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은 왜 대학입시에 목 안 매나 / 정영효의 도쿄나우

2023 ж. 20 Шіл.
514 569 Рет қаралды

#대학생 #입시 #일본유학 #교육 #대학입시
지난해 일본의 4년제 대학 진학률은 56.6%였습니다.
그나마 최근 20년새 크게 늘어난 수치입니다.
2013년 대학 진학률은 절반에 불과했습니다.
왜일까요?
▶한경글로벌마켓 홈페이지
www.hankyung.com/globalmarket
더 많은 해외주식 투자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신문 구독신청
bit.ly/3Gv97Bh
▶한국경제 네이버 TV 바로가기
tv.naver.com/nowhankyung
▶한경 코리아마켓 바로가기
/ jooconomy
▶집코노미TV 바로가기
/ jipconomy

Пікірлер
  • 전 이게 더 정상이라 생각합니다.

    @ybeakb81@ybeakb819 ай бұрын
    • 식당에서 음식이나 만들고 옷가게에서 세일즈나 한다면 저렇게 해도 상관없지 그런데 미국도 구글 MS 애플 같은 데 취업하려면 명문대 스탠포드나 MIT 같은 곳 졸업해야함 특히 요즘 인기있는 AI 같은 분야에 종사할려면 석사학위이상은 필수임 이런 고소득 전문직은 미국이나 일본이라고 다르지 않음 만약 단순 영업 / 사무직 아니면 육체노동 관련 일을 하려고 한다면 학위는 필요 없겠지 문제는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해서는 대학졸업 을 필요로하는 직업이 유리하고 이건 미국이나 일본도 다르지 않지만 유독 한국이 이런 사회적 지위향상 열망이 강한것일뿐

      @user-yr9kv4kl4g@user-yr9kv4kl4g9 ай бұрын
    • ㅋㅋㅋ

      @1tomahawk752@1tomahawk7529 ай бұрын
    • ​​​@@user-yr9kv4kl4g다른덴 모르겠는데 구글은 학벌을 크게 안 봄. 검색해보면 나온다. 학교시험 잘 쳤다고 반드시 직장에서 일 잘 하는건 아니라는거지. 구글은 능력만 있으면 중졸이든 고졸이든 스카웃 해감. 또한 학벌로 성공할 수 있는 사람은 100명중 10~20명에 불과함. 10~20명 안에 안 들어갈거 같으면 애초에 대학보다 다른 길을 알아보는게 현명함.

      @modu-modu@modu-modu9 ай бұрын
    • 미국도 굳이 대학을 가지 않는 추세라고 합니다. 비대학출신들이 년봉이 더 높은 직업이 많아지니 생기는 결과로 보입니다. 대학을 가든 안가든 노동의 가치를 평가해 주면 생기는 부수적 효과인 것 같습니다.

      @namuliky@namuliky9 ай бұрын
    • 미국도 어중간한 사무직보다는 용접공 배관공 트럭운전수 이런 사람들이 더 많이 버니까 공부를 뛰어나게 잘하지 않는 이상 굳이 대학에 목맬 필요가 없죠. 이런게 선진국들의 공통적인 경향인데 한국은 대학진학률 80%로 전세계 어디에도 없는 초고학력자만 넘쳐나죠. 그러니까 사무직은 경쟁률 치열해서 고학력자 백수들 장기 공시생들은 바글대는데 현장에는 사람이 없어서 외노자들 아니면 나라가 굴러가지 않는 상황입니다.

      @marsv5300@marsv53009 ай бұрын
  • 그리고 일본은 강소기업이 강해서 고졸로도 취직처가 충분히 보장되어 있는 것도 크죠. 현재 일본오사카에서 유학중인데 일본인 지인중에 고등학교 졸업하고 바로 취직한 기업에서 6년 가량 다니는 사람이 있는데 알아본 바로는 연매출 5조 가까이 나오는 제지회사였음..이런 회사를 고졸로 들어갈 수 있다면..진짜 제가 생각해도 대학 안갑니다.

    @MTFat@MTFat9 ай бұрын
    • 아니던데 일본 중소기업도 월급 한국만큼 별루던데?

      @yoyoyout@yoyoyout16 күн бұрын
  • 일본에서 아이 키우고 있는 사람입니다. 맞는 이야기도 있고 아는 듯한 이야기도 있네요~ 학력 차이로 월급이랑 벌도로 복지도 다르고 보너스도 근무시간도 다를거며 결론적으로 차이 많이 납니다. 입시에 목을 안매는게 아니라 정기간의 입시비용, 사교육 비용땜에 목을 못매고 미리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미 일본은 버블을 지나면서 빈부격차가 너무 심해졌습니다. 일단 한국에 비해서 뭐든지 다 엄청난 비용이 들어가기 때문에 돈이 있는 사람들만 사립 보낼 수 있다라고 생각하시면 될꺼 같네요

    @user-fr4bz5wb2r@user-fr4bz5wb2r9 ай бұрын
    • 역시 현지 분은 다르시네요. ㅎㅎ 당장 중고등학교 명문 들어가려고 호텔합숙하는 게 일본인데... 이 기자 예전부터 모르면서 진실인 척 많이 이야기 하더라구요.

      @ykei6580@ykei65809 ай бұрын
    • 맞는말씀 같아요. 그리고 우리나라는 땅도좁고 인구도 적고 자원도 없습니다. 오로지 인적자원밖에 없는 상황에서 수출로 살아남아야하는 상황이라 더더욱 학벌이 중요하겠지요? 수출 아무나합니까? 정교하고, 항상 앞서가야하니까요. 반면 일본은 우리보다 인구가 두배이상 많습니다. 땅은 어떻고요. 일본 내부에서 자급자족이 가능하지요. 그런 환경인데 우리나라와 비교를 하면 안될것도 같은요. 기본 환경이 같지않으니까요. 옆 나라라고 환경, 제도 다 같진 않거든요.

      @jane-pd1qf@jane-pd1qf9 ай бұрын
    • @@jane-pd1qf 맞는 말씀입니다. 일본은 자체 내수시장이 어느 정도 되는 나라이죠.

      @jisungpark8952@jisungpark89529 ай бұрын
    • 앵간한 지잡대나오믄 디져블제

      @filajungwon@filajungwon9 ай бұрын
    • @@ykei6580 극소수입니다 극소수...

      @jr1800@jr18009 ай бұрын
  • 일본은 지역별로 명문대가 있어서 지역 인재의 수도권 유출이 덜하다는 내용은 참으로 부럽고 대한민국이 가야할 방향이 아닌가 싶습니다.

    @user-er1te3ex6g@user-er1te3ex6g9 ай бұрын
    • 나라가 좁고 교통이 좋아서 어렵네요. 기업들도 다 모이니

      @beautedisto3159@beautedisto31598 ай бұрын
    • 그것보단 대기업들이 지역을 안 떠남

      @user-qo6ph2ws1c@user-qo6ph2ws1c7 ай бұрын
    • 지방에 일자리가 있어서 그런거에요 ㅋ

      @kkongman7532@kkongman75327 ай бұрын
    • 지방에 일이 없어서 죄다 수도권으로 몰려들고 있는데 되기 힘들죠. 지난 정권들 대부분이 이 부분에 과실이 있지만 제일 큰건 맹박이가 수도권 공장 총량제 같은거 폐지하면서 수도권 집중 정책을 폈던게 시작이죠. 그 전에 행정수도 이전도 헌재에서 막아버리고. 여튼 대한민국은 이제 오랫동안 바꾸기 글렀어요.

      @wegaia@wegaia7 ай бұрын
    • 그거는 어디까지나 일본이 중세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증거라... 죄다 국회의원이고 기업가고 사실상 영주로 군림하니 국가보다 지역을 위하고 그러니 대기업이 수도권으로 안가고 지방에서 버티며 그 대기업에 인재를 공급할 대학교도 지방에 있는거고 해서...

      @user-li7ib4ml1d@user-li7ib4ml1d7 ай бұрын
  • 사교육 빡세게 시킬바에 차라리 그돈 애앞으로 나중에 물려주자라는 마인드를 가진 부모들이 한국에도 있기는 함 어떻게 보면 이게 현명한거 같기도 합니다

    @meluv2160@meluv21609 ай бұрын
    • 맞아요 한국같으면 불공정하다고 다들 펄쩍 뛰겠지만.. 어떤 면에선 현명한거 맞죠 불필요한 경쟁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덜 들겠네요. 그리고 단순히 부의 대물림이라기보단 가업의 대물림이라 할 수 있는게 일본은 내실있는 중소기업, 장인정신을 지키는 자영업자가 많아서 다양성 측면에서 좀더 수용가능하지 않나 싶어요. 획일화된 우리나라에선 불공정으로 비치겠지만요. 두부가게를 하더라도 소신있게 하고, 그런 전통을 존중하는 소비문화도 뒷받침되어있기 덕분인것 같구요..

      @olivialee4343@olivialee43439 ай бұрын
  • 거품경제가 걷힌 이후, 일본인들은 한국인과 달리 인생을 적당히 사는 법을 체득한 듯합니다. 이것이 결국 한일간 출산율 격차를 낳았다는 것이고요.

    @kiyongshin@kiyongshin9 ай бұрын
  • 구조적으로 너무 많은 게 얽혀 있습니다. 대학 서열화, 좁은 취업문, 부동산 가격 등등 뭐 하나를 타파하려해도 연결된 다른 부분에 문제가 생기니, 취지와 다르게 나쁜 여론이 생기죠. 문제는 그 여론이 악하거나 편협한 게 아니라, 구조에서 나온다는 거죠. 최소한 ‘이대로는 안 된다’ 에는 사회적 공감이 이뤄지면 좋겠네요

    @hohoppa@hohoppa9 ай бұрын
    • 절대 풀 수 없는 스도쿠게임 같습니다. 한국 상황은...

      @eunsucho9837@eunsucho9837Ай бұрын
    • 풀 수 없는 매듭은 가위로 싹둑.

      @JiniGuitar@JiniGuitar20 күн бұрын
  • 우리가 흔히 일본인이 집단주의적인 성향이 강하다고 얘기하지만 실제로는 한국인이 훨씬 더 심합니다. 정확히 말하면 집단주의라기 보다는 모든게너무 획일적이라고 보는게 맞겠지요.

    @ottolim2733@ottolim27339 ай бұрын
    • 일본은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자유화 스러운데 ㅋㅋ 괜히 근본있는 선진국이라 불리는 이유가 있는 거지

      @KK-ub6ub@KK-ub6ub9 ай бұрын
    • 좀 전체주의적임

      @user-yl8or3pf9t@user-yl8or3pf9t9 ай бұрын
    • @@KK-ub6ub 내가 살다가 이런 소리는 처음 들어보네.. 일본을 괜히 국화와 칼이라고 하는게 아니지. 전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나라가 싱가포르임. 그런데 싱가포르는 잘사는 사회주의 혹은 전체주의라 할수 있음. 일본은 투표가 가능한 싱가포르 같은 나라임.

      @naum834@naum8349 ай бұрын
    • 북한이라는 우리의 거울을 봐두 알 수 있죠!

      @jihojio2118@jihojio21189 ай бұрын
    • 한국이 집단주의적 성향이 있는 건 맞지만.... 한국 처럼 정권교체가 자주 일어나고 양진영이 첨예하게 싸우는 나라를 전체주의라 하지 않음. 하기야 영상 하나보고 나서 이렇게 쉽게 결론내는것 자체가 획일주의적 사고관이긴 하네..

      @naum834@naum8349 ай бұрын
  • 일본사람인데요. 확실히 고졸로 일하는 사람이 많고 고졸이든 전문학교든 유명대학이든 별 사이 없고 자기가 하고싶은 길로 가는게 중요하며 학력이 다가 아니다는 사고방식도 있고요. 그리고 고졸로 공장에 입사한 사람이 대졸사람보다 월급이 더 받는다고도 하네요. 젊은 나이에 일하기 시작한 사람이 결혼도 빠르고 아이도 많이 낳고 잘 일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cubicpin555@cubicpin5557 ай бұрын
  • 한국이 비정상이지 체면 때문에 대학가는경우가대다수임 대학나와야 양반되는줄알고...

    @user-ir4qw3ke4p@user-ir4qw3ke4p9 ай бұрын
    • 맞잖아 건대 다니는데 대학 구리다는 소리 많이 들음 그리고 회계사 자격증 시험이나 leet 법학 적성시험 같은 고수익 보장 직업 ,자격증 시험은 sky 서성한이 꽉잡고 있음 그나마 cpa 중앙대 많이 붙이는거? 우리나라 같은 대기업 몰빵 사회에 창업해봤자 치킨집 유튜브 채널인데 뭔 몰아가기 문화야 좋은 대학 나와야 대는게 팩트지 ㅋㅋ

      @user-do5im9ri1g@user-do5im9ri1g7 ай бұрын
    • ​@@user-do5im9ri1g그건 문과여서 그런거 아님? 건대 컴공 전자 화공 이런쪽이면 그냥 입사할텐데.........

      @user-bf2lh6tb1f@user-bf2lh6tb1f7 ай бұрын
    • @@user-bf2lh6tb1f 요즘 문과면 서성한도 취직하기 힘드니까요.

      @seongki1003@seongki10034 ай бұрын
    • @@user-bf2lh6tb1f그냥 입사는 아님…가서도 학점 잘받고 노력해야함

      @ori5581@ori5581Ай бұрын
    • @@ori5581 물론 학점은 당연히 잘 받고 다른 것으로 더 채워야지 ㅋㅋㅋㅋㅋㅋ 학점 낮은데 잘풀리는 과는 없음 잘 따라간다는 전제하에 전기전자 화공 컴공 이런데가 좋다는 거지

      @user-bf2lh6tb1f@user-bf2lh6tb1fАй бұрын
  • 한국은 당연히 가성비 안나오죠.. 그렇게 사교육 시키고 돈 발라도.. 신입사원 평균연령 31세 기업에서 퇴직하는 평균 연령이 49세... 평균적으로 20년 정도 일 하자고 돈 쏟아 붓는게 말이되는지

    @minpark3667@minpark36679 ай бұрын
  • 일본은 대기업 중소기업 임금격차가 크지 않음..하지만 헬조선 중소기업은 대부분 대기업 하청이고 대기업갑질에 착취당하는 구조라 임금격차가 커서 대기업에 목맬수밖에 없음.

    @sjl9511@sjl95119 ай бұрын
    • 저도 연봉격차가 큰 건 큰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대신 일본대기업 연봉이 한국 대기업 연봉보다 낮죠…하양평준화입니다! 마냥 좋다고 볼 순 없죠…

      @leehan1201@leehan12019 ай бұрын
    • @@tomasjleelee9080 근데 웃긴 건 한국에 공장을 지은 일본기업(현지에선 대기업이고)의 임금이 한국공장(지방 중견에서 대기업 사이임) 임금보다 일본본사가 임금이 낮습니다. 아이러니하죠~최저시급의 상승 등 다양한 요인으로 몇 년 사이에 나타난 현상입니다.

      @leehan1201@leehan12019 ай бұрын
    • ​@@leehan1201대신 일본은 시장 물가가 정지해있죠. 즉 실질유동성적 여유는 한국보다 일본이 더 큽니다. 기본급이 낮아도 보너스 및 교통비,자택지원비 등등 포함되지 않는 비용을 다 끌어모으면 어디가 생활이 윤택할까요? 한국은 내수포기에 거의 전적으로 해외수입품에 경제를 맡기니 무조건 오르죠. 일본에서 콜라 100엔에 마실수 있으니 급여가 10만엔이더라도 여유가 있죠. 같은 콜라가 한국은 2500원이 되는데 급여 하향평준이란건 한국인 기준에서 보는 거라 일본인이 한국을 보면 저 물가에 생존이 가능해? 라고 되묻겠죠

      @kbh0322@kbh03229 ай бұрын
    • @@kbh0322 맞습니다. 동경에서25년째 살고 있어요.예전에는 한국가면 이민가방 가득 이것저것 양말까지도 사왔는데 언젠가부터 그럴필요가 없어졌어요. 한국이 더 비싸요.

      @utopia5584@utopia55849 ай бұрын
    • 대기업가지도 못할 놈이 대기업 아니라고 취직 안하는게 문제죠 대기업 취직 안되면 중소기업이라도 가야지 백수보다 낫지 그리고 우리국민들이 보수가 적고 열악한 노동조건에서 일하는 분들에게 감사하고 존경하는 마음과 언행을 해야 합니다 그분들이 그일을 하기때문에 우리가 살수 있으니까요 우리 나라 사람들은 남과 대화할때 공부못하던 사람들이 가난한 사람들이 하게되는 직업을 무시하고 조롱하는 말들을하여 사람들이 그런 직종일을 안하게 만들어 버립니다 그러면 우리사회가 굴러갈수가 없어요 농사짓는 분들이 줄어들면 식료품값이 올라요 쪽팔리다고 어떤직종 일을 안하려고 하니까 구인난을 겪는 직종이 있지 않습니까 나는 서울에서 4년제 대학 나오고 공무원으로 퇴직했지만 추울때나 더울 때나건축현장에서 논밭에서 일하는 분들 보면 나보다 훌륭한 분들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그 분들에게 감사해요 적은 임금으로 힘든일 하는 분들에게 우리는 감사하고 존경해야해요

      @user-ie6xc4ij1l@user-ie6xc4ij1l9 ай бұрын
  • 주제파악을 잘 한다고 해야할것같음. 우리나라 사람들은 남들과 비교하면서 악착같이 사는데 일본사람들은 안분지족하는 모습을 많이 보임. 그냥 자기 수준을 받아들이고 만족하며 사는걸 많이 봄.

    @mysteriousq5282@mysteriousq52829 ай бұрын
    • 수준을 만족하면서 살아가려면 개개인의 삶이 어느 정도 존중받아야 되는데 우리나라는 올려치기된 평균과 비교하면서 그거보다 낮으면 후려치기 당하니..

      @nozampark5810@nozampark5810Ай бұрын
  • 매번 좋은 내용의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일본은 대학진학도 그렇지만 전문대학이 4년제 못 가서 가는 곳이 아니라 정말 전문적으로 무언가를 배우러 다닌다는 인식이 전반적이라는 점에 놀랐네요.

    @kimjaelyong@kimjaelyong9 ай бұрын
    • 이거 항상 일본 관련 대학진학율 나올때 마나 나오는 오류인데 일본에는 고전이라고 (그 주술회전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고등전문학교 같은 맞음) 공고+전문대2년 해서 5년짜리 학교가 있습니다. 이거를 대학교 진학으로 안처서 퍼센테이지가 낮게나와요. 실제로 고전 포함하면 80% 넘어갑니다

      @IlIilILiliILiIliI@IlIilILiliILiIliI9 ай бұрын
    • ⁠@@IlIilILiliILiIliI저는 일본인이지만 맞는 말이입니다.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고전이라는 존재를 모르네요

      @nk-se5tk@nk-se5tk9 ай бұрын
    • 모르니까 무조건 딴 나라는 이상적인 줄 믿는구나 ; ; 이런 사람한텐 엉터리 일뽕 기자가 하는 말이 찰떡이지.

      @wintertree8251@wintertree82519 ай бұрын
    • 한국대학생들은생각하는법을 모른다.

      @pablokim9016@pablokim90169 ай бұрын
    • 전문학교졸업을 엄연히대졸이라고안하죠

      @user-sj4yg5cp4u@user-sj4yg5cp4u9 ай бұрын
  • 한국에 대졸, 대학원졸 “공급 과잉”입니다. 심지어 해외 이름 있는 대학 나와서, 한국에서 취직하려고 대학원은 한국에서 다니는 사람도 꽤 있어요.

    @szp2892@szp28929 ай бұрын
  • 다시 어린때로 돌아간다면 평상시 책을 많이 보고 인문학 철학을 공부하면서 고3때 취업반을 가서 간호조무사 또는 실업계나와서 폴리텍진학해서 일찍 기술이나 자격증을따고 성실히 근무하며 그 분야에서 정점을 찍고싶다... 그리고 두세개의 직업도 가질수 있는 유연함도 갖추고싶고. 바뀌지도 않을 세상을 보고 기대도 안하고싶고 저축하면서 가끔 여행도 다니고. 나름의 철학으로 지금보다 빨리 지구적 친환경에 관심가지고 싶고 가끔 어려운형편의 아이들 또는보육원에서 독립할 아이들에게 기부도 더 일찍시작도 하고. 그냥 잘나지도 못나지도 않는 그저 은은한 향기가 나는 사람이 되고싶네... 지금 아는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 그래도 지금이라도 더 노력해보자..

    @user-bf3qw4dh8l@user-bf3qw4dh8l9 ай бұрын
    • 너무 마음에 드는 이야기를 (주장을) 하셨는데.... 어디 사시는 뉘신지여... 연락처 이메일이라도 좀 알려주셔요..... 이 의견을 좀 더 듣고 싶습니다.

      @user-ur8gx4dl4g@user-ur8gx4dl4g9 ай бұрын
  • 4:17 게이오대 졸업생입니다. 의학과 경영학과를 지망하는 경우 시험을 봐서 합격을 해야하지만 그외에는 입시에서 해방된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이는 잘못된 정보입니다. 의학부의 경우 게이오 내부 고등학교에서의 내신성적이 월등히 좋은 학생이 내부 추천을 받아 진학하는 방식이라 별도의 시험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애초에 게이오대에는 경영학과가 없습니다. 경영학과에 준하는 학부로 상학부가 있는데 인기가 높은편은 아닙니다. 미타캠퍼스의 학부를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게이오 내부 고등학교 재학시 내신성적이 높은 사람부터 대략 법학부, 경제학부, 상학부, 문학부 순으로 진학이 결정됩니다. 물론 성적이 좋은 학생이 문학부를 지망하면 문제없이 진학가능하지만 3년 내내 내신이 개판이었던 학생이 법학부나 경제학부에 진학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제가 재학시에도 고등학교때 너무 공부를 안해서 문학부에 왔다라고 하는 친구의 이야기를 듣곤 했죠. 그러므로 대학진학이 목적이라면 입시해방이라는 말은 성립하지만, 내부 고등학교 입학시, 의학부 경영학부 외에는 누구든 진학할 수 있다는 말은 틀린 말입니다. 참고로 게이오 초등학교(요치샤), 게이오 NY고등학교 같은곳의 입시는 단순히 시험만 잘본다고 해서 되는 게 아니라 가족중에 게이오 출신이 있나 부모의 연수입은 얼마인가 등등 여러가지를 평가한다 하더군요. 같은 대학생이라 하더라도 요치샤부터 올라온 친구들은 정말 집안이 빵빵한 아이들이 많았습니다. 뭐 게이오 자체가 사장님 자제분들 다니는 대학이긴 하지만...

    @noPARK-rq1su@noPARK-rq1su9 ай бұрын
    • 훌륭한 말씀 자ㄹ 보았음

      @user-ur8gx4dl4g@user-ur8gx4dl4g9 ай бұрын
  • 선진국일수록 진학률이 낮죠. 일본은 고졸로도 취업도 잘되고 평범하게 사는데 문제 없으니 안가죠. 한일가정으로써 절실히 느낌 독일같이 시험 줄이거나 60점이상되면 가고픈 대학 누구나 갈 수 있게하거나 경쟁자체를 줄이는 개혁이 절실하다.

    @user-dz5jf3jl1b@user-dz5jf3jl1b9 ай бұрын
    • 그 결과 독일은 전기차분야에서 서서히 한국에게 밀리는 중.

      @jisungpark8952@jisungpark89529 ай бұрын
    • ​@@jisungpark8952한국은 노인천국될꺼부터 걱정해야됨

      @fieldlinda9105@fieldlinda91059 ай бұрын
    • ​@@jisungpark8952대신 한국은 그덕에 출산,육아,사교육 난이도가 저세상 가버려서 세계1위의 속도로 나라전체가 안락사중이죠 ㅋㅋ

      @vronion285@vronion2857 ай бұрын
    • @@jisungpark8952전기차 자체는 떠오르는 분야는 아님. 독일이 투자를 줄인거지 한국이 따라잡은게 아님.

      @fdasflklkll0213-@fdasflklkll0213-6 ай бұрын
  • 지역 국립대가 명문대라는 건 매우 부러운 일이다. 우리도 과거엔 비슷한 구조였는데 국토가 균형발전이 되지 않아 서울로 인제들이 모이면서 학교 서열화가 굳어짐 다만, 대학교육을 비용으로만 생각하는 건 문제가 있어 보임...대한민국이 민주화되고 경제 문화가 발전한 근간에 높은 수준의 교육 또는 지식의 발전이 밑바탕이 됐다고 생각함

    @leejunyoung3682@leejunyoung36827 ай бұрын
  • 유익한 정보 잘 봤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user-gl9tl9xm4p@user-gl9tl9xm4p9 ай бұрын
  • 빈부격차가 심해도 한국인 부모님은 어떻게하든 자식을 성공시키려 합니다. 그게 대학입시율에 반영되는 거구요. 전문대와 4년제의 차이는 별 중요하지 않습니다. 무엇이든 자신이 원하는것을 깊게 배우고 노력하다보면 사회에서 필요한 전문가가 될수 있습니다.

    @hobbit-professor@hobbit-professor9 ай бұрын
  • 한국도 덴마크 처럼 가야돼 경쟁이 너무 과도함 해결 방법은 이것밖에 없다 국민들이 너무 불행한 삶을 산다 어릴땐 입시로 커서는 학벌로도 안되는 현실로...애초에 대학은 전문지식을 쌓고 싶은 사람이 가는 교육의 장이 되야지 취업 때문에 가는 건 끝냈으면 한다

    @samuelyunableify@samuelyunableify9 ай бұрын
    • 그럼 민주당 장기집권 시키삼. 물론 난 그걸원하지 않지만. 사민주의 헌법으로 바꿔야 그게 가능함.

      @yoyoyout@yoyoyout16 күн бұрын
  • 사실 한국도 사교육이 가성비가 떨어지는데... 아직 부모들이 잘 모르는 듯. 아이 둘을 대학 보내보니... 잘 할 놈은 기본만 해주어도 잘 가고 못할 놈은 아무리 쏟아부어도 못가는데... 그냥 아줌마들 사치품 소비와 같이 그 자체로 부모들 맘만 위로해주는 수단인듯 함.

    @seung-jaelee884@seung-jaelee8849 ай бұрын
    • 그걸 부모들이 몰라서 그러는게 아니더라구요. 사교육 안시켜서 나중에 잘 안될 경우 최소한은 했다며 원망받고 싶지 않은 심리에서 보내는 듯

      @jr1800@jr18009 ай бұрын
    • 고등학교만 나와도 안전하게 적당한 돈을 벌 수 있으면 건강하게만 자라다오~손놓을 수 있는데 우리사회가 안그렇잖아요 서민일자리는 열악하고 외노자들이 들어오면서 개선될 기회조차 날려버렸고요

      @user-f3d7bl47dn9@user-f3d7bl47dn99 ай бұрын
    • 쉽게 보면 그렇게 말씀할순 있지만 한국은 중소기업이 인간 다니기에 불가능한 레벨이 많아서 톱대기업과 대우차가 너무 심각합니다. 그래서 일단 되던 안되던 어떻게든 넣어보는거죠. 그니간 한국이 일본과 내수 시장과 강소기업의 레벨이 일본과 차원이 다릅니다. 어쩔수없는 과소비라고 보면됩니다. 잘되면 전문직, 안되면 대기업이라도 만들어보자는 삼산인건데 공부 만큼 효율(하는만큼 나오는)이 또 높게 나오는 것도 없어서 일단 빡대가리라도 최대한 위험도를 낮춰본다는 차원에선 올바른 선택입니다. 물론 빡대가리가 70%나 된다는것도 또한 사실이지만 최대한 안전빵을 노려보는것 또한 당연한 이치라는거죠. 왜냐면 다른건 더 어렵고 지옥이라서...

      @hahahahaha7824@hahahahaha78247 ай бұрын
    • 공부에 소질없어도 그렇다고 학원도안보내고 그순간에 최선을다해서 돈퍼부어도 해줘보는거예요

      @user-tw5tl6ei1f@user-tw5tl6ei1f7 ай бұрын
  • 고학력이란 말은 틀린소리... 대학은 학자들이나 전문연구인력들이 가야하는 곳이어야함 사회적인 낭비이며. 비효율적인 투자임. 고등학교졸업장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 함. 또 그걸로 충분하게끔 교육제도를 개혁해야함....

    @jasonlee13050@jasonlee130509 ай бұрын
  • 대학 나온다고 취업이 보장되는 것도 아니고 실무적인 지식을 제대로 가르쳐 주는것도 아니고... 모두가 대학에 가야하는 사회가 더 이상한거 아닐까

    @cloudshiba2176@cloudshiba21769 ай бұрын
    • 모두가 대학에 가야하는 정도까진 아님. 왜냐면 국가의 의무가 아니거든. 국방이야 국가의 의무지만..

      @pinetworkminer8377@pinetworkminer83779 ай бұрын
    • 대학교 나와도 헛배우는 사람들이 거의 70%임...영어는 거의 한마디도 못하고...대학을 볼게 아니라 차라리 자격증을 보고 판단하는게 오히려 더 정확함...우리나라도 대학은 누구나 들어가지만, 졸업할때는 국가에서 주관하는 대학졸업자격증을 시행해서 일정 점수 안되는 학생들은 전부다 졸업장 자체를 주지 말아야 함...학사를 남발하니 대학졸업이 아무 의미가 없지...쓸데 없는 사교육비만 버리는 어리석은 짓 더이상 하지 마시길...

      @intelamd3076@intelamd30769 ай бұрын
    • ​@@intelamd3076고급 자격증은 학위랑 경력이 필수죠

      @lIIl127@lIIl1277 ай бұрын
    • @@intelamd3076취지는 공감하나ㅡ디자인 같은 창의적인 분야느느시험으로 치뤄서 합격 여부르르판단 할수 없슴

      @hwadams65@hwadams657 ай бұрын
    • @@intelamd3076자격증도 급이 있어요...기사이상은 4년제 나와야합니다 뭘알고 쓰세요

      @ej6020@ej60207 ай бұрын
  • 저는 일본인이지만 한국의 신입사원 평균연령이 30살이라는 걸 들어서 정말 놀랐어요. 일본에서는 대졸자는 23살에 입사해요.

    @nk-se5tk@nk-se5tk9 ай бұрын
    • 남자인 경우에 징용노예로 끌려가서 군대에 2년가까이 시간낭비를 합니다

      @user-zz8ez1my9t@user-zz8ez1my9t9 ай бұрын
    • 만나이 -2, 군대 -2, 중고신입이 많은 한국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통계적 오류 -2

      @sjyun9375@sjyun93759 ай бұрын
    • ​@@sjyun9375만나이-1 군대-2 분수 모르고 대기업 , 사무직 노리는 것은 통계적 오류라고 볼수 없음

      @hoodlucas2633@hoodlucas26339 ай бұрын
    • 너희 일본은 안보 무임승차 하니까 군대를 안가잖아? 한국 남자들은 군대에 가야 하니까 그만큼 늦어지는 거다.

      @jisungpark8952@jisungpark89529 ай бұрын
    • 남자는 대학교 4년,군대 2년만 해도 6년 입니다

      @user-fc1ww7eh7m@user-fc1ww7eh7m9 ай бұрын
  • 무슨 사교육 강사가 연봉이 100억이 넘는 사회가 정상은 아니죠 애들 피빨아먹는거 같은 느낌.. 아이들은 놀고 협상하고 자기가 원하는 걸 찾는게 진짜 교육임 더 이상 경쟁체제로만 교육을 유지하는건 대한민국을 없애겠다는 의미

    @user-rk8jg4ux9l@user-rk8jg4ux9l7 ай бұрын
  • 대학들 자체를 좀 더 실용적으로 인력수요 현실에 맞게 구조조정하는게 우선임

    @wolfk3893@wolfk38939 ай бұрын
  • 저같은 경우에는 사실 대학 갈 수준이 아니었는데요. 가족들이 꼭 가야 된다고 해서 낮은점수를 찾아서 겨우겨우 턱걸이 들어갔는데 수업 따라가기가 힘들었지만 새로운 다양한 사람들, 경험들을 사회경험을 미리 배우고 경험할수 있어서 졸업하기는 힘들었지만,,, 좋은경험이었고 잘 갔다왔다고 생각이 듭니다. 각나라마다 장단점이 있다고 생각이 들어요. 입시경쟁만 좀 줄어 들면 좋을텐데, 아쉽네요~^^

    @Sally-xt6on@Sally-xt6on9 ай бұрын
    • 왠 사회경험

      @user-gs3yl9bk9b@user-gs3yl9bk9b9 ай бұрын
    • ​@@user-gs3yl9bk9b왠-->웬 한글공부

      @dolgum826@dolgum8269 ай бұрын
    • 사회가 아닌데 어떻게 사회경험...

      @alxososnddux@alxososnddux8 ай бұрын
    • 누구나 원하면 대학에 입학할 수 있는 시대가 이미 도래 했습니다. 대학 진학 희망생 보다 대학 정원이 더 많은데 어떻게 경쟁을 더 낮추나요?

      @TV-ll3kh@TV-ll3kh8 ай бұрын
    • ​@@TV-ll3kh 우리도 독일처럼 해야됨. 독일은 의사되고 싶은 사람 따로 의대에서 받아주고 우리나라처럼 의대등록금 비싸지도 않음. 빵원이라는 소문도 있음.

      @user-by9mj6dt7n@user-by9mj6dt7n7 ай бұрын
  • 우리나라 문제는 7등급 이하 학생들도 부모들이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되도 않는 학원 보내서 돈을 버리고 있다는 점. 능력과 의지가 없는 학생들은 일찌감치 포기할 수 있게끔 출구를 마련해 놔야 한다.

    @TheChurry98@TheChurry987 ай бұрын
  • 공부잘해서 대학 잘가서 자기만 잘먹고 잘사는 10%친구들을 위한 대다수 나머지 90%들러리 교육이 문제인겁니다. 일본은 대학을 안나와도 먹고 사는데 지장없다면...굳이 대학을 안나와도 사회생활하는데 문제없다면...대학은 갈 놈들만 가면되는 사회라면...입시경쟁이 치엸한 우리가 한번씩 꿈꿔본 세상이 아니었던가요?

    @user-xz4tl3sb4l@user-xz4tl3sb4l9 ай бұрын
    • 말로는 누구나 그렇게 하죠. 전에 장하준 이라는 인간이 하는 말이 자기는 강남에 살면서 다른 사람 보고는 " 모두가 강남에 살 필요는 없다 " 라는 말을 했죠. 대학 진학 문제도 마찬 가지 입니다. 정작 지 자식의 진로 문제가 걸릴 경우 대학은 갈 놈만 가면 된다 라는 말을 함부로 할 수가 없는 겁니다.

      @seosSEO@seosSEO9 ай бұрын
    • 상위10% 라도 윌급쟁이면 저만 잘먹고 잘살기도 힘들어요 그리고 한달에 10만원 고아원에 기부하는거 남들이 아나요? 모든 사람이 저만 잘먹고 잘사는거 아닙니다 못사는 부모 형제 돕고 살고있는거 남이 아나요?

      @user-ie6xc4ij1l@user-ie6xc4ij1l9 ай бұрын
    • 우리나라도 대학 안나와도 먹고 사는데에는 지장이 없습니다. 여유있게 못살뿐이죠.

      @user-zy4rl6sg7b@user-zy4rl6sg7b8 ай бұрын
    • 이게 정답

      @coc42458@coc424588 ай бұрын
    • @@user-zy4rl6sg7b일본은 고졸만 해도 멀쩡한 사무직 들어가서 여유롭게 살 수 있다는 게 큰 차이임 대기업까진 힘들어도

      @user-kz4wg7sl2t@user-kz4wg7sl2t7 ай бұрын
  • 예전에는 아이돌들도 대학 졸업장 따려고 많이 대학 가려고 했는데 요즘 아이돌은 대학 안 가는 사람도 많지 않음? 대학 안 가도 워낙 돈을 잘 벌어서겠지만, 이런 현상이 조금씩 사회가 변해가는 동력이 되어준다고 봄.

    @koklmkoklm6377@koklmkoklm63779 ай бұрын
    • 지금 2030대인 80 90년대생들은 딱 대학입시의 절정일때라서 지금 고생 많이하죠 ㅋㅋ 백수 젤 많은 세대임

      @user-ek5od4rl6k@user-ek5od4rl6k7 ай бұрын
  • 일본 20년차인데 대학 가나 안가나 수입에는 별차이 없어요. 일본에 있는 한국 회사는 대학은 필수더군요. 근데 월급이 참..누가 감??? ㅎㅎ 일본회사는 대기업외엔 취업에 대학 필수 아나예요. 대기업 아니여도 그만큼은 벌어요.차이 없음.

    @riesunshine9011@riesunshine90117 ай бұрын
  • 오늘도 일본에서 배우고 갑니다, 특파원님 감사합니다 :)

    @jungseworld@jungseworld9 ай бұрын
  • 우리나라 대학 진학을이 50% 정도 이면 맞을 것 같다 자영업 하고 소규모 제조업 하는데 대학 졸업장 없이 일찍 시작한 사람이 더 유리하게 사회가 바뀌어야 한다

    @user-cw4ng8rx2l@user-cw4ng8rx2l9 ай бұрын
    • 50%도 많아여

      @qkfrkfkr@qkfrkfkr9 ай бұрын
    • 왜요. 그냥 고등학교도 보내지 말죠.

      @Bora_san@Bora_san9 ай бұрын
    • 더 유리하게 보다는 빨리 경제활동 시작해 경험.경력 쌓아서 대학간 사람에게 임금적으로 크게 적지 않은게 이상적인듯 대학간 사람도 돈.시간 부었으니 그 과에 맞는 곳에 전문인력으로 들어가 존중받고 사회에 일찍 뛰어든 사람도 그 기술과 경력이 존중받는게 상식적이고 정상이니..

      @Awesome-im1sf@Awesome-im1sf9 ай бұрын
    • 그런 나라는 공산국가죠.. 공부도 노력이고 투자인데 노력 투자 피하고 더 많은 소출을 거두는 나라? 망하죠...

      @wdkim8407@wdkim84079 ай бұрын
    • 한국은 자영업을 죽이고 있어서 일본처럼은 힘들것같네요.

      @user-kz4xz9gp2k@user-kz4xz9gp2k9 ай бұрын
  • 사실상 대학을 다 나와야 할 필요가 없죠 다 대기업만 있는 것도 아닌데 학생 때 부활동을 주로 할 수 있다는 것에 부럽네요

    @Knowthyself6@Knowthyself67 ай бұрын
  • 한국의 미친 사교육 시스템보다 일본이 더 나은듯...부모들 사교육에 다 빨리고 나면 노후자금도 없어서 힘들어함. 일타강사나 학원들은 떼돈벌고

    @user-vf9vg3yf5u@user-vf9vg3yf5u9 ай бұрын
  • 잘보고 있습니다

    @mediakorea1@mediakorea18 ай бұрын
  • 우리나라 공사현장 젊은일용직의 80%는 대졸임...3.4년사이에 젊은 일용직 엄청 늘었슴...4년의 시간과 학비가 아까움.

    @user-je3wq1tr9k@user-je3wq1tr9k9 ай бұрын
  • 집안에 여유 있으면 해외대학이나 아니면 아예 정규교육과정을 선진국에서 밟는 것도 좋은 선택지임.

    @user-hl3sk9cu9s@user-hl3sk9cu9s9 ай бұрын
  • 일본은 저학력사회가 아닙니다. 선진국들의 대학진학율은 거의 낮습니다. 거기 안간다고 문제안생깁니다. 그시간을 그들 나름대로 활용할것입니다.

    @zonggi51@zonggi519 ай бұрын
  • 진정한 선진국으로 가는 거지.. 일본은.. 진짜 고학력만 가득찬 대한민국은 외노자 아니면 안되는 직군이 너무 많아졌어요.. 대학에서 뭘 대단한 지식이나 능력을 쌓은 것도 아닌 대학졸업자들만 많아서 노동으로는 돈을 벌고 싶지 않아 하죠

    @qgmpgzefbiv@qgmpgzefbiv9 ай бұрын
    • 돈만 주면 가는 대학교 같지도 않은 곳 나와서 고학력 취급해주거 자체가 후진국스러움

      @jimmyvlee4904@jimmyvlee49049 ай бұрын
    • 서울대가 동남아 국립대보다 더 서열이 떨어지고 선진국에서 학점을 인정해주지도 않는 것이 현실입니다. 그야말로 그들만의 리그로 한국안에서만 박터지게 경쟁할 뿐 밖으로 나가면 우물안 개구리 신세입니다. 대학진학율이 경이적이고 모두들 고학력자라고 하지만 입시경쟁에서의 얄팍한 편법들일 뿐 시험이 끝나고 나면 다 잊어버리는 시험문제풀이 수준입니다. 그러니 기초과학이나 노벨상 같은 것은 엄두도 못내는 수준이죠. 그나마 제대로 공부하는 사람들은 전부 미국으로 특별비자 받고 이민 가는 추세입니다. 대학 졸업장만 가진 어중이 떠중이들이 또 중소기업 이하의 일은 안하겠다고 콧대 세워서 인력이 모자라 외노자 들여야 하는 실정이고요. 결혼율도 떨어지고 출산율은 국가소멸 수준이고요. 뭔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쓸데없이 대입경쟁을 하는 상황을 타파해야지만 국가가 발전할듯 합니다.

      @user-dz3xi2en7w@user-dz3xi2en7w9 ай бұрын
    • @@user-dz3xi2en7w 서울대 독점에 비판적이긴 하지만 서울대가 동남아 국립대보다 못하다는 헛소리에는 정말 웃음이 나오네요. ㅋㅋㅋ 한국 대학들 수준이 겨우 그 정도라면 어떻게 한국이 이 정도로 발전을 하고 선진국들과 경쟁을 합니까? 그리고 중소기업 일 안한다고 욕하기 전에 중소기업 대우가 열악한 것은 생각해보셨어요? 콧대 높다고 하기 이전에 대우를 안 해주니 안 가는 게 당연한것 아닙니까? 그러는 당신 자신이나 당신 자녀들에게 어중이 떠중이니까 콧대 낮춰서 중소기업 이하의 일이나 하라고 할 수 있습니까? 헛소리 좀 그만 합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불공정거래에 대해 엄격하게 처벌하고 임금격차 조정하고 노동시간은 더 줄여야 합니다. 입시경쟁이 치열한 이유는 대기업을 비롯한 상위 직장과 그렇지 못한 직장들의 격차가 크기 때문입니다. 사회적 불평등을 해결하는 것이 우선이지 멀쩡한 청년들 콧대 꺽어서 외노자들 하는 일이나 시키는게 대책 아닙니다.

      @75umberto20@75umberto209 ай бұрын
    • 그러기엔 미국도 대학진학률을 올리기 위해 고군분투 하고 있습니다...조사에 따르먼 한 국민이 대학 1년을 진학하면 1인당 gdp가 6~8% 성장한다는 연구결과도 있어요. 대학은 곧 국가경쟁력이죠...대졸자가 많이 없으면 의료 등 국가의 고부가가치 산업의 경쟁력이 약화되게 됩니다. 미국도 물론 완전 고용 상태고, 일본도 취업률 높죠. 하지만 미국은 제조업이 붕괴했고, 일본은 반도체가 붕괴했습니다. 같은 시기 고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은 교육열과 대학진학율이 높은 한국, 중국 등으로 이전했습니다...이에 바이든이 이제와서 미국의 제조업 부흥!을 외치며 학자금 대출을 갚아주면서까지 대학 진학율을 올리려는 이유죠... 네. 대학 안 가도 살만합니다. 일반 국민들 입장에선 자영업 하거나 배달일 하거나...일본 같은 경우엔 프리터, 미국 같은 경우엔 배수구 관리공이나 트러커 같은 일 해도 충분히 먹고 살만하겠죠...하지만 그런 일이 팽배해지고 다들 대학 안 가게 되면 국가경쟁력 갉아먹게 됩니다. 미국에서 특히 걱정하는건 의대정원이 많이 부족해지기 시작해서 다음 코로나 같은게 또 오면 대응하기 힘들고, 경제적 손실이 예측되기 때문에 정부 입장에선 어떻게든 대학을 유치하거나 대학진학률을 올리려고 하죠. 반면, 한국은 너무 의대만 가서 문제라고 하긴 하는데...아무튼 대학진학율은 국가경쟁력과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이러니 저러니 해도 대한민국이 선진국 반열에 오르게 된 게, 높은 대학진학률이 한 몫 했다고 봐요

      @jakankim2183@jakankim21839 ай бұрын
    • ​@@user-dz3xi2en7w당장 작년 서울대 qs랭킹 29위다 노벨상 하나도 없는 대학이 ㅋㅋ 당장 지표에 불리한 사립대들은 아시아에선 거의 한국이 독점이고 ㅇㅇ 하긴 니들 세대는 선동만으로 다 멍청하게 낚이니까 국뽕티비가 뒤지질 않지 ㅋㅋㅋ 이딴 댓글에 공감박은 놈들도 문제

      @user-ny5xv8by4u@user-ny5xv8by4u9 ай бұрын
  • 대학은 연구를 위한 기관으로 인식되어 여유있는 사람들이나 가야 건강한 사회일 듯

    @user-sc9nz3rk5o@user-sc9nz3rk5o7 ай бұрын
  • 우리나라 대학진학율과 청년층 실업난을 생각해보면 교육열이 실제론 얼마나 효과가있나 생각이 드네요. 학교와 성적으로 순위를 매기다보니 일자리와 산업군에도 순위를 매기게 되었고 고학력자들이 비정규직을 떠도는게 정상적인 상황인지…

    @moonjoel6237@moonjoel62379 ай бұрын
    • 맞음 세계에서 제일높은교육열 어쩌구 자랑하더니 백수한가득 취업도 출산도 못함😅

      @coc42458@coc424588 ай бұрын
  • 이게 맞는거지. 우리나라는 그냥 반에서 꼴찌도 지방 4년제 원서 넣으면 그냥 가는곳이라도 가니 애들이 다 화이트칼라로만 가려고 하고 힘든일은 안하려고하지 그래서 사회구조가 엉망이지.

    @zamong-greentea@zamong-greentea9 ай бұрын
    • 처맞는거지. 대학진학률이 낮은 나라는 망조야. 거의 모든 선진국에서 대학진학률 계속 늘고 있음.

      @DJKoo-wl3jj@DJKoo-wl3jj8 ай бұрын
  • 너무 재밌게 보고 있어요 ㅎ

    @user-xc2ok6ef7d@user-xc2ok6ef7d9 ай бұрын
  • 1. 아무것도 없는, 오로지 인적자원 밖에 없는 나라라서 고급 교육의 절실함. 2. 교육에 대한 욕심이 커지면서 나라 전체의 교육이 사교육 시장에 장악 당함으로서 많은 국민들이 경제적 부담에 결혼, 육아 자체를 포기하고 있다. 결론 : 교육에 대한 과한 욕심으로 나라의 존망이 위태롭게 됨. 그리고 대학 안나오면 이상하게 쳐다보는 아주 희한한 나라가 됐음.

    @user-zu3zm7qj7f@user-zu3zm7qj7f7 ай бұрын
  • 단적으로 말하기는 어렵지만 한국 보다는 훨씬 여유롭네요. 과경쟁에 평생살다 비참하게 가는 지옥한국보다는.... 부럽네요.

    @taeyoulpaek946@taeyoulpaek9469 ай бұрын
  • 일본뿐 아니라 미국도, 유럽도 그렇죠. 근데 우리나라보다 훨씬 잘 살고요. 대학을 위해 고등학생을 10시까지 학교에 잡아두고 공부만 시키는 곳은 한국이나 중국 정도밖에 없지 않을까요

    @song2044@song20449 ай бұрын
  • 대학들부터- 인서울, 지방거점대학 모두- SKY, 특히 서울대 학부 출신이 교수직을 다 차지하고 있음. 특히 지거국 국립대학은 더욱 더 서울대 학부- 미국 박사 출신이 많음. (국립 방통대는 거의 90%될 것.) 교수, 강사까지 서울대 출신이 다 독점하고 지방대 모교 출신도 박사를 해도 강사하기가 쉽지 않음. 진짜 서울대 독점을 갈라놓지 않으면 한국사회는 답이 없음.

    @cdavid-st6vk@cdavid-st6vk9 ай бұрын
    • 글쎄 대채로 서울대 출신 반 자대 출신 반(돈 내고 교수 사거나, 신입생 유인책, 또는 댓글 다신분 같은 생각으로)으로 알고 있었는데 요즘 변했나 보네요. 미국에서는 affirmative action이라는 법으로 흑인들 가산점 주고 어느정도 뽑았는데요, 요즘은 역차별이라는 시각도 있어요. 국가의 인재풀이라는 눈으로 보면, 학문에 특화된 사람을 뽑는데(교수, 연구직) 꼭 형평성을 맞추어야 할까요? 그렇게 하는게 전체(한국 사회)를 위해서 효율적이고 옳은 방법이 될까요? 대체로 교수들 연구실적, 가능성 보고 뽑으면 되지요. 대학 입학시 가산점 주어 운동장을 평평하게 하는 것은 경제력이나 여러 핸디캡에 가려져 있는 원석을 발굴할 수 있기에 찬성입니다.

      @user-bg7ic9er3m@user-bg7ic9er3m9 ай бұрын
    • @@user-bg7ic9er3m 미국처럼 명문 대학들끼리 경쟁하는 땅덩어리 큰 나라와 한국처럼 수직계열화된 나라와 비겨할 수 없구요. 서울대가 휩쓴 대학 문화가 지금 한국 대학의 후진성을 대표하고 있으니 생각 다르다면 고개를 들어 한국사회를 보면서 반론 펼치면 되겠구요. 인서울 10개 입학생 정도면 교수직 정도 되는 정도에는 지적으로 평등하다고 생각하는 편이구요. 서울대 학부-미국 유학파 사람들이 압도적으로 교수직을 처지하는 시류는 한국사회를 크게 병들게 만들고 있다고 봅니다. 자식이 서울대 학부를 못 간다면 입학한 사람에 비해 간판만으로 한국에서 적어도 교수될 가능성은 50% 이상 떨어진다고 봐요.

      @cdavid-st6vk@cdavid-st6vk9 ай бұрын
    • 서울대 안에서도 그전부터 복수전공(이중전공)에 경영대는 연고대에 밀리니까 전과하라고 영입하는데, 서울대 안에서도 위기의식 느낀다

      @__-ry3de@__-ry3de9 ай бұрын
    • 이름없는 지거국은 서울대출신 교수가 많지만 지거국 탑3인 경북대. 부산대, 전남대는 본교출신 교수들 아닌가요? 인서울도 연고대는 서울대출신보다 본교출신이 많지 않나요? 인서울 중에선 연고대, 지방대 중에선 지거국 빅3가 서울대출신비중이 가장 적지 않나요

      @user-qf5ts4ig6s@user-qf5ts4ig6s9 ай бұрын
    • 교수가 서울대 출신이 많은게 당연한거 아닌가?

      @user-ie6xc4ij1l@user-ie6xc4ij1l9 ай бұрын
  • 일본에 관한 최고의 방송입니다. ❤

    @3catfather@3catfather7 ай бұрын
  • 제가 일본 도피유학 지잡 삼류대(단기대학)출신인데..... 공감이 갑니다.

    @shalessandro@shalessandro9 ай бұрын
  • 좋은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주셔서 이해가 잘 됩니다.

    @ysk281@ysk2819 ай бұрын
  • 한국도 어차피 학벌로 가드치고 사무직이라던지 연구직 같은건 상위 5-10%가 다 해먹고 나머지는 서비스직, 제조업 이런대로 빠져야 합니다. 학위장사에 당하지 말고 한국은 방통대 형식으로만 운영하고 할일 찾는게 맞음.

    @fdsf8df87dd@fdsf8df87dd9 ай бұрын
    • 그럼 너가 최저 받고 중소 소기업에서 일하면 되겠네 😊

      @KIM_HS_0228@KIM_HS_02289 ай бұрын
    • 지능이 낮아서 그렇게 단순하게 생각할수 있는거임. 그럼 참 나머지들이 잘도 알아서 길 비켜주겠다??ㅋㅋ 그게 아니라 직업적인 편차를 줄이는게 중요한거임. 쉽게말해 결과적으로 사무직,연구직,서비스직,제조업 모두다 직종에 따른 편차가 아니라 본연의 생산성에 맞는 대우를 받아야되는거임.즉, 사무직,연구직이라서 돈이나 사회적인 평판을 높게 받는것이 아니라. 어떤 직종이든 자기가 잘하면 많이받고 사회적인 평판도 좋아야된다는거지. 시험점수 잘받은게 자신의 미래에 생산성에 영향을 줘버리면, 전국민이 시험점수 잘받는데 목숨거는거지, 니 말대로 무슨 알아서 자기 할일 찾으러 가는게 아님

      @cakecherry8430@cakecherry84309 ай бұрын
    • 지잡대 가봐야 돈 쓰고 시간낭비 하고 결국 좃소기업 엔딩임. 걍 대학교 갈거면 명문대 가던가 아니면 빨리 자기일 찾는 시대가 맞다. 인구감소도 있어서 지잡대 어차피 싹다 없어질거고 글쓴이 말대로 방통대 인강으로도 공부는 충분히 가능하다

      @realpigdog22@realpigdog229 ай бұрын
    • @@cakecherry8430나의 사회적가치를 돈으로 계속 평가당하는건 행복한 삶이 아니죠 것보다 어떤 직종이나 어떤 조건이라도 평균적 삶을 누릴수있다는 사회적 함의가 더 중요하죠

      @funnycraft5549@funnycraft55499 ай бұрын
    • ​@@cakecherry8430 내가 봤을때 지능 떨어지는건 너인듯. 글쓴이가 말하는건 어차피 낮은 입결 대학갈바에 다른곳으로 빠져야한다는거같은데? 지방에 있는 사립대학교 나와서 얼마나 많은걸 배우고 나오겠음? 대학가서 놀 생각만하지. 실제로 산업에 필요한 인재가 되려면 그정도의 머리나 성실함이 필요하고 그거 안되면 연구직 안가는게 맞음. 실제로 고학벌인 친구들도 대학때 배운거랑 실 산업현장이랑 달라서 당황하는데, 낮은 대학 나와서 뭘 쓸수 있겠냐. 그냥 낮은 쪽 대학을 자발적으로 안가는게 대학 등록금 아끼는데 좋지. 너말대로 직업적인 편차를 줄이는게 이상적으로는 좋아보이나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그게 가능하다면 그건 북한임. 그거 원하면 북한가삼ㅋㅋ

      @user-sy8uv5vm5m@user-sy8uv5vm5m9 ай бұрын
  • 주제파악, 자기객관화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원룸, 고시원 살면서 명품백, 외제차는 기본으로 끌고다니고 대학 나왔으니 대기업 아니면 취업 안해 이런 지나치게 높은 눈높이는 경쟁을 과열시키고 사회의 생산성을 저해시킵니다.

    @user-ww5un3gh3t@user-ww5un3gh3t9 ай бұрын
    • 네에 맞습니다. 근데 그건 개인의 문제라고 보기보단 국가사회 구조적 문제차원에서 해결책을 내놓아야 하는데. 개인이 해결 못하니. 기득권은 친일매국노떨거지라 그런지. 해결책은 안내놓고 해쳐먹기에 바뿌네요.

      @user-by9mj6dt7n@user-by9mj6dt7n7 ай бұрын
    • 근본적으로는 경제구조를 뜯어고치거나 아니면 현재의 선진국 지위를 포기해야 가능한거라... 인구가 적은 나라에서 많은 돈을 벌려면 고부가가치 산업을 해야하고 그것을 하려면 인재 그것도 매우 뛰어난 인재가 필요하고 그러려면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에서 인재를 뽑아내야만 하는데 그러려면 나라 전체가 뒤틀려서 인재를 뽑아내기 위한 구조가 되어야하는거라... 남한으로 도달이 불가능한 위치까지 경제발전을 하려한 대가같은 거죠. 그래서 더 답이 없는 문제고요. 여하튼 경제발전이 너무 빠르고 가파르게 그리고 도달한 수준도 국토에 비해 너무 높기에 생긴 부작용이라 봅니다.

      @user-li7ib4ml1d@user-li7ib4ml1d7 ай бұрын
    • 주제파악을 하면 더 악화될 뿐임. 남들과 비교해서 자신의 위치를 계속해서 되새기면 당연히 경쟁만 과열되겠지. 한국은 주제파악이 아닌 서로간 비교하는 문화를 줄여야 함. 자기 “현재” 위치를 인지한다고 해서, 미래를 위한 경쟁을 줄이겠음? 전혀 아님. 오히려 비교를 계속함으로서 상승욕구만 가속화시키겠지

      @gambit_7285@gambit_72857 ай бұрын
    • ㄹㅇ 원룸.고시원 살면서 카푸어,허세 행세하는것 만큼 불쌍한게 없음 ㅋㅋㅋㅋㅋ

      @SteveMong525@SteveMong5257 ай бұрын
    • ㅋㅋㅋ이런 댓글다는 분들이나 주제파악 좀 하시길... 세상에 어떤 사람이 그렇게 살며, 또 그런 사람이 있다손쳐도 상식적으로 그게 일반화될 정도의 규모일리가 없잖음. 조금만 생각이란 걸 한다면 이런 모자란 소리가 나올 수 없을텐데. 정작 그런 사람은 없는데 전부 모여앉아서 허구한 날 그런 사람들로 몰아가고 있으니 계속 곪아터지기만 하는거지ㅋㅋ 제발 이런 이야기 하시기 전에 본인 주제가 이런 이야기를 할 주제인가, 본인의 지성이 이런 이야기거리를 소화할 수 있는가 먼저 생각하시길ㅋㅋ

      @hokifoki@hokifoki7 ай бұрын
  • 일본은 군대를 가지 않기 때문에 일찍 진로를 선택한 실제 가성비는 더 높다고 본다. 명문대를 나온 사람을 부러워하지 않는 문화, 자신만의 길을 찾아 일찍 직업학교를 선택해 만족한 삶을 사는 부자집 일본 지인을 보며 다양성이 존중되는 선진국이라는 생각이 든다. 부연하면 잘난체하는 사람이 적다는 것과 검소한 부자가 당연하다는 점 등 많은 부분이 우리와 다른 가까우며 먼 나라다.

    @mani-brain_innovation@mani-brain_innovation5 ай бұрын
  • 일본살면서 느낀게 삶에대한 걱정이없다는거 나쁘게말하면 될대로되라는거 버블시대이후 경쟁을 포기한사람들이많음 굳이 대학을 고집하지않고 생각이 미래에대한 걱정이없음 일본도 그걸알고 요즘 우리나라에 자꾸 역전당한거 언급하면서 바꿔나가려고 노력하는중 우리나라에대한 비교가 자주 언급되고 일본인도 그걸알고 어느정도 수긍함

    @user-wd2ln6dk1x@user-wd2ln6dk1x9 ай бұрын
  • 저희아이도 일본에 취업했는데, 저희 아이 직종은 학력에 따른 급여차가 별로 없네요. 대학원졸과 대학, 전문대학, 전문학교 졸업이 각 5천엔씩밖에 차이 안나요. 그리고, 대졸, 전문학교 같은 업무해요. 신졸 채용 모집할 때 적성검사, 에세이, 3차면접까지 보고 일본인과 같은 과정으로 입사했어요. 업무도 일본인과 똑같이 합니다. 그런데, 한국출신은 꼭 4년제 대졸만 뽑더라구요. ㅜㅜ

    @user-us1wy4zx8w@user-us1wy4zx8w9 ай бұрын
    • 비자땜시 그렇습니다. 고졸은 취업비자 안내줘요.

      @fieldlinda9105@fieldlinda91059 ай бұрын
    • 맞습니다 최소 전문대졸 이에요 취업비자 받으려면 고졸로 받으려면 경력 10년을 증명해서 받아야되는데 어려움

      @user-xv1kz8di2t@user-xv1kz8di2t8 ай бұрын
    • 초봉은 큰 차이는 안날 수 있는데, 급여인상이나 성과금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은 비자 문제로 대졸 학력이 필요하죠.

      @namil501@namil5017 ай бұрын
    • @@namil501 총합직 정사원으로 입사했는데, 한국인이 역시 빠릿빠릿하고 업무 습득 속도도 빨라서 동기들 보다 승급이 빠르네요. 일본은 보통 3년동안은 월급이 적은데 3년 지나면 많이 오른다고 하니.. 월급 올라고 세금으로 다 떼이겠지만요. ㅠㅠ

      @user-us1wy4zx8w@user-us1wy4zx8w7 ай бұрын
  • 지역마다 명문대가 있고 사람들이 만족하여. 특정도시 집중현상을 낮추는 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Hfkendke@Hfkendke9 ай бұрын
  • 일본이 역시 낫긴 낫구나… 여러모로볼때 왜 한국은 도대체 일본을 절대로 따라잡을수없는걸까…

    @jasonkim5503@jasonkim55036 ай бұрын
    • 일본애들은 느려도 확실하게 깎고 깎아서 개혁을 성공함 한국애들은 항상 서로 싸우기바빠서 기회다놓치고 아무것도 변화시키지못함

      @user-ue8ez6ik8s@user-ue8ez6ik8s6 ай бұрын
    • 근본의 차이

      @arakajimeajito-kx4un@arakajimeajito-kx4un6 ай бұрын
    • 일본은 매년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는 선진국..한국? 비교 자체가 불가함.

      @JiniGuitar@JiniGuitar20 күн бұрын
  • 정말 훌륭한 컨텐츠입니다. 정영효특파원님 감사합니다. 누구나 고민해 볼 문젱입니다.

    @user-ye3go1jc2i@user-ye3go1jc2i9 ай бұрын
  • 이번에 일본 여행을 가서 일본이 대학에 목을 메지 않는단 이야기에 같이같 여행객들 모두 충격을 받으면서 정말 궁금했던 내용였는데 여기 이유설명이 있어서 궁금증 해결 됬네요 감사합니다

    @dorothy5195@dorothy51959 ай бұрын
    • 학별차이 한국보다 더 심합니다. 저 방송에 나온말들 핵심 다 비켜간 이야기에요

      @user-bz8jn8lx5d@user-bz8jn8lx5d9 ай бұрын
    • ​@@user-bz8jn8lx5d그렇겠죠 본인자식 이면 틀리겠죠

      @user-dr6gl1sn9z@user-dr6gl1sn9z9 ай бұрын
    • 영상에도 나오지만 대학 안가도 먹고 살만하니까 안가는 겁니다. 미국도 최근 블루칼라들 임금 많이 오르면서 대학 진학률 떨어졌어요. 흔히 미국 사람 보고 지식이 부족하다 하기도 하는데 하는데 그런 사람도 노동 경쟁시장에서 벌어먹고 살 수 있는 나라라는 소리임.

      @Bora_san@Bora_san9 ай бұрын
    • 일본 전문학교가 우리나라로 치면 전문대인데 일본에선 전문학교 대학교로 안치지않음?

      @user-lc9wo5ls6d@user-lc9wo5ls6d9 ай бұрын
    • @@Bora_san 전혀 사실이 아닙니다 일본도 재법 이름있는 대학 나와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가야먹고 살만하지 고졸로는 먹고살기 힘듭니다.

      @user-bz8jn8lx5d@user-bz8jn8lx5d9 ай бұрын
  • 정기자님~ 오늘 영상 너무 좋았어요. 일본 기사는 한경이 제일 좋은거 같아요! 앞으로도 일본에 관한 좋은 기사들 잘 부탁드립니다.

    @sjyoon0603@sjyoon06039 ай бұрын
    • 한경이 다른 언론사들보단 훨씬 덜 편향적이죠.

      @pinetworkminer8377@pinetworkminer83779 ай бұрын
  • 우리나라가 전반적으로 가성비떨어지는건 사실이네요 너무 모든게 일극화되어 있어서 힘든거같아요 일자리도 서울,대학도 서울 명문대, 좋은 종합병원도 서울, 그래서 결국 집값도 서울 선택지가 한개밖에 없으니 그냥 모두 죽어라 달리고 소수 일부만 레이스에서 이기는 구조인듯 합니다

    @user-ss7ew6er2q@user-ss7ew6er2q7 ай бұрын
  • 일본대기업의 정사원입니다 주변 종합직들 보면 대부분 국공립명문대 나왔습니다 일본에서도 학력을 중요시하고 많이 따집니다만 자기의 수준과 레벨을 알기에 사교육에 과소비하거나 무리해서 대학 원서를 안씁니다 그리고 중소기업들이 많아 어느정도의 대학나오면 취업이 가능합니다 자기 능력에 맞춰서 대학가고 취업합니다 남이나 국가 사회원망안하고 자기들 인생살아갑니다 자기 분수에 맞게 살다가 자기 분수에 맞는 연금받다가 죽습니다😊

    @lovelyaba9387@lovelyaba93878 ай бұрын
    • 제가 이해하고 있는 내용과 같은거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모든 부모님들이 내 자식은 좋은 대학나와서 좋은 대기업에 취업해야한다고 생각하는 부모님들이 많은게 문제인거 같습니다. 능력이 안되는 자식까지도....ㅠㅠ

      @JLee-ef8hj@JLee-ef8hj7 ай бұрын
  • 70~80%가 대학에 가는 우리가 큰 문제죠..대학은 학문에 뜻이 있는 20%정도만 가야됨 이에대한 부작용으로 공부를 잘하건 못하건 모두 값비싼 사교육비에 노후자금 탕진하고 의미없는 사교육시장만 키워.. 인구 감소에 지대한 기여를 함..ㅋㅋㅋ😅

    @Bryan_hajoon@Bryan_hajoon9 ай бұрын
  • 공부를 계속하고 싶은 사람은 가고 아니면 굳이 대학을 나와야 할 이유가 있을지… 그돈으로 기술이라도 배우던가 여행을 가던가 오히려 자신의 적성을 찾는데 돈을 쓰는게 더 좋을것 같아요.

    @user-ct2vw7gw9t@user-ct2vw7gw9t9 ай бұрын
  • 민주주의 사회에서 국민 각 구성원의 교육 수준은 중요합니다

    @Hyuchan1002@Hyuchan10027 ай бұрын
  • 일본도 잃어버린 30년 이후로 바뀐겁니다 그전에 대학입시는 정확히 우리나라랑 같았어요 우리나라의 현재는 경제적 사회적으로 마치 30년전 일본의 장기경제침체직전과 너무나 흡사한 모습입니다

    @oneonly5516@oneonly55169 ай бұрын
    • 한국처럼 교육업시장에 휘둘리는 천박한 풍조가 있었던 적 단 한번도 없음 일본은

      @user-bx2lh7tl2k@user-bx2lh7tl2k9 ай бұрын
    • ​@@user-bx2lh7tl2k뭐래 있었는데 어디 씹덕애니만 보셨음?

      @watersnow9087@watersnow90879 ай бұрын
    • 원래 대학은 상류층들이 가는건데 한국은 너도나도 신분상승을 꿈꾸던 분위기였기 때문에 다 입시에 목을 맸다. 하지만 이제 한국도 선진국이 되고 계급이 고착화되며 계층별로 자기 분수대로 사는거다. 계급사회 서유럽처럼.

      @Clxkenem@Clxkenem9 ай бұрын
    • @@Clxkenem 그렇군요. 선을 그어서 귀족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깨달아야 대학을 안보내겠군요.

      @dea1469@dea14699 ай бұрын
    • ​@@dea1469ㅋㅋㅋ

      @user-jb3fz1mi7c@user-jb3fz1mi7c9 ай бұрын
  • 참 부럽습니다. 일본에 대해 호불호가 있지만 그냥 선진국이 아니네요

    @robertkim2312@robertkim23129 ай бұрын
  • 맞아요 일본 사는데 우리애도 별로 공부 안해서 고졸하고 그냥 취직 했으면 했는데 꼭 대학 가겠다고 우겨서 보냈는데 별로 공부도 안하고 돈 아까워요 😢 진짜 굳이 안 가도 되는데 어정쩡한 대학 가서 ㅠ

    @YUNA-nl1mo@YUNA-nl1mo9 ай бұрын
    • 현실적으로 이제 대학은 공부하러 가는 곳이 아닙니다.

      @jr1800@jr18009 ай бұрын
    • 명문대가 아니고서야 부모가 대학 도와주는건 아이의 길을 망치는 길이라 생각함. 중고등학교떄부터 미리 교육시켜야함. 명문대가 아니면 너를 지원하지 않겠다. 지원하면 망하는 지름길이다. 억울하면 너가 벌어서 다녀라. 너의 진로고 너의 인생이다. 저희 부모도 그렇게 저를 가르치셨고(부모님은 명문대-대기업-자영업 루트) 저는 공부에 흥미가 없었지만 대학을 가겠다 하여 전부 제돈으로(등록금,생활비 모두) 다녔습니다. 돈모아서 학교다녔고 휴학해서 다시 돈모으고 그랬어요.장학금도 여러번탔구요 그러나 역시나 졸업후 그저그런 대학교는 쓸모없더군요. 그래도 제가 제돈으로 벌면서 다녔던 경험 떄문인지. 졸업 후에도 돈을 열심히 모아서 많이 불리고 친구들보다 빨리 자리잡았어요 그치만 또 투자를 잘못해서 지금은 고생중이지만 ㅋㅋ 저도 제 자식은 가정형편이 된다면 명문대만 일정부분 지원해주고 나머지 대학은 스스로 다니라고 교육시킬 예정입니다. 왜냐면 스스로 충분히 할 수 있거든요. 1~2년만 휴학하고 취업해서 돈벌면, 부모님댁에 산다고 가정할 경우 못해도 몇천만원은 벌어요. 그렇게 모은돈으로 충분히 스스로 대학을 졸업할수 있고. 직접 돈으 벌어봐야 아까운줄 알고, 열심히 공부하죠. 저도 제가 번돈이 부족했던지라 맨날 돈아끼면서, 경제적자립에 대해 공부하게되었고, 공부도 열심히 해서 장학금 탈수 있었어요. 그 영향이 사회에서 활동하는 성인이 된 이후로 까지 평생 영향을 끼치고 있어요. 제가 제돈으로 모으면서 학교다니면서 살아갈 당시, 부모님이 혀를 내두를 정도로 저를 지독하다 라고 말씀하실 정도였습니다...;; 그리고 예전에는 저에게 여러 교육들을 강력히 가르치셨는데, 제가 해내는 모습을 행동으로 보여드리니, 예전과 다르게 저에게 아무런 터치도 가르침도 하지 않으셨습니다. 저는 망하더라도 다시 일어설 자신이 있습니다. 떙전한푼부터 차곡차곡 모으고 불리는 방법을 여러번 경험했거든요. (이미 경제적으로 두번 성공하고 두번망함. 성공과 망하는것도 여러번 반복하니 크게 걱정되거나 두렵지가 않음) 부모님이 절대 지원을 안해준 덕택이죠 ㅋㅋ 너의 인생은 너자신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고 맨날 이야기하셨어요. 좀 냉정하게 키우셔서 저는 그게 약간 서러웠지만, 그래도 저의 강인함을 키워주실수 있었던 계기가 되지않았나 싶습니다.

      @user-cy4hp4fr5x@user-cy4hp4fr5x6 ай бұрын
    • 전 명문대는 안갔지만 학비는 제 손으로 했어요.

      @user-hk5lf3gt8y@user-hk5lf3gt8y6 ай бұрын
  • 고학력 저학력 이렇게 표현하는 것도 시대상을 반영하지 못한 단어였네요. 적정학력🎉

    @user-gh7qg5qt3n@user-gh7qg5qt3n9 ай бұрын
  • 솔직히 부럽다 이나라는 중소기업 다니면 인간 취급을 못 받는다는데 언제 까지 그런 나라서 살아야 하는지

    @user-yl8or3pf9t@user-yl8or3pf9t9 ай бұрын
    • 뭔 인간취급을 못받아. 인구 90% 이상이 중소기업 다니는데..

      @DJKoo-wl3jj@DJKoo-wl3jj8 ай бұрын
    • @@DJKoo-wl3jj 대기업 아니면 결혼 못하는거 다 아는데 무슨 딴소리임? 중소기업에서 산업재해, 임금체불 문제 아직도 해결 안되고 있는데

      @user-yl8or3pf9t@user-yl8or3pf9t8 ай бұрын
    • @@DJKoo-wl3jj 그래서 인구 90%가 애를 안낳으니까 출산율이 0.8까지 떨어지는 기염을 토하고 있잖아요

      @user-uv8xl1qq8g@user-uv8xl1qq8g7 ай бұрын
    • ​@@user-yl8or3pf9t뭔솔...중소끼리 결혼하세요

      @user-hk5lf3gt8y@user-hk5lf3gt8y6 ай бұрын
    • @@user-hk5lf3gt8y 여자들은 월 300만 벌어도 월 300충 이러는데, 중소끼리 어떻게 결혼이 가능함? 진짜 중소끼리 만나서 결혼이 가능할거라고 생각 해서 하는 말임?

      @user-yl8or3pf9t@user-yl8or3pf9t6 ай бұрын
  • 저게 정상인 사회다. 우리나라도 4년제 대학중에, 지역할당제 없이 대기업에 대졸공채로 입사할 수 있는 수준 아닌 4년제 대학은 전문대로 돌리던지 폐교하는게 맞다

    @user-bb7qm7wg1l@user-bb7qm7wg1l7 ай бұрын
  • 여러 매체로 공부할 수 있으니 그래도 대학교육 받은 상위 엘리트들이 지배 계급인 경우가 아직은 많음

    @bluemoon-ij2zn@bluemoon-ij2zn9 ай бұрын
  • 생산직 돈 많이 받는다고 까는게 한국이죠 .. 공부도 못하는게 대학 나왔다고 좋은 일자리 갈려고 취업전선 뛰어들고 취업안되니 공시생한다고 그러고 세상 뭐 같네 하는게 현실이죠.. 대학교가 너무 많음 ..

    @user-hm9qz6iu7i@user-hm9qz6iu7i9 ай бұрын
  • 이런 내용의 동영상은 자칫 오해를 가져올수도 있기때문에 200%,아니 1,000%공부하고 일본인 전문가의 감수를 받은후 얘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떤분의 댓글을보니 맞는 내용도 있고 그렇지 않은 부분도 있다는 말에 저는 공감합니다.현재 저는 지금 모 외국에서 10년이상거주하며 교육관련업 종사자이지만 아직도 이 나라에대해 잘 모르는 영역이 많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user-oj9lg9gd2k@user-oj9lg9gd2k9 ай бұрын
  • 질좋은 일자리 개수에서 한일간 근본적인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일본은 그 힘들었다는 취업빙하기 시절(00년대 초반)에도 구인배율(구직자 대비 일자리 비율)이 1.0 아래로 내려가 본 적이 없습니다. 지금 일본은 2점대를 몇년째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고요. 반면에 한국은 취업 호황기였다는 MB시절에도 구인배율이 1.0 위로 올라가지도 못하고 0.7~0.8에서 맴돌았죠. 지금은 0.5~0.6 수준으로 처참합니다. 특히 취업생들이 선호하는 사무직은 구인배율이 0.2~0.3입니다. 더욱 박 터지게 경쟁해야 되죠. (구인배율 통계가 궁금하시면 e-나라지표 고용센터 구인, 구직 및 취업현황 찾아보시면 됩니다.) 이를 쉽게 설명하면, 한국 청년, 일본 청년 각각 100명씩 모여있는 방이 있다고 칩시다. 일본청년방은 의자가 200개나 있어서 그냥 자리 잡고 골라 앉기만 하면 됩니다. 불편하거나 고장난 의자 같으면 다른 의자로 가서 앉으면 되고요. 굳이 의자에 앉으려고 경쟁할 필요가 없습니다. 반면 한국청년방은 20개의 의자를 놓고 100명이 서로 박터지는 경쟁 끝에 80명은경쟁에서 탈락해서 바닥에 주저앉는 수밖에 없죠. 이게 한국의 현실이에요. 거기다가 일본은 중소기업과 대기업 간 급여가 차이도 그렇게 많이 차이가 안나요. 대기업이 100만원 받을 때 중소기업은 7~80만원 받는 수준. 반면 한국은 대기업 직원이 100만원 받을 때, 중소기업 직원은 3~40만원 받는 수준입니다. 그렇다고 중소기업 직원이 근로시간이 적냐? 그것도 아니고요. 왜 이런 차이가 나나구요? 일본은 중소기업이라도 세계적인 원천기술을 갖고 있습니다. 베어링 등 정밀부품, 렌즈 등 광학부품, 의약품 등등 각종 분야에서 세계 1~2위 기업인 강소기업들이 일본 전국 각지에 너무 많습니다. 반면 한국은 아직도 기술력 없이 인건비 따먹기로 매출을 올리는 중소기업이 '거의' 대다수에요. 정말 극히 일부의 손에 꼽히는 몇몇 1% 남짓의 기업들만 경쟁력을 갖고 있고, 나머지 99%의 중소기업들은 인력을 갈아서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러니 같은 매출이라도 손에 남는 순이익에서 엄청난 차이가 발생하죠. 전반적으로 일본하고 게임이 안됩니다. 한국은 일본하고 비교하면 가짜선진국, 선진국 탈을 쓴 개발도상국에 불과해요.

    @garywho1988@garywho19889 ай бұрын
    • 1, 그럼 일인당 GNP는 어떻게 설명? 2. 일본은 군대를 가지않는데 한국은 의무 복무죠, 그런 것도 고려 해 본다면 일본은 무임승차 가짜 선진국이지.

      @jisungpark8952@jisungpark89529 ай бұрын
  • 나두 이게 더 정상이라구 봅니다. 고등학교의 실업 공업 이과교육을 강화해야 합니다.

    @user-by9mj6dt7n@user-by9mj6dt7n7 ай бұрын
    • @@paulwalker4271 어떤식으로든 바꿔야 하는데 안하네요. 전요새 최동석 유투브보는데 이분 독일유학파라 독일 시스템 도입하자구 하더라구요.

      @user-by9mj6dt7n@user-by9mj6dt7n7 ай бұрын
  • 본문내용도 맞지만.. 일반적으로 보면 한국의 부모들은 아직도 자식의 미래를 책임져줘야 한다는 의식이 강합니다. 반면 일본이나 서구사회는 20세가 되면 부모로부터 물리적으로 독립을 하여 한 독립된 인간으로 알아서 살아가갸 한다고 생각을 하는 인식도 중요하다고 봅니다. 현재 사교육열이 높은 한국,인도,중국을 보면.. 장성한 자식의 직업이 자신의 가치를 평가하는 하나의 척도가 되는 공통점이 있죠. 만20세 성인이 된 자녀도 여전히 가족의 틀로 가둘뿐 아니라 결혼을 해도 마찬가지입니다. 반면에 일본만해도 만20세가 되면 독립된 개체로 살아가야 하는 분위기가 있습니다. 자식의 직업의 질이나 성공여부가 본인 삶의 성패를 좌우하지 않습니다.

    @uglyfafa@uglyfafa9 ай бұрын
    • 나라 자체가 스스로 독립을 해도 먹고 살수 있을만큼 내수시장이 탄탄해야지 이게 가능한데 아니잖아요 ㅋㅋㅋㅋㅋ 비교가 잘못 되었습니다. 독립을 하고 싶어도 못합니다 ㅋㅋ 일자리가 없고 있어도 알바보다도 돈을 안주고 일의 질도 별로라서요. 서구권 국가랑 일본은 자급자족이 가능한데 여기 일자리랑은 다르죠 ㅋㅋ

      @yeongseolee@yeongseolee7 ай бұрын
    • @@yeongseolee 북유럽 소국들이 내수가 탄탄한가요? ㄷㄷㄷㄷㄷ

      @uglyfafa@uglyfafa7 ай бұрын
    • ​@@uglyfafa복지가 튼튼하잖아요

      @user-wj8hl8mb3c@user-wj8hl8mb3c7 ай бұрын
  • 사실상 서울 10대 대학과 포스텍, 카이스트, 경찰대, 사관학교, 지방거점대학 말고는 대학의 서열화가 의미가 없구요. 오히려 한국은 점점 초고학력 사회로 이동 중이라고 봅니다. 일단 의치한약수 제외하고 이공계, 석박사, 반도체, 바이오, 첨단소재 및 장비 등으로 이어지는 흐름인 거죠. (오히려 이런 흐름은 대학의 간판보다는 학과와 전공 등에 더 큰 비중이 실린다는 걸 반영하는 거겠죠) 요즘 서울대 연고대라도 문과 졸업자는 지방대 전화기 졸업자보다도 돈을 못벌고 대기업 취업하기도 어려운 실정입니다. 당장에 초등생 둔 부모들이 중점을 두는 교육도 코딩교육과 수학, 영어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인서울 문과보다 지방대 이공계를 더 선호합니다. 이것마저 싫으면 인서울 공대가려고 재수하는 거죠. 공대쪽은 인서울도 큰 의미가 없는 게 명지대, 상명대, 한성대, 서경대, 삼육대는 존재감 자체가 없고, 반면 성균관대, 아주대는 수원, 인하대는 인천, 카이스트(대전), 포스텍(포항), 각종 과기원(해당 지역) 등 서울이 아니어도 인기나 수준이 굉장히 높습니다.

    @hwadong486@hwadong4869 ай бұрын
    • 지거국은 망했습니다. 문과 4~5등급이 지방거점대학 이공계 전화기에 진학할 수 있는 시대인데 ㅋㅋㅋㅋㅋ 지방대 나오셨는지 지방거점대를 너무 올려치기하시네요 우리나라는 지방대에ㅡ오래부터 관심 없었습니다

      @user-yg3sn3wp5s@user-yg3sn3wp5s7 ай бұрын
    • 또한 인서울 스카이 문과랑 지방대 이공계는 집안 수준 차이도 있기에 단순 취업과 별계로 삶의 질과 출발선이 다르죠 애석히도 . 은연히 그런게 있답니다

      @user-yg3sn3wp5s@user-yg3sn3wp5s7 ай бұрын
    • 인서울공대도 못가면 한국에선 공부안하는게 맞아요 ㅋㅋ 조기교육했는데 무슨 지방공대임 놀아도 그냥 가는데를 어차피 일자리없어서 대학가봤자 쓸모없을수도있음 지금도 스카이나온애들 백수많음

      @user-xq9xi4zq1q@user-xq9xi4zq1q7 ай бұрын
    • @@user-yg3sn3wp5s 그렇죠. 이미 00년대에도 지거국 입결이 바닥이였는데.

      @seongki1003@seongki10034 ай бұрын
  • 한국은 대학공부 안해도 되는 사람들이 너도나도 대학에 등떠밀려 가고 화이트칼라 일만 노리니 문제가 많다. 이에 들지 못하면 낙오자라 생각하니 말이다. 수도권 과밀 역사 때문에 다양한 삶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건 이미 너무 힘들어져버린 사회다.

    @Tattata537@Tattata5379 ай бұрын
    • 다양한 직업 교육을 제대로 받을수 있고, 노동강도가 말이 되는 일자리들이 국내에 많으면 대학에 안가겠죠? 그게 아니니 대학에 보내는거죠 ㅋㅋ

      @yeongseolee@yeongseolee7 ай бұрын
  • 늘감사드립니다

    @user-um2nc3cl9z@user-um2nc3cl9z9 ай бұрын
  • 대한민국의 스카이에 목매는 그래서 사교육비가 나라의 존망을 좌우하는 사회가 정상인지 일본이 정상인지 심각하게 고민해봅시다.

    @hslimcpa@hslimcpa8 ай бұрын
  • "글로벌경제"에 편입을 시작한 중국,인도,동남아시아,중앙아,러시아등은 거품경제에 기반한 미국식경제를 도입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 어쩌면 안정적이고 롱런이 가능한 자신들끼리의 경제방식을 채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본다 . 지나친 서두름이 없을 수도 있으니 우리는 거기에 포커싱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나저나 성장이 끝난 미국,일본경제 , 거기에 거의 성장이 끝난 단계에 진입한 대한민국경제 . . .

    @rainbowsea9679@rainbowsea96799 ай бұрын
  • 역시 생각을 하게끔 내용을 잘 만드시네요. 조재길부장님도 떠나고 베이징나우도 도쿄나우 하나 남았네요.

    @333handle@333handle9 ай бұрын
    • 조재길님은 오데 가셨데요? 두어주 전부터 안보이던데요

      @illiiilll1@illiiilll19 ай бұрын
    • ​@@illiiilll1한국들어오셨습니다.

      @gogoghhd6264@gogoghhd62649 ай бұрын
  • 와..... 감사합니다.

    @Complexin2@Complexin29 ай бұрын
  • 좋은 영상 입니다

    @user-vd5tl4ut1r@user-vd5tl4ut1r9 ай бұрын
  • 아주 훌륭합니다

    @sokheejung@sokheejung9 ай бұрын
  • 언제부터 대학이 필수 교육 과정이 되어버렸는지.. 좀 더 깊게 공부하고 싶은 게 있는 사람만 가면 될 듯. 그럼 불필요한 사교육비 낭비 안 해서 좋고, 스트레스 없어 좋고, 하고픈 거 하고 살아 좋고, 시간 낭비 없어 좋고, 들인 돈과 시간 본전 뽑기 위해 대기업만 고집하지 않아서 좋고.. 아무 생각 없이 진학하는 대학은 어쩌면 인생의 독이자 덫일지도.. 대학이 나쁘다는 말은 아니고, 별로 배우고 싶은 것도 없고 가고 싶지도 않은데 남들 다 가니 나도 그냥 간다는 사고방식은 굉장히 위험.. 결국 스스로를 늪에 빠트리는 것임

    @user-ul2evdhp4ev@user-ul2evdhp4ev7 ай бұрын
  • 항상 모든 제도나 현상에는 모순과 불합리가 존재합니다. 그렇다고 그걸 누군가가 인위적으로 고치려하면 더 잘 되는 경우를 찾아보기 힘듭니다. 많은 시행착오와 깨달음을 통해서 서서히 진화해 가는 것이죠. 민주주의라는 아주 간단한 원리를 도입하는데도 인류는 몇천년이 걸렸습니다. 그 사이에 혁명,전쟁,학살 기타등등 온갖 댓가를 치렀고. 미국,일본, 유럽 모두 학제에 관한 것은 누군가 일률적으로 결정하지 않고 서서히 진화해서 된 역사적 산물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난 또 누군가 스스로 현명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나타나 사회와 제도를 막 재단하려 할까봐 두렵습니다.

    @greenwave2199@greenwave21998 ай бұрын
  • 에스컬레이터 식 입시를 존중하는 분위기보다는 일본안에 아직까지 남아있는 신분간의 차이 일수도 있을거 같네요. 게이요대학은 일본내 우익 정치인들이 대부분 대대로 그 학교에 다니는 분위기도강하죠.

    @user-yz2sp3ts3s@user-yz2sp3ts3s7 ай бұрын
  • 대학교 문과 학위가 가성비 제일 떨어지는 짓거리... 경영학과에서 마케팅 이론 좀 배운다고 기업에서 뽑아주지도 않지만 써먹지도 못함

    @chaitekon486@chaitekon4867 ай бұрын
  • 수도권과밀화,대학,부동산,인구문제 등 모든게 엮여있음 우리나라는 2004년 행정수도 이전이 마지막 기회였음. 헌재의 황당한 판결이 국회를 무력화시킴. 국민 저항이 별로 없는 걸로 봐서 우리 국민은 직접 뽑은 사람보다 시험 잘보는 엘리트들을 더 신뢰하는것 같음 (스스로 개돼지임을 인정하는 것임) 브레이크 없는 열차는 계속 질주중

    @user-xy6kx2cn3s@user-xy6kx2cn3s9 ай бұрын
    • 정말 그랬었죠. 행정수도 이전... 직접 뽑은 사람보다 시험 잘 보는 세칭 엘리트들을 더 신뢰하는 건지도 모릅니다. 그럼 현재 윤석열, 이 놈은 뭘까요? 소수점 두째자리 이하로 더 많은 표를 받았다고 해서 대통령에 앉아 있긴 한데 한국을 뿌리부터 망가뜨리고 일본 앞잡이 노릇을 하고 있는데도 국민들은 별 불만 없이 가만히 있으니, 아무래도 윤가 놈은 사법시험 쳐서 검사 까지 한 엘리트이니 뭔가 생각이 있어서 친일 행각을 하고, 한국 민주주의를 망가뜨리는 것도 뭔가 거대한 계획이 있어서 그러는 거라고 믿는 걸까요?

      @jisungpark8952@jisungpark89529 ай бұрын
    • 저멀리 세종 촌동네로 수도 이전하는게 ㅂㅅ이지

      @user-bd7ff5pu8r@user-bd7ff5pu8r7 ай бұрын
  • 우리 나라는 무조건 인서울대로 몰리는데 인서울대 나와도 취업 안되는것은 똑같고 취업한다해도 비정규직이라 자기 앞가림도 힘들어요.

    @cocoranliz1339@cocoranliz13398 ай бұрын
    • ㄴㄴ mz들은 눈 높아서 비정규직 안함 ㅋㅋㅋㅋㅋ

      @user-yg3sn3wp5s@user-yg3sn3wp5s7 ай бұрын
  • 일본은 노벨과학상을 25명 이나 배출한 선진국 입니다. 학사학위자도 노벨과학상을 배출한 기초과학이 아주 우수하죠. 우리나라 대학은 수준이 너무 없습니다. 😢

    @youngjoonbyun8763@youngjoonbyun87639 ай бұрын
    • 그리고, 시험 성적서를 위조해서 제품을 만들고 수출하죠.

      @jisungpark8952@jisungpark89529 ай бұрын
    • 우리나라 대학은 너무 수준이 없어요?!!??!?!?!?!?

      @user-ur8gx4dl4g@user-ur8gx4dl4g9 ай бұрын
    • 으이그 그늠의 노벨상.. 지들만의 리그와 로비로 탄 노벨상?

      @y.purple8619@y.purple86197 ай бұрын
    • ​@@jisungpark8952 말씀의 근거는?

      @user-sy3mr9rh9w@user-sy3mr9rh9w7 ай бұрын
    • ​@@user-ur8gx4dl4g노벨상 없는데 뭐 ㅋ

      @gisik3321@gisik33217 ай бұрын
  • 일본 학교수업 2-3시면 다 마치고 방과 후 활동으로 운동이나 여러활동 하다 집가고 그러다 대학갈 애들은 입시뛰어들어 경쟁하고 공부 자신없는 애들은 운동쪽으로 가거나 고졸로 일찍이 사회에 뛰어듬 한국 사회에선 30살하면 햇병아리인데 일본은 경력 6-10년차임 한국보다 사회전반이 탄탄하고 산업이 다양함 지방도 거점핵심도시들은 건재해서 도쿄도 굳이 안가고 고향에서 먹고사는 젊은층 많음

    @user-ue8ez6ik8s@user-ue8ez6ik8s6 ай бұрын
  • 미국의 사립 명문대들도 그렇고, 일본도 그렇고.. 문제는 양극화에 있다고 봅니다. 한국도 이제 사립 의대 같은 경우는 등록금 비싸서 서민가정의 아이들은 엄두도 못내지 않나요. 오늘도 유익한 내용 잘 봤습니다. 다음편 기대 하겠습니다. 진정 정부의 말이 맞는지 객관적인 보도 부탁 드려요.

    @glegoo0909@glegoo09099 ай бұрын
    • 그거 다 국가장학금이 해결해줍니다.. 등록금땜애 대학 못가는 시대는 지낫어요

      @user-ek5od4rl6k@user-ek5od4rl6k7 ай бұрын
  • 일본도 1970년대에는 한국 못지 않은 입시경쟁이 치열했는데...3수, 4수도 흔했음.

    @Geonmo1@Geonmo19 ай бұрын
  •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user-hk6cv2kr1w@user-hk6cv2kr1w9 ай бұрын
KZhead