말이 논리적으로 무조건 맞다고 외칠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지 남의 눈치나 보면서 내 논리가 아무리 맞아도 남들이 반대하면 어쩔 수 없다는 게 말이 되는 소리인지

      @DDAARK2@DDAARK222 күн бұрын
  • 대표적으로 한동훈인듯

    @fireballl@fireballlАй бұрын
    • _3가지 생각해봐야함 1.저분의 논점은 전체적인 교육 상태를 논함 2.저도 않좋아하지만)그사람에 매몰되듯 내뱉을 필요조차없고 3.지나친 증오나 분노가 바람직하진 않아요,왠만큼, 이해는 됍니다만 ...^^

      @typoon0@typoon0Ай бұрын
    • 동감 …부모와 사회가 악마를 키운거죠

      @terrykim1055@terrykim1055Ай бұрын
    • 뇌만 똑똑한.

      @user-dc2ec1mg5t@user-dc2ec1mg5tАй бұрын
    • 정답! 조작수사도 답을 정해놓고 틀에 끼워 맞추는거죠. 단의성인거죠. 다의성이아니라

      @thewhale5878@thewhale5878Ай бұрын
    • 범죄 혐의 두고도 당선된 느그 꾹이나 짜이밍이는 냅두고? 😂

      @jwajomilppongcatmomdaddy@jwajomilppongcatmomdaddyАй бұрын
  • ㅇㅣ러한 혁명은 어떻게 하나요??? 조직적으로 해야 하나요???

    @user-ot2rh6ty1c@user-ot2rh6ty1c2 ай бұрын
    •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김누리 교수가 구상하고 제시하는 교육혁명의 구체적 내용은 계속 이어지고 있는 강연 영상 후반부, 그러니까 강연 말미에 제시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foxforest105@foxforest1052 ай бұрын
    • @@foxforest105 감사드려요~~~~

      @user-ot2rh6ty1c@user-ot2rh6ty1c2 ай бұрын
    • 일단 여론부터 생겨야지요 같은 생각을 공유하는 사람들이 어느정도 비율이 생겨야 혁명도 생기는 거에요

      @DDAARK2@DDAARK222 күн бұрын
  • 고등교육은 실패적이라 하고, 그럼 대학교육은 왜 이런가요?

    @user-rc2to1eu8z@user-rc2to1eu8z2 ай бұрын
    • 극한의 물질주의 + 대기업이 그걸 원하니까

      @maniac_tofu@maniac_tofu20 күн бұрын
  • @user-sm1op6hf4j@user-sm1op6hf4j9 күн бұрын
    • 1:50 '✍️

      @user-sm1op6hf4j@user-sm1op6hf4j9 күн бұрын
    • 15:16 ✍️

      @user-sm1op6hf4j@user-sm1op6hf4j9 күн бұрын
    • 16:56 ⚫️⚪️

      @user-sm1op6hf4j@user-sm1op6hf4j9 күн бұрын
    • 19:15 이 야만사회를 만든 근본원인은 기득권의 탐욕 ( 이기심 ) 입니다.

      @user-sm1op6hf4j@user-sm1op6hf4j9 күн бұрын
  • 50년대 중학 입시는 서술형 시험, 문제는 중국 본토와 대만 사이에 있는 섬인 금문과 마조도에 대해 서술하시오 이었다. 오 이것이 문제, 그래서 잊지 못하고 영상으로 양안의 문제가 뇌리에 박혀 있나 봅니다.

    @user-rt3lg8ub2j@user-rt3lg8ub2j22 күн бұрын
  • 이걸 도대체 왜 배워야 하는건지 이유도 없이 그냥 따라하다 보니 자신만의 생각을 가질 시간도 없떤 까닭에 단세포 아메바 처럼 된거

    @kwj1123@kwj1123Ай бұрын
  • 한심한 한국교육

    @user-ve8yu8oc3d@user-ve8yu8oc3dАй бұрын
  • 머리속에 쓰레기만 가득 가득 , 선수 교육의 영향, 평생 못 버림 ~ 뭐가 자꾸 떠 올라 마치 환청이 들리는것과 동일 ~

    @sohyeoneeya@sohyeoneeyaАй бұрын
KZhe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